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생명
수명
운명
명령
비명
비문
d라이브러리
"
명
"(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배아줄기세포로 중증 눈질환 치료 성공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않았다. 수술 받은 18
명
중 13
명
에서 이식받은 세포가 정상적으로 자리를 잡았으며, 10
명
은 시력이 약간 좋아지기도 했다.연구진의 최종 목표는 망막색소상피세포가 아니라 광수용체를 이식해 환자들의 시력을 회복시키는 것이다. 광수용체는 망막색소상피세포보다 배양하기가 더 까다로워 현재 ... ...
[hot science] 전생에 삼엽충이었던 분을 찾습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개념을 잘 알지는 못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영혼이 있고 환생이라는 과정을 거친다면 분
명
어떤 법칙에 따를 겁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현실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문제를 생각해 봐야 하지 않을까요?물론 누누이 이야기했듯이 영혼이 존재한다는 과학적인 증거는 없습니다. TV에 나오는 전생 체험은 ... ...
[knowledge] 우주멀미는 괴로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있을 때도 별 의욕이 없고 그저 멍하니 있기 일쑤였다. 우리 열두
명
의 대원들 중 아홉
명
정도는 졸피뎀 같은 수면제를 복용해야만 겨우 잠을 청할 수 있었다. 입맛이 없다며 우주식도 잘 먹지 않는데다가 수면도 충분치 않으니 체중이 줄어 수척해 보이는 대원도 몇몇 있었다.낮과 밤이 따로 없고 ...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있다. 비록 ‘아직까지는’ 뚜렷한 흔적이 보이지 않지만 말이다. 폭발적인 디지털 문
명
이 이런 경향을 가속화할까. 답은 후대 인만이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럴 지능이 남아 있다면 ... ...
[career] 기숙사에서 매일 열리는 ‘비정상회담’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서로를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중국에서 온 피야오웨닝(바이오및뇌공학과 2년)은 지역
명
문고인 연변제1고를 최고 성적으로 졸업하고 KAIST를 왔다. 웨닝은 “칭화대나 베이징대를 나오면 중국에서 취업하기 좋지만, 좀 더 국제화된 분위기에서 학교를 다니고 싶어 KAIST로 왔다”고 말했다. 그녀는 ... ...
[life & tech] 거대한 빛을 체험하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15일 임시 개관부터 올해 9월까지 누적 관람객 수 33만7457
명
을 달성했다. 하루 평균 약 1000
명
에 이르는 시민이 방문해 과학문화를 체험한 셈이다. 개관 1주년을 맞아 최은철 관장은 “앞으로도 국내외 관련기관과 함께 새롭고 특색있는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을 꾸준히 만들 예정”이라며 “우리 ... ...
“클림트의 그림은 왜 더 야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세포핵을 지닌 상피세포가 떠오른다”며 “클림트가 자연에서 영감을 얻은 것이 분
명
하다”고 말한다.19세기 말 빈의 특이한 분위기도 분리파에 영향을 줬다. 당시 빈의 분위기는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중산층과 진보적인 견해를 가진 황제가 이끌었다. 이런 자유로움 속에서 빈에서 활동하던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흩어져 있었다."밤하늘에 떠 있는 별 같은 박테리아""아픈 스토리예요." 조장천 인하대 생
명
과학과 교수는 8월 6일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어렵게 말을 꺼냈다. 조 교수는 박테리아(세균) 분야의 세계적인 신종헌터다. 10년 전 새로운 문(門)에 해당하는 박테리아를 발견해 세계를 놀라게 한 사건에 대해 ... ...
[과학뉴스] 식물인간도 영화 볼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이미 “23세의 식물인간 여성이 의식적인 뇌활성을 보였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해 유
명
해졌다. 당시 연구팀은 식물인간에게 “테니스를 치고 있다고 상상해 보라”고 주문한 뒤 뇌의 활성패턴을 관찰했는데, 뇌의 ‘운동영역’이 건강한 사람과 마찬가지로 활성화됐던 것이다. 연구팀은 이와 ... ...
[과학뉴스] “공기 전염 에볼라는 당분간 불가능”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월 13일 열린 과학동아 카페의 주제는 에볼라 바이러스였다. 일반인과 학생으로 구성된 120
명
의 참석자들은 과일박쥐가 왜 에볼라의 진원지였는지, 한국의 박쥐도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은 없는지, 백신과 치료제 개발 현황은 어떤지 등에 대해 진지하게 질문했다.과학동아 카페는 매달 ... ...
이전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