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최고의 빵 만드는 ‘태양의 손’은 누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더 맛있게 느껴졌다. 구멍 크기가 비교적 작아 향기 성분을 최대한 지킨 덕분이다.◀ 사용하기 간편하고 오래 보존 가능한 인스턴트이스트.발효종이 가장 맛있는 빵을 만든다이제는 빵을 직접 맛볼 시간! 화학팽창제만 넣은 빵들은 (빵이라 부르기도 무색할 만큼) 단단하고 질겼다. 그나마 ... ...
- Part 2. 과학자들이 반한 벌레의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벼룩이나 메뚜기는 근육의 탄성과 구부러진 외골격의 탄성을 모두 점프를 하는 데 사용해요. 사람이 점프할 때 다리 근육만 이용하는 것에 비해 딱딱한 외골격까지 모두 이용하는 거죠. 그 결과 몸길이의 100배 만큼이나 높이 뛸 수 있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벌레야? 로봇이야? ... ...
- Part 3. 마실물 만드는 별별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않는다”며, “전기가 없어도 물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아프리카와 같은 오지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어요.‘모세관 현상’으로 바닷물을 민물로!물이 든 컵에 빨대를 꽂으면 빨대에 물이 올라오는 것을 ‘모세관 현상’이라고 해요. 이 모세관 현상은 액체가 관에 붙으려는 힘 때문에 ... ...
- Part 1. 현대 전쟁 속에 숨은 패턴수학동아 l2017년 06호
- 가장 먼저 이라크전을 분석했다. NGO 보고서와 신문에서 공격하는 데 걸린 총 시간, 장소, 사용된 무기 정보를 모아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었다. 고울리는 공격 규모의 분포에 주목했다. 공격 규모는 사망한 사람의 수와 공격을 가한 횟수에 따라 일관된 분포를 보였다.전쟁을 예측하는 방정식연구팀은 ... ...
- 인터뷰. 육군사관학교 수학과 교수 박석봉수학동아 l2017년 06호
- 군사 용어로 표현하면 작전 연구입니다. 기본적인 수학 이론을 배웠다면, 실제 군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지요. 전투 지휘 훈련을 할 수 있는 워 게임을 비롯해 군사 기관에서 이용하는 수학 모델링을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합니다. 미사일 운용을 수학적으로 분석한다거나 조건에 따라 수학적으로 ... ...
- [포커스 뉴스] 랜섬웨어 ‘워너크라이’가 특별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여긴 영국의 한 보안 전문가(@malwaretechblog)가 이 도메인을 구매했더니, 엄청난 수의 사용자가 접속했고, 워너크라이의 전파 속도가 줄어들었다. 즉, 특정 도메인의 활성화가 워너크라이의 작동을 멈추는 킬 스위치였던 셈이다. 곧 이를 보완한 워너크라이 2.0이 배포됐지만, 이미 세계적으로 존재가 ... ...
- [Future] 코끼리가 초속 6cm로 똥 누는 비결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연구팀은 똥의 점도를 고려해 똥이 피부에 직접 닿지 않게 분리할 수 있는 우주 비행사용 기저귀를 설계해 출품했고, 준결승까지 올랐습니다.앞으로 더 재미있고 유익한 똥 연구를 기대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양 연구원은 “지금도 더 많은 똥을 수집하고 있다”며 “설치류의 알갱이 똥과 웜뱃의 ... ...
- [Issue] 슈퍼박테리아 비상, 그런데… 한국엔 재래식 무기만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한국과 이탈리아가 1위로 31.5DDD(의약품 규정 1일 사용량)를 기록했다. 이는 하루에 국민 1000명 당 31.5명이 항생제를 처방 받는다는 의미다.이 팀장은 “조금만 아파도 약을 먹는 습관도 문제지만 아프다가 조금 괜찮아졌다 싶으면 스스로 약을 중단한다. 이건 ... ...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없다는 걸 깨달았다. 전투의 승패는 사용가능한 에너지와 정보량에 달려 있었다. 마크가 사용하는 군체 인공지능의 가용정보량은 노마가 호신용으로 할당한 정보량의 세배에 달했다.마크가 자신만만하게 소리쳤다.“표정을 보니 이게 뭔지 알아냈나보군, 역사가 양반. 이 정도 무기라면 불멸자를 ... ...
- [헷갈린 과학] 낙타와 똑 닮은 라마vs알파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부드럽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열에도 강해요. 그래서 양탄자나 코트와 같은 옷의 재료로 사용된답니다.암컷 알파카와 수컷 라마는 서로 짝짓기를 해서 자손을 낳을 수 있어요. 이렇게 태어난 종을 ‘후아리조’라고 부르지요. 이 종은 독특한 털과 온순한 성향을 갖고 있지만, 다시 자손을 낳을 수는 ... ...
이전3673683693703713723733743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