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d라이브러리
"
확인
"(으)로 총 8,489건 검색되었습니다.
임미희 자연과학부 교수 - 알츠하이머 고치는 화학자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알츠하이머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베타 아밀로이드’가 뇌에서 어떤 작용을 하는지
확인
하는 화학도구를 개발해 학술지 ‘케미컬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했다.알츠하이머의 원인 찾는 똑똑한 물질알츠하이머를 앓는 사람의 뇌를 관찰하면 베타 아밀로이드가 많이 발견된다. 이 단백질이 ... ...
우주론을 바꾼 역사 뒤편의 영웅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빼 버렸다. 학회는 왜 논문을 검열했던 걸까. 역사의 미스터리다.팽창우주를 관측으로
확인
한 휴메이슨허블은 1936년과 1937년 자신의 연구를 책으로 발표하면서도 르메트르를 전혀 인용하지 않고 있다. 당시엔 르메트르가 학계에 널리 알려진 뒤였는데도 말이다. 허블이 공로를 전혀 인정하지 않은 ... ...
물의 지배자 모사사우루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수중 파충류, 모사사우루스다!현상금은 최고급 포도주 600병!모사사우루스의 존재가 처음
확인
된 것은 18세기 중반, 유럽에서였다. 1764년, 다양한 해양생물의 화석이 발견되던 네덜란드 마스트리흐트 지역의 한 백악(白堊) 채석장에서 거대한 머리뼈 화석이 발견됐다. 이 화석을 연구한 과학자 ... ...
[지식] 슬쩍 슬쩍 글 도둑 표절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때문이다. 반면, 특허문서 검색 프로그램처럼 유사한 특허 기록을 하나도 빠짐없이
확인
해야 하는 경우에는 재현율이 높은 것이 좋다. 특허를 등록하려고 할 때 이미 비슷한 특허가 있다는 것을 놓치는 일을 막기 위해서다.어절★ 문장을 구성하는 단위. 띄어쓰기의 단위와 같다. 뛰는 놈 위에 나는 ... ...
순간 포착! 아기별의 진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사방으로 나오는 형태)에서 쌍극자형(아래위로 나오는 형태)으로 계속 변하고 있다는 걸
확인
할 수 있었어요. 2013년 김순욱 교수와 김정숙 박사의 연구 결과가 입증된 셈이에요. 연구팀은 ‘앞으로 아기별이 왜 분출물의 방향을 바꾸는지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어요.사람들은 우주가 ... ...
[지식] 열대과일의 비밀, 파인애플은 알고 있다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직사각형의 세로와 평행하도록 점 B를 움직여 봅시다. 그리고 점 B가 어디에 놓였는지
확인
해 봅니다. 놀랍게도 점 B의 위치는 가로선을 5:8로 황금분할 하는 지점이에요. 이때 긴 나선과 짧은 나선은 높이를 8등분하는 점마다 만날 수 있어요. 이런 방식으로 긴 나선 8개가 오른쪽 위를 향하는 경우와 ... ...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한 종류인 마이크로 RNA(miRNA)가 암세포에서 지나치게 많이 발현되는 것이 여러 연구에서
확인
됐다. 과학자들은 miRNA가 정상 세포의 활동을 방해해 암을 유발하는 것이 아닐까 추측하고 있다. 길고 짧은 RNA가 암을 넘본다염기 서열의 길이가 200개 이상인 비암호화 RNA는 ‘긴 비암호화 RNA(long non-coding ... ...
공유경제 ‘프로포즈 공식’으로 거듭난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물체와 구분하기 위한 알고리듬도 내장했다.운전자는 센서가 보내오는 정보를 앱에서
확인
하고 쉽고 저렴하게 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다. 거주자는 평소에는 버려지는 공간에서 부수입을 얻는다. “주인도 가치를 잘 모르는 공간입니다. 만약 한 시간에 2000원씩 받고 하루 4시간, 주 5일 동안 다른 ... ...
[생활] 우주로 떠나는 시간여행 천문학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그렇지 않다”며, “이론을 바탕으로 만든 시뮬레이션에서도 우주 거대구조의 존재가
확인
된 것은 이론과 실제가 잘 일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이렇게 SW는 우주 모형을 개선하고 우주 거대구조의 기원과 진화, 은하의 형성 과정 등을 이해하는 데 쓰인다. 천문 연구의 시작과 끝은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차용한 수학 모델로 해를 조금씩 변형한다. 바꾼 해가 최종 목표에 얼마나 가까워졌는지
확인
한다. 이 과정을 반복해 점점 더 좋은 해들을 만들어 낸다(동영상 참조). 뇌과학과 양자컴퓨터 더 발달해야장병탁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최근 애니메이션 ‘뽀로로’를 학습한 뒤 다음 편을 ... ...
이전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