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
"(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가 뿔났다? 아이슬란드 화산 대폭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오늘도 내 블로그에 와 줘서 고마워.이번 화산 폭발이 있기 전까지는 전혀 몰랐어.
우리나라
에서 일어난 화산활동이 이렇게 많은 곳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 말이야. 하지만 가만 생각해 보니 우리는 지구라는 하나의 별에서 사는 거니까 서로에게 어떻게든 영향을 줄 수밖에 없는 것 같아. 친구들 ... ...
Part 7. 필즈상 수상자와의 만남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수학문제를 해결하는 데 물리나 화학이 도움된다는 이야기는 처음이라 조금은 생소했어.
우리나라
교수님께 물어 보니까 요즘 수학의 추세가 수리물리, 수리생물처럼 수학과 과학이 합쳐진 형태라서 이런 말을 해 주신 것 같대. 교수님과 이야기를 계속 나누고 싶었는데 여기저기서 자꾸 교수님을 ... ...
야구장은 도형의 집합소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향하는 직선은 동북동(북쪽을 기준으로 67.5°)을 향한다. 이 방향으로 경기장을 지으면
우리나라
와 같이 북반구 중위도 지역에서 오후 늦게 야구 경기를 시작할 때, 햇살이 타자나 투수의 눈에 들어가지 않는다.*1인치 = 2.54cm, 12인치 = ... ...
외국에서는 수학공부를 어떻게 할까?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글에서는 ‘미국의 수학교육’을 다루지 않았다.우리학교 선생님, 외국학교 선생님 되다
우리나라
의 수학 선생님이 외국 학생을 가르치는 프로그램이 시작됐어요. 전국에서 훌륭한 수학 선생님 10명을 선정해 캐나다와 영국으로 파견했답니다. 8월 말 캐나다에 4명, 9월 말 영국에 6명의 선생님이 현지 ... ...
수학으로 물든 제주도! 2010 제주수학축제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서귀북초 3) 어린이는 "나만의 도형을 직접 만들어 볼 수 있어서 즐겁다"고 말했어. 올해
우리나라
에서 규모가 가장 큰 수학축제가 제주도에서 열린다기에 찾아가 봤어. 함께하지 못한 친구들을 위해, 수학동아가 출동했지. 이제부터 생생한 체험담을 들려줄게. 자! 어서 모여 봐.공항에 내리자마자 ... ...
이제는 로봇이 싸운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있다.앞으로 벌어질 전쟁에서 로봇의 비중이 점점 커질 것은 분명하다. 이원승 교수는 “
우리나라
의 경우 출산률이 낮아 앞으로 군대에서 활용할 수 있는 병력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하루빨리 로봇을 개발해 활용해야 한다”고 군사 로봇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가까운 미래에 다가올 로봇 ... ...
이중휴명 전략펴는 깽깽이풀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나가야 발아가 시작되죠. 어린 식물은 수분이 충분히 공급돼야 생존할 수 있기 때문이죠.
우리나라
처럼 사계절이 뚜렷한 경우는 일정 시간 낮은 온도에 노출된 뒤라야 발아하는 씨앗이 많습니다. 가을에 씨앗이 바로 발아할 경우 식물체가 겨울에 얼어 죽기 때문에 겨울을 난 뒤에 싹을 틔우기 위한 ... ...
호주 밤하늘엔 숨어 있던 은하수가 뜬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우리은하가 눈에 들어왔다. 숨이 턱 막힐 것 같은 우리은하의 웅장함이 눈앞에 펼쳐졌다.
우리나라
에서 볼 수 있는 여름밤의 은하수는 남쪽 하늘 아래로 내려가며 점점 짙어지다가 은하수 중심이 지평선에 다다르면 끝나고 만다. 아쉽게도 은하수의 나머지 절반은 땅 아래에 숨는다.하지만 이곳은 그 ... ...
[지구과학] 편서풍 파동과 서안 강화 현상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남쪽의 따뜻한 공기가 고기압 형태로 분리돼 북쪽으로 이동한다. 서안 강화 현상
우리나라
를 포함하는 중위도 지역의 아열대 순환에서는 대양의 서쪽으로 중심이 편향된다. 대양의 서쪽 해류는 동쪽 해류에 비해 해류의 폭이 좁고 깊으며 유속이 빠르다. 이것을 서안 강화 현상이라고 한다. ... ...
왼손잡이에 대한 또다른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허 생원은 동이가 자신과 같은 왼손잡이임을 알게 된다. 왼손잡이에 대한 사회적 시선
우리나라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왼손잡이는 금기의 대상이었다. 실제로 왼손을 쓰는 사람은 생활에 불편을 겪었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무시당하기 일쑤였다. 소설 속에서도 그러한 시선이 그대로 ... ...
이전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