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d라이브러리
"
형태
"(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개척 전파에서 노다지 캔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짧아지면 ‘3차원’으로 회로를 구성하는 ‘마이크로머시닝기술’을 사용해 반도체칩
형태
로 집적할 수 있다. 연구단의 이름이 ‘3차원 밀리미터파 연구단’인 이유다.밀리미터파의 상용화라는 면에서 연구단이 보유한 기술은 세계에서도 독보적이다. 연구단장인 서울대 권영우 교수는 ... ...
교향악단 조율의 비밀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나타난다. 줄을 잡아당기면 늘어나기 마련이지만 아주 세게 잡아당기지 않는 한 그
형태
를 유지한다. 즉 줄은 용수철과 같은 탄성때문에 계속 진동한다. 반면 단위길이 당 질량 $μ$가 갖는 관성은 탄성에 의한 줄의 운동을 방해한다. 이런 탄성과 관성의 밀고 당김의 관계가 파동을 만든다.이를 ... ...
북한 핵실험 심층분석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일정한 간격으로 놓고 일시에 폭파시켜 플루토늄이 연쇄반응을 일으키도록 한다. 이런
형태
의 원자폭탄을 내폭형(Implosion type)이라고 하는데, 고폭장치가 얼마나 정확히 작동하는가에 따라 폭발 위력이 달라진다.우라늄탄은 플루토늄탄에 비해 비교적 제작이 쉽다. 농축한 우라늄235(${U}^{235}$)에 ... ...
USB 충전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이유로 부정되었다 알베르스-쉔베르크(Albers-Schönberg)병에서 야기되는 뼈의 변화 뼈의
형태
나 크기에는 변화가 없이 경화하는 것이며 골수강(骨髓腔)이 좁아진다골경화(骨硬化)는 대부분 좌우대칭적이며 척주(脊柱) · 골반 · 두개골 등에서 잘 발생한다골경화 부분은 X선촬영으로 음영(陰影)이 ... ...
사과 원자, 포도 분자?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수소기체 1L와 염소 기체 1L가 반응해 염화수소가 만들어질 경우 돌턴은 H와 Cl이 합쳐진
형태
의 염화수소에 염화수소‘복합원자’라는 말을 사용했다. 돌턴에 따르면 반응은 H+Cl→HCl로 진행한다.하지만 뭔가 이상하다. 돌턴의 반응식에서 수소 원자 1L와 염소 원자 1L가 반응하면 염화수소 복합원자 ... ...
휴전선 감시하는 군인로봇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습도를 측정하는 기기이다 길이가 다른 두 다리를 가진 굴곡유리관이 기둥 위에 받쳐진
형태
이다 황산아연과 황산구리 수용액을 전해액으로 하고 음극에 아연, 양극에 구리를 사용한 전지 일차 전지의 하나로서 영국의 J F 다니엘이 발명했다 여러개의 로켓이 연결되어 연속적으로 추진하는 로켓 ... ...
태권V 가볍고 튼튼하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반사되도록 만들었다. 따라서 태권V의 몸체도 모서리가 없는 둥근
형태
보다는 각진
형태
로 만들어야 한다. 물론 이런 구조적인 문제도 전파흡수재료가 우수해지면 해결될 수 있다.구조적인 문제가 해결된 다음에는 전파를 흡수하는 재료를 선택해 태권V 몸에 코팅해야 한다. 코팅하는 재료로는 ... ...
빛을 느끼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진공 속에서는 무려 1초에 30만㎞를 나아갈 수 있다. 한 때 빛이 물결과 같은 파동의
형태
로 움직이는지 아니면 알갱이와 같은 입자 상태로 나아가는지는 물리학계의 큰 논쟁거리였다. 19세기 말 영국의 물리학자 맥스웰은 빛이 전자기파의 일종이라고 주장했다. 빛은 전기와 자기의 진동이 공기 ... ...
2. 디지털 솔저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훌륭한 방탄복이 된다.ISN은 처음에 거북이 등껍질 모양의 LCE를 사용했다. 그런데 이
형태
는 방호력이 뛰어난 반면 너무 단단해 병사가 입고 움직이기 불편했다. 게다가 무게가 약 18kg 정도 나가 전투복으로 사용하기에는 너무 무거웠다. ISN은 현재 전투복의 무게를 약 5.4kg으로 줄인 것으로 알려졌다. ... ...
3. 달려라 달려, 무적 로봇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것이다. 한편 서비스로봇은 인간의 기능을 대신하는 개념에서 출발했으므로 휴머노이드
형태
가 많다. 한국의 군사로봇 개발 계획최근 육군은 2025년을 목표로 군사로봇 개발 로드맵을 발표했다. 앞으로 10년 안에 보병부대와 대테러부대에 정찰용 군사로봇이 배치되고, 2020년에는‘견마형 로봇’이 ... ...
이전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