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제어시스템으로 완벽한 인공지능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검증한다인공지능에 관한 취재를 하다 보면 연구자들이 가장 많이 하는 말 중 하나가 “우리도 잘 모른다”이다. 인공지능이 어떤 기준을 가지고 이런 결과값을 내놓는지 알 수 없다는 맥락에서다. 이 교수는 “인공지능이 ‘왜’ 그런 선택을 했는지는 알 수 없더라도, ‘어떻게’ 선택을 하는 ... ...
- Part 3. DNA로 몽타주를 그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응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말했습니다.Session 2. DNA 데이터베이스 어디까지 허용돼야 하나본격적인 토론을 하기 전에 우선 전 세계적으로 DNA를 활용한 과학수사가 어디까지 허용되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현장에서는 다양한 DNA가 발견됩니다. 지문도 발견되죠. 우리나라 국민이라면 지문을 ... ...
- Part 4. 시체 없이도 살인을 증명할 수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제각각인데, 같은 조직, 가령 폐에서 나타나는 패턴이 동일할 수 있느냐는 것이고, 또 하나는 조직을 구별할 수 있을 만큼 각각 다른 패턴이 나타나느냐다.2009년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 연구팀은 6명의 사망자로부터 얻은 11가지 조직(방광, 대장, 식도, 간, 폐, 이자, 위, 뇌, 심장, 신장, 비장) 시료로 ... ...
- [매스미디어] SHOW ME THE MONEY 6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언프리티 랩스타, 고등래퍼 같은 방송이 화제가 되며 가장 인기 있는 장르 중 하나로 거듭났다. 현재는 랩을 가르쳐주는 학원을 쉽게 찾아 볼 수 있으며 일부 교육기관에서는 랩을 전공과목으로 채택하기도 했다. 랩의 반복적인 리듬과 가사를 기억하기 쉽다는 특징을 이용해 복잡한 수학공식 같이 ... ...
- Part 4. 거대 도시에서 행복하게 사는 법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때 사람이 다니는 길만 생각하고 바람이 다니는 길은 만들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건물이 하나만 있으면 공기는 옆이나 위로 피해가지만, 건물이 숲을 이루면 거대한 산처럼 공기의 흐름을 막아버립니다. 또 건물을 잘못 배치하면 돌풍이 부는 곳이 생기기도 합니다. 빌딩의 벽을 타고 가던 공기는 ... ...
- Part 3. [디자인] 키는 쑥쑥~, 몸무게는 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매우 크고 무겁기 때문에 움직일 때마다 몸이 휘청거릴 수 있거든요. 메소드-2의 팔 하나의 무게는 130kg에 달해요. 그래서 앞으로 주먹을 내지르면 로봇의 몸 전체가 같이 움직여 균형을 잡기가 더욱 어려워진답니다. 따라서 팔까지 모두 갖춘 거대로봇을 만들기 위해선 질량을 효과적으로 배치하는 ... ...
- [에디터 노트] 백신 불신이라는 미신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일들 가운데 상당수는 현대 사회를 해석하는 데 잘 맞지 않습니다. 백신 회의론도 그 중 하나입니다. 백신을 맞으면 열이 나거나 심각한 병에 걸릴 것 같은 의심, 실제로 주변에서 백신 맞고 아팠다더라는 ‘카더라’ 통신이 주는 공포는 직관적이긴 하지만, 거의 전부 매우 높은 확률로 사실이 ... ...
- [Future] ‘녹조라떼’로 만든 신발이 있다고?과학동아 l2017년 07호
- 57 갤런(약 216L)을 깨끗하게 할 수 있다.이번 신발 개발에 쓰인 물은 중국의 3대 담수호 중 하나인 타이후 호의 물이다. 1980년대에는 인기 있는 휴양지였지만, 2007년 급격히 증가한 녹조로 식수 이용을 중단하는 등 녹조로 꽤나 속앓이를 했던 곳이다. 당시 중국은 100억 달러가 넘는 돈을 투자해 녹조를 ... ...
- [Future] 성큼 다가온 양자정보통신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광자를 원하는 위치에서 검출할 수 있다. 광자는 입자지만 동시에 파동이기 때문에 하나의 광자가 두 개의 길로 동시에 이동할 수 있고, 편광판을 통과한 광자 중 위상이 같아 보강간섭이 일어나는 곳에서만 광자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서 언급한 대로 광자에 입력한 정보와 입력방식을 모두 ... ...
- [Photo] 문명의 대들보 철과 그 광물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학계에서는 이를 토대로 지구의 옛 역사를 추리하고 있다. 학자들은 호주와 아프리카를 하나로 이은 고대의 대륙을 두 지역의 이름을 합성해서 ‘발바라(카프발+필바라)’라고 부른다. 이처럼 광물, 특별히 철은 지구의 역사를 고스란히 보존하고 있는 자연의 박물관이다.이지섭_director@naturehistory ... ...
이전3513523533543553563573583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