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한강 발원지서 신종 ‘수질정화 미생물’ 발견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담수 수계가 유용생물자원의 서식지로 가치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앞으로 배양
기술
을 개발해 국내 담수 유용생물자원의 발굴과 기능성 생물소재 개발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장비가 사용된다. 디렉셔널 드릴링은 시추 중에 시추공의 방향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는
기술
이다. 과거에는 시추공이 닿지 못했던 복잡한 마그마 방 사이를 찾아들어갈 수 있는 셈이다. 그밖에 마그마가 발산하는 열에 견딜 수 있는 센서도 개발해야 한다. 특수 제작한 전자소자도 온도가 125℃가 ... ...
[News & Issue] “제3세계 여성, 에이즈를 넘어라”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신생아에게 HIV가 전파된다. 이를 막기란 쉽지 않다. 출산 과정에서 HIV 감염을 막는
기술
이 너무 복잡하고, 경제적 여건상 모유수유를 할 수밖에 없는 지역도 많아서 모유수유를 강제로 금지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매년 15만 명에 달하는 어린이가 HIV에 신규 감염된다.미국국립보건원(NIH) 과학자들은 ... ...
[Knowledge] 우주에는 정말 중심이 없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생기는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뒤틀림에 대한 변수만으로 모든 가능성이 단순하게
기술
될 수 있는지는 의문이지만, 우주에 특정 방향이 있다는 가능성을 부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연구 결과였다.우주 등방성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과제다. 우주배경복사의 비등방 지도뿐만 아니라 ... ...
[출동~! 섭섭박사] 호박화석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과학자들은 호박화석속 모기의 피에서 공룡의 유전자를 꺼내는 일은 현재의 과학
기술
로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말해요. 하지만 이 유전자를 이용해 실제로 공룡을 되살리는 건 불가능할 거라고 예상하고 있지요.그런데 공룡이 아닌 약 4000년 전 멸종한 매머드를 되살리는 일은 가능할 수도 있어요. ... ...
Part 3. 자꾸자꾸 굽어가는 세상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굽은 곡면을 생각한 수학자들이 겪었던 과정과 비슷하다.지난 6월 27일 이상영 울산과학
기술
원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팀은 이를 해결할 ‘종이 배터리’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일반 잉크젯 프린터로 종이 위에 출력한 글씨나 그림이 배터리가 되는 것이다. 종이 배터리는 여러 번 굽히고, ... ...
노벨상 발표에 베이글이 등장한 사연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때문이다. 이쪽 아이디어 일부가 이번 노벨 물리학상 수상 논문에서 시작했다 . 미래의
기술
로 주목받고 있는 양자컴퓨터의 오류 처리 문제도 이 연구 결과로 해결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한편 노벨위원회는 “초전도체★와 초유체★, 아주 얇은 자기 필름과 같은 물질에서 일어나는 기묘한 현상을 ...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생산하는 장치도 연구하고 있다. 또 3TeV의 에너지로 작동하는 고에너지 선형충돌기
기술
도 연구하고 있다. 이 가운데 무엇이 과학계의 필요에 부합할지는, 향후 수 년 동안 LHC와 다른 가속기들을 통해 무엇을 배우는가에 달려 있다. 장기적으로는 아주 흥분되는 연구개발 계획도 있다. 어웨이크(AWAKE) ... ...
Part 3. 세포 속 청소부의 정체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원리를 밝힌 일본 도쿄공업대 오스미 요시노리 명예교수에게 돌아갔다. 2010년 체외수정
기술
개발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로버트 에드워즈 교수 이후 오랜만의 단독 수상이다.오스미 교수는 오토파지 분야의 개척자인 것은 물론, 많은 후학들을 배출해 오토파지 연구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 ...
Part 2. 우주방사선을 극복하라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점에서 큰 각광을 받고 있다. 현재 NASA는 황 콘크리트를 사용할 수 있는 콘투어 크래프팅
기술
을 개발 중이다. ESA는 영국의 건설회사 포스터 앤 파트너스와 함께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지하 돔 구조물을 고안했다. 물론 달에 만들 거주지를 위한 설계지만, 화성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게 ... ...
이전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