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친환경 비행기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3호
불리는 이 날개 모양은 비행기의 연료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에어버스만의 새로운
기술
이에요. 샤크렛은 상어 등에 수직으로 서 있는 등지느러미를 닮아 붙여진 이름이지요.일반적으로 비행기가 비행할 때 날개 끝에 회오리바람이 생겨요. 수평 형태의 날개에 부딪힌 공기는 날개 위와 아래로 나뉘어 ... ...
[과학뉴스] 어디에도 척! 달라붙는 전극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3호
해 본 결과 전극이 옷에서 떨어지지 않고 전기가 잘 통했답니다. 고흥조 교수는 “이
기술
을 활용해 몸에 부착할 수 있는 센서를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어요 ... ...
[소프트웨어] 스마트폰으로 즐기는 프라모델 놀이터 셈스게임즈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거라는 확신이 있었다.“2010년 애플이 내놓은 아이폰4와 아이패드를 보면서 이 정도
기술
력이면 스마트기기에서 프라모델을 만들어도 되겠다고 판단했어요.”20년 전만 해도 음악을 들으려면 테이프나 CD가 꼭 있어야 했다. 그런데 애플이 mp3플레이어 시장에 뛰어들면서 컴퓨터와 스마트기기로 ... ...
[과학뉴스] 모든 액체에 젖지 않는 테이프가 나왔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코팅은 스프레이로 뿌리거나 표면에 새기는 형태였다. 그러나 비싼 장비가 필요하고,
기술
이 복잡해 숙련된 전문가들만이 만들 수 있었다.코타 교수는 “우리가 개발한 필름은 테이프처럼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며 “부식을 막고 세척하지 않아도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며, 마찰저항을 ... ...
[포커스 뉴스] 우주 극한환경 만들어 물질 결정의 본모습 찾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이상의 초고온상태를 만드는
기술
과 상온의 초과포화 상태에서 물질을 공중부양시키는
기술
은 세계적인 수준”이라며 “앞으로 신약개발이나 극한 환경 탐사를 위한 항공우주 분야, 초고온 핵융합 분야를 위한 신소재 개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이 연구 결과는 ...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기술
’을 기상청 주도로 개발하고 있다. 화산재 확산 시 피해규모를 예측하고 추정하는
기술
은 국민안전처(전 소방방재청)에서 맡았다. 2018년까지 백두산은 물론 동북아시아 지역의 화산 분화에 대비한 화산재해 대응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변수 1. 규모 7.0의 핵실험북한은 2006년 10월 9일부터 ... ...
[지식] 빛과 거울, 명작의 비밀병기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개발한 인공지능 프로젝트인데요, 렘브란트의 화풍을 똑같이 재현해 냅니다. 안면 인식
기술
로 렘브란트 작품 260점 속 인간의 표정을 분석해 데이터를 얻습니다. 그뒤 3D프린터로 렘브란트 특유의 화풍을 모방해 그려냅니다. 연구팀은 이 방법으로 렘브란트가 자주 사용한 구도와 색채부터 유화의 ... ...
Part 3. 3D프린터로 날개 단 위상최적화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경우가 많다. 그래서 드릴로 재료를 깎아 물체를 만들어 내는 기존의 ‘절삭 가공’
기술
로는 만드는 게 불가능하거나, 비용이 아주 많이 난다면 의미가 없다.그런데 이제 그런 걱정이 사라졌다. 3D프린터★ 덕분이다. 3D프린터는 가루나 액체 형태의 재료를 가장 아래부터 얇게 한 장씩 쌓아 올리는 ... ...
[소프트웨어] 컴퓨터의 원조는 나! 공학용 계산기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배비지의 획기적인 아이디어에 영국 정부는 막대한 자금을 지원했어요. 그러나 당시
기술
수준으로는 정교한 계산기를 만들기가 어려웠어요. 20년 동안 애를 썼지만, 차분기관의 일부만 만드는 데 만족해야 했어요.배비지는 차분기관을 만들면서 이보다 더 우수한 성능의 계산기를 떠올렸어요. 바로 ... ...
[과학뉴스] 한강 발원지서 신종 ‘수질정화 미생물’ 발견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담수 수계가 유용생물자원의 서식지로 가치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앞으로 배양
기술
을 개발해 국내 담수 유용생물자원의 발굴과 기능성 생물소재 개발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이전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