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수명
삶
인생
생애
명
생계
d라이브러리
"
생명
"(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2. 공장에서 진화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다이옥신 분해
생명
체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이처럼 과학자 의도대로 진화된 인공
생명
체를 과연 어느 수준까지 제조할 수 있을까. 이미 전세계 바이오의약품 공장에서는 인간의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인공대장균과 효모들이 자라고 있다. 또한 농약을 분해하는 미생물의 유전자, 곤충의 독소를 ... ...
까마귀 지능, 침팬지와 막상막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새의 행동에 대한 연구가 한창이다. 저술가이자 과학대중화에 앞장서고 있는 서울대
생명
과학부 최재천 교수의 연구실이 바로 그곳. 최 교수팀이 연구하고 있는 까마귀과 새는 바로 까치. 우리나라 사람들은 까치는 길조, 까마귀는 흉조라고 여기지만 사실 까치는 까마귀 패밀리의 일원이다.연구실 ... ...
천재들의 기록을 원본으로 보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담담히 풀어간다. 책에 담긴 지식은 과학이 중심이지만 인류의 미래, 휴머니즘 세계관,
생명
에 대한 단상 등 과학자들의 지성을 보여준다. 한편으로는 과학의 천재들이 동시에 얼마나 ‘글의 천재’였는지도 알 수 있다. 종의 기원은 물론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 등 이 책에 소개된 과학책은 ... ...
"박테리아를 연구하는 생물공학계의 뽀빠이 박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박사1992년∼1994년 한국과학기술원 생물공정연구센터1994년∼현재 한국과학기술원
생명
화학공학과 교수2000년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학교 초빙교수2000년∼현재 생물공정연구센터 소장2000년∼현재 과학기술부 대사공학 국가지정연구실2001년 영국 캠브리지대학교 방문교수2002년∼현재 세계경제포럼 ... ...
알코올 펑펑 쏟아내는 박테리아 나와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20% 이상 높인 슈퍼알코올박테리아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이번 연구결과는
생명
공학 분야의 세계적 전문지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 2005년 1월호에 게재될 예정이다. 관련성과는 국내외에 특허 출원된 상태다.자이모모나스는 산소가 없어도 포도당 등을 에너지로 이용해 알코올 ... ...
'사이언스' 선정 2004년 10大 과학 뉴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30억 달러를 지원했다.10위 _ 심해
생명
체 탐색바다나 지하 깊은 곳의 물에서 DNA를 찾아
생명
체의 흔적을 찾는 일이 활발했다. 북대서양 사르가소 해에서 1500L의 물을 퍼내 100만 개 이상의 새로운 유전자를 발견했다. 폐광 지하 1km에서 길어올린 물에서 철화합물을 먹고사는 미생물로부터 새로운 ... ...
새들에게 세상의 경계는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사막을 횡단하는 황새.꼬박 3년을 철새와 함께 지구 곳곳을 날아다닌 제작진에게 철새는
생명
의 경이와 숭고함을 깨닫게 해줬다.각인 효과로 훈련 가능“아니 도대체 어떻게 찍은 거야?”화면에는 이런 의문이 들게 하는 장면이 계속된다. 카메라 바로 옆에서 새가 날고 있기 때문이다. 종종 카메라 ... ...
과학과 미학의 만남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현미경을 통해 본 경이로운 마이크로 세계를 담은 사진 작품들이 전시됐다. 이들은 모두
생명
과학 분야 연구자들이 제1회 전국바이오현미경사진전에 출품한 작품이다. 총 120여점의 사진 중 몇 작품을 소개한다.날아라 곰팡이현익화ㆍ국립식물검역소 중부격리재배관리소 연구원식물의 잎에 ... ...
동굴에서 새로운 종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수집한 곤충은 대부분 처음 본 것들”이라며 “상클리랑은 지구상에서 동굴에 사는
생명
체가 가장 다양한 곳으로 여겨진다”고 말했다.한편 이 일대는 현재 무분별한 벌목과 채광으로 급속히 파괴되고 있는데 과학자들은“그 존재가 알려지기도 전에 멸종되는 생물종이 많을 것”이라며 ... ...
100억배 더 밝은 4세대로 탈바꿈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밝혔다.또 다른 창의연구단인 유전자손상신호전달연구단 조윤제 교수(포항공대
생명
과학과)는 암 등 세포 손상과 관련된 단백질의 구조를 연구하고 있다.조 교수는 지난해 8월 19일 과학 권위지 ‘네이처’에 유전자 복제 과정을 조절해 정상 세포가 암세포로 바뀌지 않도록 하는 단백질의 구조와 ... ...
이전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