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d라이브러리
"
형태
"(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리대 변신 가능한가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가장 가까운 합성물질인데, 탄수화물의 일종인 셀룰로스를 이황화탄소(CS₂)에 녹여 섬유
형태
로 만든다.레이온은 인체에 해롭지 않지만 레이온을 만들 때 쓰는 이황화탄소는 인체에 해를 끼친다. 장 교수는 “생리대를 만드는데 쓰이는 이황화탄소 같은 물질이 제품에 남아있다면 여성의 몸에 나쁜 ... ...
'효소 철기군'이 유전병을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있다. ‘손’ 맞잡기 위한 묘수DNA 분자는 염기서열 2개가 꽈배기처럼 꼬인 이중나선
형태
다. 이 두가닥이 각각 반대 방향으로 풀리며 복제가 일어난다.주목할 점은 DNA 복제는 한 방향으로만 일어나는데, 이때 풀린 한 가닥과 새로 생기는 한 가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달라붙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 ...
3주년 맞은 NASA의 화성탐사로봇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또는 이온이 두 장 평행으로 늘어서 있고 그 사이에 금속원자를 끼워 마치 샌드위치 같은
형태
의 화합물 평면상 분자 또는 이온으로서는 시클로펜타디엔일 · 인덴일 · 벤젠 · 프탈로시아닌 등이 그 전형적인 예이다북아메리카 서안(西岸)과 거의 평행하게 북서~남동쪽으로 뻗은 대규모의 단층 ... ...
PART2 암 발생 20년 전에 진단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찍을 수 있다.현재 다중검출CT는 PET와 결합해 시너지를 내고 있다. CT는 해부학적
형태
를 보여주는 반면, PET는 포도당 대사 같은 생체 물질대사를 들여다본다. 방사성동위원소는 포도당 유사체를 붙여 몸속에 주사하면 1시간 뒤 정상조직과 달리 포도당 대사가 활발한 암에만 모인다(단 정상인도 ... ...
21세기형 만능 공장 디지털 팩토리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김디지 공장장은 사무실에 들어서자마자 컴퓨터부터 켠다. ‘오늘은 무슨 공장을 지어줘야 하나?’ 김 공장장이 열심히 게시판을 체크하고 있는데 모니터 ... 활용하면 생산성을 20% 이상 향상시킬 수 있다”면서 “디지털 팩토리는 가상공장의 가장 진화한
형태
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연이 끄는 화물선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鐵礬石)이 라고도 한다두상(豆狀) · 토상(土狀) · 혹모양 · 단구상 등 여러 불규칙한
형태
를 이루고 있다굳기 13, 비중 20이다순수한 것은 회백색이지만 일반적으로는 산화철로 인해 적갈색을 띠고 있다 항공기에 소용돌이를 발생시키는 작은 조각 날개 표면이나 동체단면에서 복잡하게 변화하는 ... ...
2015년 천방지축 암 길들이기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누구나 평생 관리해야 하는 만성질환이라고 여길 것이다.2015년이면 아침에 일어나 CD
형태
의 진단키트로 컴퓨터에서 간단하게 검진을 받은 뒤 암 치료제를 먹고 생활하다가 퇴근한 뒤 양성자 빔으로 치료받을 수 있지 않을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15년 천방지축 암 길들이기 PART1 개인 ... ...
땅 위에 떠오른 오리온자리, 피라미드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미국 팔로마산 천문대 200인치 망원경은 이론적 분해능이 0.02"였다. 베텔기우스는 동그란
형태
를 망원경으로 볼 수 있는 몇 안 되는 별 중 하나였지만, 현실적으로 지상에 있는 망원경은 대기의 상태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론적 분해능을 얻기란 쉽지 않았다.동그란 베텔기우스의 모습을 직접 ... ...
루브르 박물관전에 가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1 : 1.618의 비율을 이룬다. 황금비는 피라미드나 파르테논신전부터 신용카드나 담배갑의
형태
에까지 널리 쓰이는 이상적인 비율이다.황금비가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곳은 자연이다. 조개껍데기나 고둥은 황금비를 따르는 등각나선 모양으로 성장한다. 어쩌면 자연이 주는 편안함과 싫증나지 않는 ... ...
숨바꼭질 잘하는 색맹 원숭이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1/3 이상을 차지한다.멜린 연구원은 “색맹 동물은 색 구별 능력은 떨어지지만 물체의
형태
나 윤곽을 구별하는 능력이 뛰어난 경우가 많다”며 “이 때문에 동물 게놈에 색맹 유전자가 아직도 남아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 ...
이전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