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Editor’s Note] 화성 몽상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빠른 일정이다. 머스크의 말이 허언은 아닌지, 현재의 우주 공학
기술
과 거주지 건설
기술
을 중심으로 짚어봤다.매년 10월 초가 되면 과학계가 들썩인다. 노벨상 발표 때문이다. 올해는 꽤 어려운 분야인 응집물리와 위상물질, 분자기계 등이 주인공이 되면서 화제가 됐다. 어려운 개념을 돌파해 나갈 ... ...
[과학뉴스] 마비 환자, 로봇 팔로 새 감각 얻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넣어 뇌의 전기신호를 컴퓨터로 전달해 기계를 작동시키는 뇌-컴퓨터 접속(BCI)
기술
을 활용한 것이다. 실험에 참가한 네이선 코플랜드는 불의의 사고로 사지마비 장애를 갖고 있었다. 연구팀은 그의 뇌에서 손 동작과 감각을 인식하는 부분에 소형 전자장치를 심었다.코플랜드는 자기 의지대로 로봇 ... ...
[과학뉴스] 인공 난자 탄생!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어려움이 있지만 실험실 내 여러 그룹이 재현해 결과의 신뢰도는 탄탄하다”며 “이
기술
이 인간에게 적용되면 불임 치료에 매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하지만 이번 연구엔 한계도 있다. 316개의 배아 중 11마리만이 태어나 성공률이 약 3.5%로 낮았다. 대다수의 배아가 유전자 발현 과정에서 ... ...
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있음을 알았던 파인만이 나노미터(nm) 크기의 작은 물체를 만들고 제어하는
기술
(나노
기술
)의 태동을 일찌감치 예견한 강연이 었다. 그로부터 반 세기가 지날 즈음 화학자들은 분자를 이용해 작은 기계들을 구현해 냈다.그리고 올해 노벨 화학상은 머리카락 굵기의 1000분의 1 크기의 분자기계를 ... ...
[News & Issue] 떠다니는 해양과학연구소 이사부호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내려 탐사할 수 있다. 모선의 위치를 정밀하게 유지하는 다이나믹포지셔닝(DP)
기술
과 무인잠수정의 위치를 파악하는 수중위치측정장비 등이 뒷받침되기 때문이다. KIOST 연구진은 이사부호가 열수광상 위치를 정확하게 알아내고 광물자원이 많이 묻힌 곳을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2 ... ...
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눈 만든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전부터 화성에 비행체를 띄울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언뜻 재미난 발상처럼 보이지만
기술
의 난이도는 꽤 높다. 화성의 중력은 지구의 3분의 1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양력(위로 뜨는 힘)이 적게 필요해 비행체가 쉽게 뜰 것 같지만 그렇지도 않다. 화성의 대기 밀도는 지구의 1%도 되지 않는 데다가,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작은 RNA가 계속해서 발견되고 있다. 생명과학계의 또 다른 화두인 ‘유전자 가위’
기술
에도 작은유도RNA(sgRNA)라는 RNA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밖에도 snRNA와 snoRNA 등 다양한 작은 RNA들이 생명과학자들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다. 어쩌면 miRNA와 siRNA의 역할은 ‘작은 RNA 월드’에서 빙산의 일각에 ... ...
[Interview] 우주생물학자의 ‘발칙한’ 문명 재건법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있죠. 이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숨은 공로자들 말이에요.”물론 한정된 지면에 모든 과학
기술
을 정리할 수는 없었다. 그래서 책을 편집하는 과정에서 빠진 내용을 모아 웹사이트를 만들었다. 독자들과 토론할 수 있는 게시판도 열었다. “여기에 실리지 않았지만, 문명 재건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 ...
Part 4. 시속 1200km, 초초초고속 열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자기부상철도연구팀장) 하이퍼루프나 아음속 캡슐 트레인은 현재 가지고 있는
기술
로도 충분히 만들 수 있어요. 아마 10년 이내에 튜브 속을 초고속으로 달리는 열차를 탈 수 있을 거예요.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기술
, 이미 우리 가까이에 있답니다 ... ...
[수학뉴스] 한 살 공간 감각, 여든 간다?!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화면이 바뀔 때마다 회전합니다. 연구팀은 사람의 시선을 추적하는 '아이트래킹’
기술
을 이용해 아이들이 얼마나 오랫동안 화면을 보고있는지 기록했습니다. 그리고 4년 뒤 실험에 참가했던 아이 중 53명을 대상으로 수학 문제를 풀게 했습니다.그 결과 첫 실험에서 화면을 오랫동안 봤던 아이가 ... ...
이전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