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수명
삶
인생
생애
명
생계
d라이브러리
"
생명
"(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시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어떤 것들이 있을까. 과연 이들이 영화에 나오는 나노기계처럼 발전할 수 있을까.
생명
체만큼이나 감도와 정확성이 높은 바이오센서의 개발도 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의 중요한 한 분야다. 미량의 시료만으로도 질병을 진단하고 병균이나 오염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는 미래의 의학과 ... ...
숨 못 쉬는 조산아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이식할 수 있는 알맞은 심장을 구할 때까지 시간을 버는 수단인 셈.인공태반도 조산아의
생명
을 구하고 태아를 연구하는데 먼저 활용돼야 할 것이다. 그 이상의 스토리는 아직 요원하다 ... ...
새만금 갯벌에 기댄 어민들의 삶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곧 육지가 될 시한부 운명인 새만금 갯벌. 그 갯벌에 기대 평생을 살아가는 무수한
생명
과 주민들의 모습을 사진에 담았다.집 나간 며느리 불러들이는 전어 수심이 얕고 조수간만의 차가 큰 갯벌. 밀물을 따라 밀려온 고기떼가 썰물이 되면 대나무나 싸리나무를 울타리처럼 엮어 만든 함정에 딱 ... ...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액설 교수와 벅 연구원은 1991년 유전자 1천여개로 구성된 후각 유전자군을 발견했다고
생명
과학 학술지 ‘셀’ 에 발표했다. 이들이 발견한 후각 유전자는 하나하나가 서로 다른 후각 수용체를 만든다. 이론상으로 1천가지 종류의 후각 수용체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두 과학자는 1개의 수용체가 2, ... ...
2. 단 한 개의 바이러스도 검출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2차 트랜스듀서로 이용한 나노바이오센서가 최근 국내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KAIST
생명
화학공학과 정희태 교수팀이 그 주인공.탄소나노튜브는 지름이 1㎚ 정도인 속이 빈 길쭉한 분자로 구조에 따라 전도체 또는 반도체이다. 연구자들은 탄소나노튜브에 DNA가닥을 붙일 경우 탄소나노튜브의 ... ...
RNA로 유전병 고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지난 9월 7일 미
생명
공학기업인 시르나(Sirna)는
생명
공학계를 한바탕 떠들썩하게 만들었다. 퇴행성 각막질환 치료를 위해 개발한 신약의 임상시험 허 ... 그리 머지않은 장래에 RNA를 이용해 질병을 치료하는 등 RNA 간섭을 통해 새로운
생명
공학기술의 패러다임을 여는 시대가 오지 않을까 ... ...
그의 뇌와 그녀의 뇌는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장난감 자동차는 남자아이에게 훌륭한 선물이 될 수 있지만, 여자아이에게는 대체로 그렇지 않다. 설사 여자아이가 장난감 자동차를 받아들이더라도 남자아이들처럼 이리저리 끌고 다니며 놀기보다는 침대 위에 가지런히 놓고 마치 인형을 다루듯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남자아이와 여자아 ... ...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연구하다가 단백질 분해 쪽으로 발을 들여놓게 된 과학자들이 훨씬 많다. 단백질 분해가
생명
현상의 거의 모든 분야에 관여하고 있다는 증거다. 실제로 단백질 분해 과정은 세포의 노화와 죽음뿐만 아니라 암이나 면역체계 이상 같은 각종 질병의 치료와 신약개발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연구자들은 “마이크로나 나노패턴의 결정을 만드는데는 상향식 방법이 중요하다”며 “
생명
체가 나노수준에서 결정화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이해한다면 좀더 완벽한 나노구조물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DNA나 단백질보다는 뒤에 나타났겠지만 역시 무척이나 오래된 생체분자의 하나가 ... ...
세계 3번째로 큰 공룡 한국에 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번개와 햇빛, 강력한 화산활동 등 지구의 원시 환경도 초기의
생명
탄생을 도왔다.이기석 관장이 수십년 동안 모아왔다는 다양한 화석과 박제 표본도 이어졌다. 포유류, 소철, 암모나이트 화석을 비롯해 표범, 악어, 안경원숭이 등의 박제가 가지런히 모여 있었다. 강원도 ... ...
이전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