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d라이브러리
"
확인
"(으)로 총 8,489건 검색되었습니다.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앓던 68세 환자가 이 인공심장을 이식받은 뒤, 마치 정상인처럼 생활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
됐거든요.이렇게 인공심장이 인간의 몸속에서 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실제 심장인 ‘척’ 몸을 속여야 해요. 우리 몸은 신체의 일부가 아닌 물질이 들어오면 바이러스나 병원균과 같은 침입물질로 ... ...
[생활] 페이 경쟁 생체인증이 대세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두 과정으로 나뉜다.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등록하는 과정과 사용자 자신이 자신임을
확인
받는 인증 과정이다. 생체인증 시스템은 저장된 생체정보와 센서로 읽은 생체정보를 1:1로 비교해 일정 수준 이상으로 비슷하면 본인으로 인증한다. 수집하는 생체정보에 따라 사용하는 알고리즘은 서로 ... ...
시력 좋은 아리랑 3A호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아리랑 3A호는 적외선 센서를 갖고 있어 적외선 영상을 찍어 촬영 지역의 온도 차이도
확인
할 수 있어요. 적외선 영상에서는 온도가 높은 지역은 빨간색으로, 낮은 지역은 파란색으로 나타나기 때문이지요. 이를 통해 도시의 열섬 현상이나 기후 변화를 분석할 수도 있답니다 ... ...
야행성 VS 주행성 동물들이 보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그래서 사람은 ‘시각 포식자’라고 할 수 있어요. 시각 포식자란, 먹이를 눈으로
확인
하고 포획하는 포식자라는 뜻이에요. 물론 소리나 냄새를 이용해 정보를 얻기도 하지만, 획득하는 정보의 양이나 질을 따지면 시각을 따라올 수 없답니다.사람에게 있어서 시각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다른 ... ...
개미학자에 도전하라! 국립생태원 개미세계탐험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관찰하며 과학적으로 질문을 던지고 가설을 세워요. 그런 뒤 자신의 가설이 맞는지
확인
하는 개미 연구를 진행해요. 이 과정에서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나오면 이를 다른 과학자들 앞에서 발표해 검증을 받지요. 개미학자에 도전하는 마지막 관문은 바로 학술 발표 시간이었어요. 명예기자들은 오늘 ... ...
가우디 그의 생각을 엿보다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엘 카프리초 같은 초기 작품만 봐도, 건축 양식이 한 세대를 앞서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가우디는 철골 구조가 필요 없는 건축 양식에 집중했다. 특히 벽돌과 사기를 주 재료로 사용하면서, 자연을 닮은 곡선이 작품 전체에 드러나도록 노력했다. 이번 전시 ‘안토니 가우디전’에서 공개한 ... ...
[지식] 접기+자르기+수학=무한한 가능성!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십자가 모양의 무늬가, 빗면에 무늬를 만들었던 종이는 X자 모양으로 무늬가 생기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이처럼 ‘자르기’를 어느 위치에 하느냐에 따라 무늬의 대칭이 달라지니, 기리가미에서 대칭에 대한 이해는 필수다. 기리가미 전문 작가들은 대칭을 연구해 더 복잡한 무늬를 활용한 작품을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20분에 한 번씩 새로운 세대를 만들 때 식물은 몇 달을 기다려야 한 세대의 표현형을
확인
할 수 있다. 식물 세포 자체의 특징 때문에 실험실에서 세포를 배양하기도 어렵다. 사람과 직접 연관된 분야가 아니다보니 관심도 적다. 그럼에도 우리는 식물의 놀라운 유연성을 계속 연구해야 한다. 멘델이 ... ...
[핫이슈] 폭염은 재난이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위해 냉방기가 갖춰진 쉼터를 운영한다. 또 생활관리사들을 파견해 안전을 일일이
확인
하기도 한다.하지만 우리나라에는 극한상황에 대한 위기관리매뉴얼이 없다. 프랑스에서는 국가 폭염대응단계를 4단계로 구분한다. 3단계까지는 각 지역에서 상황을 관리하지만 전국적으로 폭염이 극심해지면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났다. 현미경이 발달하면서 생식세포가 피부세포나 뇌세포가 없는 단일 세포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당연히 정자 안에 아주 작은 사람도 존재하지 않았고 전성설은 몰락했다. 후성발생은 1879년 월터 플레밍이 염색체를 발견하면서 개념을 수정해야 했다. 플레밍은 염색체가 발생에 중요한 ... ...
이전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