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명"(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신종헌터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한 해 새로 발견된 생물만 해도 무려 1만8000종. 당신이 글을 읽고 있는 이 순간에도 3~4만 명에 이르는 신종헌터들이 지구 곳곳에서, 특히 오지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종을 찾아내고 있다. 아직 남아있는 99%는 어디에 숨어있는 걸까. 우리는 왜 신종을 찾아야하는 걸까. 10월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첫 ... ...
- PART 2. 광대뼈가 높을수록 진실한 사람이라고?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다양성왜 이런 결과가 나왔을까. 여기에도 진화가 개입했을 가능성이 크다. 뇌는 분명히 얼굴을 통해 사람을 구분하고 파악하는 쪽으로 ‘똑똑하게’ 진화했다. 하지만 그 동안 얼굴이 놀고만 있던 것은 아니다. 얼굴 역시 생존과 번식에 유리한 방향으로 진화했다. 만약 얼굴 표정을 통해 자신의 ... ...
- [과학뉴스] 청소년의 ‘워너비’는 1~2살 많은 ‘언니’과학동아 l2014년 10호
- 9월 18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5학년부터 8학년(중학교 3학년) 여학생 1536명에게 설문 조사했다. 설문은 식습관과 생활태도, 외모에 대한 내용이었는데, 동급생이나 선배, 또는 월반한 환경과 관련해 스스로에게 얼마나 만족하는지에 대해서 조사했다.연구 결과 청소년들은 자신보다 나이가 1~2살 ... ...
-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공리주의 원칙에 따라 결정을 내린다. 이 인공지능을 탑재한 돌봄 로봇은 환자의 생명유지장치를 끌지 여부를 결정해야 할 상황에서 공리주의 규범에 따라 결정을 내릴 것이다. 이런 접근 방법은 사람의 사고체계와 비슷해 윤리적인 인공지능을 만드는 데 가장 옳은 방법이라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 ...
- [career] 한화 사이언스 챌린지 2014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불구하고 본선 진출작의 수준은 놀라웠다. 올해 대상을 수상한 서울과학고 MacTosh팀(이명환, 함재훈, 지도교사 이상귀)의 연구를 살펴보자.세 팀 모두 독창적인 아이디어와 끈기 있는 자세가 돋보였다. MacTosh팀의 함재훈 학생은 “2차 전지의 확대막 재질이나 화학반응 같은 정보는 기업 기밀이라 알기 ...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얼굴 플로레스인인도네시아 플로레스에서 발견된 의문의 화석, 호모 플로레시엔시스(일 명 '플로')는 어떨까. 플로는 여자인데, 두뇌가 인류 역사상 가장 조그마한 편이다. 용량이 450cc로, 오래 전에 살았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 스에 버금간다. 하지만 얼굴은 크게 다르다. 플로는 두뇌뿐 ... ...
- [knowledge] 루게릭병,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요즘엔 루게릭병이 무엇인가를 알기 위해 저희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사람이 매일 1만 명이 넘습니다. 환자들은 그 관심이 반갑고 고맙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붐으로 인해 맞춤복지 정책이 나오고 치료제가 개발되리라 기대를 하게 됩니다.”그는 한마디 당부의 말로 e메일을 끝맺었다.“발병의 ... ...
- [knowledge] 야생담배의 매력에 빠지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일도 동시에 하고 있다. 다른 친구도 있다. 야생담배가 만들어내는, 표면을 뒤덮은 투명한 방울처럼 생긴 조직을 먹은 만두카는 몸과 배설물에서 이상한 냄새를 풍기게 된다. 이 냄새를 맡은 개미는 어느새 식물의 줄기를 타고 올라와 만두카를 잡아간다. 만일 끝까지 만두카가 살아남으면, 최후의 ... ...
- [박경미 교수의 수학캠핑] 선행학습의 감옥에 갇힌 학생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선택한 남성을 받아들이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둘째, 네 명의 남성이 네 명의 흑갈색 머리의 여성에게 분산해서 접근하는 경우에는 여러 커플이 성사될 수 있다. 이 때 각 친구들의 만족감의 합은 두 번째 경우가 더 높을 것이다. 비록 금발 미녀는 아니지만, 춤을 못 추는 것보다 낫기 ... ...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해도 말이다.현대 물리학은 허무한가2013년 오스트리아에서 열린 한 양자물리학회에서 33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투표를 실시했다. 지지하는 양자해석이 무엇이냐고 물었는데, 코펜하겐 해석 42%, 정보이론 해석 24%, 다세계 해석 18%였다. 여전히 코펜하겐 해석이 가장 많지만, 지지자가 절반도 안 ... ...
이전3623633643653663673683693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