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한"(으)로 총 12,947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해에는 작심66일! 굿바이 게으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열심히 돌았어요.연구팀은 도파민을 분비하는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으면 일에 대한 즐거움을 느끼지 못해 적극적으로 움직이지 않게 된다고 설명했어요. 그 결과 게을러 보일 가능성이 높다는 거죠.사람의 게으름이 유전자와 관련 있다는 게 밝혀지기도 했어요. 미국 콜로라도대학교 대니얼 ... ...
- 나는 수학자다 앨런 튜링수학동아 l2015년 03호
- 낄 때까지 잘 씻지도 않고 사람들과 어울려 대화를 나누는 것도 서툴렀지만, 수학 연구에 대한 열정과 새로운 기계를 고안하는 창의력만큼은 타의 추종을 불허했다. 만약 그가 더 오래 살았다면 약 20년간 연구했던 리만 가설과 1940년대 꿈꾸었던 인공지능 연구가 좀 더 진전되지 않았을까. 아마 ... ...
- 제왕나비는 왜 추운 곳에서 겨울을 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얻을 수 있어요.이렇게 시민과학을 이용하여 제왕나비의 이주경로를 밝히는 일은 거대한 퍼즐을 맞추는 일과 비슷해요. 조각 하나만 가지고는 퍼즐의 그림을 알 수 없어요. 하지만 많은 시민이 참여할수록 많은 조각들을 얻을 수 있고, 이 조각들을 맞춰가며 전체적인 윤곽을 읽을 수 있답니다 ... ...
- [Knowledge] 절대공간은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잘 알 수 있게 될 것이다.우정처럼 시공간도 관계다?‘공간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철학자들의 답변은 크게 실체론(substantivalism)과 관계론(relationalism)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시간과 공간이 실체가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후자는 시간과 공간을 마치 우정이나 사랑처럼 물체나 사건 간의 ... ...
- [수학뉴스] 여성 수학자가 부족한 이유는 선생님 때문?수학동아 l2015년 03호
- 받았던 남학생의 성적이 월등히 높았습니다. 부당한 평가를 받은 여학생은 점점 수학에 대한 흥미를 잃고 진로도 수학과 관계없는 분야를 택했습니다. 특히 저소득층이거나 어머니의 학력이 아버지보다 낮은 경우 이런 경향이 두드러졌습니다.연구팀을 이끈 빅터 레비 워릭대 교수는 “이번 연구는 ... ...
- [생활] 수학을 알면 야구가 보인다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소용일까? 언뜻 보기에 둘은 서로 멀게만 느껴진다. 하지만 세이버매트릭스는 이미 이에 대한 대답을 준비해 놓았다. 기댓값과 실제 값의 차이를 비교하면 운을 통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바로 ‘베이스런’이라는 개념이다.1990년 미국의 데이비드 스미스가 개발한 베이스런은 타격 기록과 투구 ... ...
- [Hot Issue] 인류, 예술가가 되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수집가’가 먼저 등장한 셈이다. 색은 일찍부터 인류를 매혹시켰다. 혹시 색에 대한 집착과 활용이 예술의 기원은 아닐까. 에티오피아 가데드 지역에서는 문지르면 붉은색이 나오는 산화 현무암 조각이 발견됐다. 색을 인위적으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150만 년전의 지층이었다. ... ...
- [Life & Tech] 트랜스포머 엘리베이터가 온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승강기를 ‘콜’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고장이력, 운행정보 등 승강기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는 앱은 이미 출시가 돼 있고, 3월 말 승강기 호출이 가능하게 앱을 업데이트할 예정이다.“미리 한번 해보세요.” 우명제 현대엘리베이터 서비스기술부장이 스마트패드를 넘겼다. 앱에는 ... ...
- [Life & Tech] 저 하얀 설원 위에~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때문입니다. 태양이 움직이는 길인 황도를 15˚ 간격으로 나눈 24절기, 즉 입춘에서 시작해 대한으로 끝나는 절기력을 기준으로 하지요.* 가장 먼저 드는 절기가 입춘, 그러니까 양력 2월 4일에 띠가 바뀌는 겁니다. “헉! 올해 2월 1일에 태어난 내 조카도 그럼 말띠였던 거야?”이제 해가 뉘엿뉘엿 질 ... ...
- [Knowledge] 인골의 비밀 사연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모든 게 순조로워 보이지만 고인골 연구자들에게도 고민이 있습니다. 인골과 미라에 대한 법 제도가 마련되지 않아 그냥 파묻히는 인골이 너무 많다는 사실입니다. 이 부분은 저도 인류학자들을 만날 때 종종 듣던 하소연입니다. 현재는 출토되는 인골과 미라가 따로 신고나 집계도 되지 않고, ... ...
이전3633643653663673683693703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