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핫이슈] SW로 세상을 바꿔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어린이재단이 주최한 ‘행복한 과학
기술
공모전’의 수상작이 발표됐어요. 행복한 과학
기술
공모전은 아동과 장애인, 노인, 다문화, 환경 등 사회적 이슈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컴퓨터와 모바일 디바이스 등에서 작동할 수 있는 SW(소프트웨어)로 개발하는 대회지요. 올해는 특히 초등부 ... ...
[과학뉴스] 세상의 모든 책이 우표 한 장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샌더 오뜨 박사팀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저장 장치보다 용량이 수천 배나 큰 저장 장치
기술
을 개발해 발표했어요. 이는 우표 한 장 크기의 작은 칩에 지금까지 나온 모든 책을 다 담을 수 있는 거대한 용량이랍니다.연구팀은 작은 크기의 저장 장치를 만들기 위해 물건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입자인 ... ...
Part 3. 전자 심판으로 더욱 흥미진진한 2016 리우올림픽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떨리는 마음으로 기다려야만 했지요. 하지만 이번 리우올림픽에서는 ‘과녁 스캐닝’
기술
로 기다림 없이 바로 점수를 알 수 있게 된답니다.과녁에 설치되어 있는 2개의 레이저 스캐너가 화살의 거리를 가로축과 세로축으로 나눠 분석해 1초 만에 화살의 위치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어요. 인간의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섭섭박사를 공중에 띄워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서로 간섭하는 현상을 이용하면 입체 영상을 만들 수 있어요. 이렇게입체 영상을 만드는
기술
을 ‘홀로그래피’, 만들어진 영상을 ‘홀로그램’이라고 한답니다.홀로그램 영상을 투명한 막에 쏘아 비추면 아무 것도 없는 허공에 물체의 상을 만들 수 있어요. 실험에서는 OHP 필름으로 만든 기울어진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신비한 동물 속 여행, 판타스틱 애니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5호
물과 지방을 모두 제거하고, 대신 실리콘이나 에폭시 수지와 같은 화학 성분을 채워 넣는
기술
이랍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생물 표본을 살아 있을 때 모습 그대로 썩지 않게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어요. 게다가 냄새가 나지 않고 독성도 없지요.이번 전시에서는 플라스티네이션을 이용해 만든 만주 ... ...
[과학뉴스] 초소형 가오리 로봇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5호
헤엄을 치는 것과 비슷하답니다.박성진 박사는 “빛으로 근육 움직임을 조종하는
기술
을 이용하면 빛으로 움직이는 인공심장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어요 ... ...
[과학뉴스] 돌돌~ 말리는 태양전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4호
코팅되는 유리 기판 때문에 태양전지가 두꺼워지는 거예요.그런데 최근 광주과학
기술
원 이종호교수팀이 플라스틱 기판을 이용해 머리카락보다 얇은 태양전지를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이 개발한 태양전지의 두께는 1μm로, 머리카락의 100분의 1에 해당한답니다. 연구팀은 얇은 ... ...
바닷속은 문어와 오징어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4호
활용해 애벌레처럼 움직이는 로봇을 만들기도 했어요. 로버트 셰퍼드 교수는 “인공
기술
을 발전시켜 다양한 소프트 로봇뿐 아니라 자유자재로 모양을 바꿀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답니다. 문어처럼 수영하는 로봇문어와 오징어는 로켓이 발사되는 원리를 이용해 헤엄쳐요. ... ...
친환경 비행기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3호
불리는 이 날개 모양은 비행기의 연료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에어버스만의 새로운
기술
이에요. 샤크렛은 상어 등에 수직으로 서 있는 등지느러미를 닮아 붙여진 이름이지요.일반적으로 비행기가 비행할 때 날개 끝에 회오리바람이 생겨요. 수평 형태의 날개에 부딪힌 공기는 날개 위와 아래로 나뉘어 ... ...
[과학뉴스] 어디에도 척! 달라붙는 전극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3호
해 본 결과 전극이 옷에서 떨어지지 않고 전기가 잘 통했답니다. 고흥조 교수는 “이
기술
을 활용해 몸에 부착할 수 있는 센서를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어요 ... ...
이전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