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석학"(으)로 총 705건 검색되었습니다.
- 김빛내리 IBS 단장, 한국인 최초로 영국 왕립학회 회원 선임동아사이언스 l2021.05.06
- 전통과 권위 때문에 왕립학회 회원은 과학자 최고 영예로 여겨진다. RNA 분야 세계적 석학으로 꼽히는 김 단장은 서울대 미생물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미생물학 석사, 영국 옥스퍼드대 생화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에 쓰인 전령RNA(mRNA)의 분해를 ... ...
- "미래 과학도와 지역 인재에 도전과 희망 심어주는 작은 힘 됐으면"동아사이언스 l2021.04.30
- 더 활력과 창발성을 불어넣을 것이란 게 그의 생각이다. 부산대는 2018년 김 교수를 석학교수로 추대했다. 올해 64세인 김 교수는 70세까지 연구를 더 할 수 있다. 김 교수는 “언젠가 연구자로서의 의무를 모두 마치면 과학기술의 의미와 경험을 어떤 형태로든 후학과 지역 사회에 전달해주고 ... ...
- [인터뷰]"문제 빨리 푸는 것보다 논리적 해결력이 더 필요한 시대"2021.04.18
- 최기영 장관이 뉴로모픽 칩에 대해 설명하는 모습이다. 최기영 장관은 반도체 분야 석학으로 최근에는 뉴로모픽 칩 등 AI 반도체 연구개발에 주력해왔다. KIST 제공 최 장관은 오랜 동안 AI 반도체를 연구한 연구자 출신이다. 자신의 연구 분야에서도 결국 수학이 기본이라고 강조했다. 최 장관은 ... ...
- 호암 과학상에 허준이·강봉균 교수동아사이언스 l2021.04.06
- 교수는 뇌에서 기억이 저장되는 장소를 분자 세포 수준에서 최초로 확인한 뇌 과학 분야 석학이다. 의학상 이대열 특훈교수는 영장류 뇌 기능 실험 연구에 경제학 이론을 접목한 연구로 '신경경제학 분야의 창시자'라는 평가를 받았다. 사회봉사상을 받은 이석로 원장은 방글라데시 꼬람똘라 빈민 ... ...
- [표지로 읽는 과학] 단백질 설계 인간계 ‘지존’이 만든 ‘항체 케이지’동아사이언스 l2021.04.04
- 6개, 12개, 30개다. 사실 베이커 교수는 단백질 구조 분야에서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석학이다. 그는 2020년 열린 ‘단백질 구조 예측 학술대회(CASP14)’에서 2위를 차지했다. 당시 구글 딥마인의 인공지능(AI)인 알파폴드(AlphaFold)가 압도적인 성적으로 1위를 기록하는 바람에 모든 스포트라이트가 ... ...
- [의학바이오게시판] 한림대의료원, 일송탄생 100주년 캘리그라피 공모전 外동아사이언스 l2021.03.11
- 신임 정회원으로 선출됐다고 밝혔다. 의학한림원은 의학 분야 대한민국 최고 석학 단체다. 김난희 고려대 안산병원 내분비내과 교수와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 김현 해부학교실 교수, 김효명 고려대 안암병원 안과 교수, 송진원 미생물학교실 교수, 신혜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 유영 ... ...
- 제8대 의학한림원장에 왕규창 국립암센터 교수동아사이언스 l2021.03.10
- 2025년 1월 31일까지다. 의학한림원은 기초 및 임상 분야를 포함한 의학 분야의 최고 석학을 구성원으로 선출해 의학발전과 국민 건강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해 2004년 설립됐다. 한국 의학의 지속적인 진흥 창달과 선진화에 힘쓰고 있다. 왕 교수는 1979년 서울대 의대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박사 ... ...
- [과학게시판] 대기업·중견·중소기업 협력 융합서비스 세계시장 진출사업 공모 外동아사이언스 l2021.02.26
- 수학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필즈 메달 수상자를 비롯한 국내외 정수론 분야의 최고 석학들이 참여해 21세기 수학을 이끌어갈 핵심 난제에 관한 토론과 강연을 펼칠 예정이다 ... ...
- LG AI 연구원, 최고 권위 학회서 출범 후 첫 연구 성과 공개연합뉴스 l2021.02.25
- 난제 해결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LG AI 연구원이 지난해 12월 설립됐다. 세계적인 AI 석학인 이홍락 미국 미시간대학교 교수를 C레벨급 AI 사이언티스트(CSAI·Chief Scientist of AI)로 영입했다. LG AI 연구원은 2023년까지 전문가 1천여명을 키운다는 계획이다. 배경훈 연구원장은 "AI 기술 연구를 고도화해 ... ...
- 미토콘드리아 DNA 유전자 교정한 생쥐, 세계 최초로 태어났다동아사이언스 l2021.02.19
- 바꾼 생쥐를 태어나게 하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지난해 유전자 교정 기술 석학인 데이비드 리우 미국 브로드연구소 교수팀이 세포 수준에서 미토콘드리아 DNA를 교정한 적은 있지만 실제 동물에 적용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연구단 소속 이현지, 이성현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