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암 검사체계 바꿀 다중 모달 융합내시경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내시경과 질량분석기술을 접목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도체 공정에서 30여 년 전부터 사용된 기존의 질량분석 이미징 기술은 초진공상태에서 가속 이온 빔을 통해 이뤄졌고, 0.1μm(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m) 수준의 물체를 구분할 수 있는 성능(분해능)을 갖추고 있었다.문 교수는 “현재는 조직을 ... ...
- 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납작하게 구운 딱딱한 전병 형태였다. 그 자체로 먹거나 다른 음식을 만들 때 재료로 사용했다. 중동 지방의 납작한 빵, 이탈리아의 피자, 인도의 차파티, 그리고 멕시코의 토르티야 등 많은 전통 음식들도 이런 식으로 우연한 계기로 만들어졌다.‘진정한’ 빵은 효모 이용한 고대 이집트에서 ... ...
- Part 3. 최고의 빵 만드는 ‘태양의 손’은 누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더 맛있게 느껴졌다. 구멍 크기가 비교적 작아 향기 성분을 최대한 지킨 덕분이다.◀ 사용하기 간편하고 오래 보존 가능한 인스턴트이스트.발효종이 가장 맛있는 빵을 만든다이제는 빵을 직접 맛볼 시간! 화학팽창제만 넣은 빵들은 (빵이라 부르기도 무색할 만큼) 단단하고 질겼다. 그나마 ... ...
- Part 4. 벌레, 로봇을 입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목적지에 정확히 도착했답니다. 연구팀은 공항에서 마약을 단속하는 데 이 기술을 사용할 수 있을 거라고 말했어요. 딱정벌레와 잠자리를 드론처럼 조종한다?최근 싱가포르 난양공학대학교 사토 히로타카 교수팀은 꽃무지 딱정벌레를 드론처럼 조종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 ... ...
- Part 3. 마실물 만드는 별별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않는다”며, “전기가 없어도 물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아프리카와 같은 오지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어요.‘모세관 현상’으로 바닷물을 민물로!물이 든 컵에 빨대를 꽂으면 빨대에 물이 올라오는 것을 ‘모세관 현상’이라고 해요. 이 모세관 현상은 액체가 관에 붙으려는 힘 때문에 ... ...
- [DJ CHO의 롤링수톤] 걸어 다니는 오케스트라 한스 짐머의 ‘오일러 방법’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영화 음악은 사운드트랙의 하위 개념입니다. 편의상 영화 음악과 사운드트랙을 섞어 사용하지만요. 영화 음악은 다시 두 가지로 나뉘는데, 하나는 노래고 다른 하나는 순수 연주곡입니다. 후자를 ‘스코어’라고 하는데, 한스 짐머는 스코어를 만드는 사람입니다.영화에서 사운드트랙이 얼마나 ... ...
- Part 3. 무기 속의 또 다른 무기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수학이 쓰인다. 폭발물만 달면 드론은 미사일 무기가 된다. 알카에다 테러조직 소탕에 사용된 곤충크기의 소형 드론부터 전투기 크기까지 다양하다. 핵무기를 수학자가 만들었다고?! 현존하는 무기 중 가장 강력하고 치명적인 무기는 핵무기다. 핵무기는 핵분열이나 핵융합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 ...
- [과학뉴스] 마스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주의할 것은, 먼지가 많이 붙을수록 정전기 필터의 성능은 떨어진다는 점입니다. 재사용해선 안 되는 이유입니다. 세탁도 마찬가지고요.이렇게 만든 마스크는 식약처의 인증을 받고 마크를 부착합니다. KF80은 평균 지름 0.6μm 크기의 미세입자를 80%이상 걸러낼 수 있고, KF94, KF99는 평균 지름 0.4μm ... ...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없다는 걸 깨달았다. 전투의 승패는 사용가능한 에너지와 정보량에 달려 있었다. 마크가 사용하는 군체 인공지능의 가용정보량은 노마가 호신용으로 할당한 정보량의 세배에 달했다.마크가 자신만만하게 소리쳤다.“표정을 보니 이게 뭔지 알아냈나보군, 역사가 양반. 이 정도 무기라면 불멸자를 ... ...
- [헷갈린 과학] 낙타와 똑 닮은 라마vs알파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부드럽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열에도 강해요. 그래서 양탄자나 코트와 같은 옷의 재료로 사용된답니다.암컷 알파카와 수컷 라마는 서로 짝짓기를 해서 자손을 낳을 수 있어요. 이렇게 태어난 종을 ‘후아리조’라고 부르지요. 이 종은 독특한 털과 온순한 성향을 갖고 있지만, 다시 자손을 낳을 수는 ... ...
이전3673683693703713723733743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