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과학은 네트워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성과를 내라고 할까, 교육과정은 어째서 문․이과로 나눠져 있을까, 과학자들은 왜 살상기술을 막지 않을까. 현대과학의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는 주장을 어떻게 실현할지 궁금했다면 저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보자. 최근 국내에서 젠더가 평등한 작품을 발굴하자는 목소리가 커졌다. 여러 ... ...
- Part 4. 우리나라 멸종위기종에게도 관심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복원하고 야생에 적응할 수 있도록 훈련시키는 일을 하고 있답니다.지난 5월 초엔 종복원기술원에서 반가운 소식이 들려왔어요. 올해 1월, 소백산에 방사됐던 여우가 야생에서 처음으로 새끼를 낳은 거예요. 1980년에 멸종된 우리나라 토종 여우는 2012년에 시작된 복원사업으로 32마리가 야생으로 ... ...
- [소프트웨어] 스피드 레이서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차와 부품으로 차량을 조립해 경주하는 게임이에요. 경주에서 우승하기 위해서는 운전 기술도 중요하지만, 차량의 성능도 중요하기 때문이에요.보통 일반 승용차 뒤에는 날개가 없지요? 하지만 레이싱 카나 스포츠 카 뒤에는 날개가 있어요. 차가 빨리 달리면 뒤쪽에서 공기가 소용돌이치면서 ... ...
- [과학뉴스] 국내 연구팀이 거의 완벽하게 밝힌 ‘한국인 표준 유전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서정선 교수와 국내 생명공학 벤처기업 마크로젠 공동연구팀은 독자적인 기술을 이용해 한국인의 유전체를 거의 완벽하게 해독해 냈다.유전체란 세포에 들어 있는 모든 유전 정보다. 생김새와 체질, 재능, 특정 질병에 걸릴 가능성 등 생존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모든 유전적인 정보가 30억 개가 넘는 ... ...
- 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있음을 알았던 파인만이 나노미터(nm) 크기의 작은 물체를 만들고 제어하는 기술(나노기술)의 태동을 일찌감치 예견한 강연이 었다. 그로부터 반 세기가 지날 즈음 화학자들은 분자를 이용해 작은 기계들을 구현해 냈다.그리고 올해 노벨 화학상은 머리카락 굵기의 1000분의 1 크기의 분자기계를 ...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작은 RNA가 계속해서 발견되고 있다. 생명과학계의 또 다른 화두인 ‘유전자 가위’ 기술에도 작은유도RNA(sgRNA)라는 RNA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밖에도 snRNA와 snoRNA 등 다양한 작은 RNA들이 생명과학자들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다. 어쩌면 miRNA와 siRNA의 역할은 ‘작은 RNA 월드’에서 빙산의 일각에 ... ...
- [Knowledge] 보석이 된 옛 생명과학동아 l2016년 11호
- 993년 개봉한 영화 ‘쥬라기 공원’은 인간이 과학기술을 이용해 공룡을 복제하면서 일어난 재난을 담았다. 특히 컴퓨터그래픽으로 만든 티라노사우루스 등 생동감 넘치는 공룡 캐릭터들은 마치 실제 상황인 것처럼 관객들을 중생대 쥐라기로 안내했다.쥬라기 공원 제작진이 1억 년 전 서식한 ... ...
- [Tech & Fun] 로봇 의수의 혁신 ‘아이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일은 없을 것이다.2008년, 터치바이오닉스는 미국 회사 리빙스킨을 합병했다. 이 회사의 기술로 아이림에는 사람 피부와 비슷한 재질의 인조 피부가 덮이게 됐다. 주름과 손톱도 있고, 촉감도 비슷하다. 같은 해 태어난 애플 사의 아이폰이 스마트폰 혁신을 주도할 때, 아이림은 전자의수 혁명을 ... ...
- Part 4. 시속 1200km, 초초초고속 열차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자기부상철도연구팀장) 하이퍼루프나 아음속 캡슐 트레인은 현재 가지고 있는 기술로도 충분히 만들 수 있어요. 아마 10년 이내에 튜브 속을 초고속으로 달리는 열차를 탈 수 있을 거예요.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기술, 이미 우리 가까이에 있답니다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한국과학기술원 원더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따뜻한 봄날, 기자단 친구들은 봄처럼 설레는 마음을 안고 대전에 있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으로 향했어요. 대학원 연구실에 가 보는 것은 처음이었기 때문에 조금 긴장이 되기도 했지요. 그런 기자단을 맞아 준 것은 환한 얼굴로 시소를 타고있는 연구원들이었답니다.시소 말고도 재미있어 보이는 ... ...
이전346347348349350351352353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