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뼈마디
골관절
마디
조인트
뼛마디
뉴스
"
관절
"(으)로 총 798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정아의 닥터스]“인구 천만 서울은 외상센터 제로 도시"
동아사이언스
l
2020.01.28
센터장이 2016년 스위스에서 열린 다보스포럼 내 학회(AO Trauma 마스터 코스)에서 '복잡한
관절
내 골절 치료' 주제로 강의를 하고 있다. 고려대구로병원 제공 외상센터가 잘 운영되고 있는 나라는 미국과 독일, 영국 등이다. 미국의 메릴랜드대학병원 쇼크트라우마센터는 주에서 비용을 지원해주고 ... ...
[프리미엄 리포트] 한국 로봇 개발의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20.01.26
않는 형태로 바뀌었다. 그렇다고 해서 결코 힘이 약한 것은 아니다. 워크온 슈트는
관절
을 움직이는 힘이 150N/m2다. 이 정도면 젊은 남성의 하지 근력과 비슷한 수준이다. 특히 워크온 슈트는 단순히 걷거나 생활하는 용도가 아니라 스포츠 경기에 출전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만큼 강력한 힘을 발휘할 ... ...
(영상+)달걀 집고 물 따르는 로봇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1.22
둘째 마디에 1개가 쓰였다. 둘째 마디를 움직이는 모터가 첫째 마디까지 움직이게 하는데
관절
이 첫 마디의 움직임까지 제어하는 인체 구조를 그대로 따라 해 효율을 높였다. 각 손가락은 독립적으로 움직인다. 손가락을 움직이는 모터는 손바닥 내부에 장착해 팔과 연결될 필요가 없게 했다. ... ...
[영상+]발가락 이용해 날개 쥐락펴락… ‘비둘기 비행’의 비밀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펼치는 정도를 조절하는 데 미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칭적인
관절
과 발가락의 움직임이 날카로운 각도로 비행할 때도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도움을 준 것이다. 렌틴크 교수는 “비둘기가 주로 발가락을 사용해 비행 방향을 잡는다는 첫 번째 증거”라며 “이번 연구는 ... ...
[의학게시판] 이대서울병원 뇌졸중 건강강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1.15
1월 11일부터 13일까지 3일간 환자 30명의 무릎과 고
관절
인공
관절
수술, 척추유합술 등
관절
척추수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했다. 이번에 파견된 수술팀은 힘찬병원 이수찬 대표원장, 목동힘찬병원 고한승 원장, 백지훈 원장, 강성현 원장과 부평힘찬병원 손효문 원장 등의 전문의와 간호사로 구성됐다 ... ...
[프리미엄 리포트]"펭수야, 너 진짜 펭귄 맞니?"
과학동아
l
2020.01.11
달리 무릎이 몸 안에 숨겨져 있으며 외형상 무릎
관절
처럼 보이는 부위가 사실은 발목
관절
이다. 자료 The Skeleton Book / 일러스트 동아사이언스DB 의혹 ③ 펭귄이 달리기를 잘해? 다리가 굽어있는데 달리기는 할 수 있을까? 펭수는 2019년 9월 ‘자이언트 펭TV에’ 올린 ‘EBS 아이돌 육상대회(이육대 ... ...
'인보사사태' 코오롱생명과학 이사 측 "알면서 속인 거 아냐"
연합뉴스
l
2020.01.10
기술개발 사업자로 선정돼 3년간 82억원의 보조금을 받은 혐의도 있다. 인보사는 골
관절
염 유전자 치료제 주사액으로, 2017년 국내 첫 유전자 치료제로 식약처 허가를 받았다. 그러나 포함된 성분이 허가 당시 제출한 자료에 적힌 연골세포가 아닌 종양을 유발할 수 있는 신장 세포로 드러나 ... ...
구글·페이스북도 탐낸 ‘로봇 핸드’ 10년간 열정으로 ‘진일보’
동아사이언스
l
2020.01.09
가능성을 확인하자 생기원에 합류해 2010년 첫 로봇 핸드를 개발했다. 이 로봇 핸드는
관절
이 모두 16개로, 독립적으로 힘을 제어해 구현할 수 있는 동작 자유도가 몹시 높았다. 물체를 잡는 파지 동작을 잘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 구현된 것이다. 배지훈 박사. 동아사이언스DB 로봇 핸드의 진가를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임산부가 절대 해서는 안 되는 것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8
꼽았다. 그는 “수영은 물의 부력을 이용하므로 중력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무릎
관절
에 무리를 주지 않는다”며 “물속에서 걷는 것도 좋은 운동”이라고 말했다. 두 번째로 꼽은 좋은 운동은 ‘걷기’다. 김 교수는 “러닝머신을 이용하거나 평지에서 하루에 30분가량 살짝 땀이 나는 속도로 걷는 ... ...
올해를 빛낸 기초연구자에 박선영 경북대 교수·정명화 서강대 교수 등 10인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식물플랑크톤과 연관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전 교수는 원인이 명확하지 않던 퇴행성
관절
염의 요인 중 하나가 콜레스테롤이라는 연구결과를 올해 2월 발표했다. 의약학 분야에서는 김찬 차의과대 종양내과 조교수와 정가영 성균관대학교 부교수가 선정됐다. 김 교수는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