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마트폰이 문자 읽는 비결은?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자음결합, 그리고 ‘닭’과 ‘굶’ 같은 자음+모음+자음+자음결합 등 총 여섯 가지 중 하나이므로 쉽게 자음과 모음을 구분할 수 있다.특징점★ 선분의 기울기가 급격하게 바뀌거나 선분이 둘로 나뉘는 지점. 권영빈 중앙대학교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문자가 26개인 알파벳에 비해 한글은 1만 117 ... ...
- [SW 기업 탐방] 세상을 지배하는 미분방정식 온라인에서 쉽게 풀자!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어디서나 어떤 단말기로도 미분방정식을 풀 수 있다. C언어 기반이라 프로그래밍 언어를 하나라도 알면 쉽게 이용할 수 있다.김광진 셈웨어 대표는 “머신러닝부터 로봇 제어, 신호처리, 전기 회로, 반도체까지 다양한 분야의 문제를 풀 수 있는 예제가 400개 정도 있어 초보자도 쉽게 이용할 수 ... ...
- Intro. 수학으로 그린 꿈의 도시수학동아 l2017년 08호
- Φ값이 작습니다.여기에 블록의 크기를 나타내는 식까지 포함해 연구팀은 도시 하나를 표현하는 복잡한 공식을 만들었습니다. 이를 이용해 찾아낸 도시의 4가지 유형과 대표적인 사례는 오른쪽과 같습니다. 서울은 도쿄와 함께 2번에 속합니다. 미국과 유럽의 여러 도시는 1번 또는 4번 모양으로 ... ...
- Intro. 수학으로 찾는 나의 뿌리, 내 유전자는 어디서 왔을까?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있는 악마문 동굴 유적 발굴 현장에 나와 있습니다. 얼마 전 이곳에서 발견된 유골 중 하나가 한국인의 조상으로 밝혀졌습니다. 수학적 기법을 이용한 유전자 분석으로 이뤄낸 성과인데요, 연구팀은 이번 연구로 우리 조상이 한반도에 정착하기 전까지 이동 경로도 알 수 있다고 합니다. 연구실로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과학기술의 집합체, 휴대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데 정성을 다했어요. 좌우에 산맥과 물줄기가 감싸진 곳에 왕릉을 만들었어요.왕릉 하나를 완성하는 데 5개월이라는 시간이 걸렸다고 해요. 그동안 왕의 시신은 어떻게 보관했을까요? 냉동 시설이 없던 조선시대에는 ‘빙반(氷盤)’이라는 냉동 영안실을 만들었어요. 대나무로 만든 평상에 시신을 ... ...
- Part 3. [글쓰기] 인공지능 소설가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얼마나 뛰어난 작품을 만들었는지 평가하지는 않아요. 대신 평범한 사람들처럼 하나의 예술작품을 완성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 거예요.방법은 간단해요. 인공지능에게 과제를 주고 잘 수행하는지 평가하는 거죠. ‘소년과 소녀가 사랑에 빠지고, 외계인이 소녀를 납치하면 소년은 말하는 고양이의 ... ...
- [과학뉴스] 식물과 두뇌의 성장이 유사하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그 변화를 관찰했다.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연구팀은 식물 가지의 분포 변화를 하나의 함수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수학 모델에 따르면, 식물은 공통적으로 ‘분리성’과 ‘자기유사성’ 원칙에 따라 성장한다. 분리성은 한 가지의 성장이 다른 가지의 성장과 ... ...
- [Infographic] 인체의 지지자 뼈는 왜 강한가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인포그래픽 ‘역동적인 인체’ 두 번째 주제는 골격입니다.관절이 우리 몸의 움직임을 담당한다면, 골격은 몸의 형태를 담당합니다.몸을 지탱하고 ... 준다.갈비뼈, 복장뼈(흉골), 어깨뼈, 골반뼈 등의 특정 뼈에 있는 골수는 중요한 기능이 하나 있는데, 새로운 혈액세포를 만드는 일이다 ... ...
- [Origin] 1년에 단 하루 ‘야행성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차지하고 있었다.”일본에 서구 문물을 전파한 미국 매튜 페리 제독의 ‘검은 배’ 중 하나인 호위함 ‘미시시피’ 호에는 미국의 성직자 조지 존스가 타고 있었다. 1855년 3월 22일 일본 요코하마에 내린 그는 5개월 전인 1854년 10월 16일 항해 중 ‘수평선을 따라 늘어선 희끄무레한 빛’을 봤다고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통찰을 이끌어낸 비결은 저자들의 실력 덕이기도 하지만, 그보다 먼저 우연이라는 하나의 키워드에 대해 여럿이 다양한 이야기를 하게 한 기획 덕분이다. 그러니까 우연히 이 책을 마주쳤다면, 당신은 정말 운이 좋은 사람이다.“자연, 문화, 역사로 보는 비의 연대기”‘비’만큼 주관적인 단어가 ... ...
이전3503513523533543553563573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