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공중화장실이 두려운 그대… 뇌에 새겨진 스트레스, 강박증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전두엽 기능이 떨어져 특정 행동을 반복하는 것을 억제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이 방법을 사용한다.하지만 증상이 심한 사람은 이것만으로는 고쳐지지 않는다. 뇌의 선조체(90쪽 그림)가 기능이 떨어져 불안한 생각이 자꾸 떠오르는 경우다. 이 경우는 우울증과 마찬가지로 ‘긍정의 힘’을 내는 ... ...
- [Career] 사람에게 가장 편안하고 편리한 사물을 고민하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심하고, 600mm에서 가장 덜했다. 연구팀은 모니터의 곡률반지름이 600mm일 때 가독성이 높고 사용자의 눈이 피로를 덜 느낀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응용 인간공학’ 4월호에 발표했다(doi:10.1016/j.apergo.2016.11.012).경규형 교수는 “일반 공학 분야는 특정 기술의 연구에만 ... ...
- Part 1. 기대수명 90세는 통계의 환상?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미국국립보건원(NIH)이 폐경 후 여성의 건강상태를 조사한 ‘WHI(Women’s Health Initiative)’에 사용된 인구 코호트도 포함된다. 백인, 흑인, 히스패닉 등 세 인구집단은 포함돼 있었지만 아쉽게도 한국인이나 아시아계열이 포함된 코호트는 없었다. 호바스 교수는 과학동아 e메일 인터뷰에서 “노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자연에서 답을 찾다! FOMA 자동차 디자인 미술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딱정벌레의 색을 띤 승용차, 인간의 근육을 닮은 컨셉트카, 중력의 곡선을 지닌 이탈리아의 명차까지…. 자연의 색과 형태를 고스란히 지닌 자동차들 ... 맞아 자동차 디자이너의 세계를 경험해 보는 건 어떨까요? △자동차 충격 실험을 할 때 사용되는 모형 인형인 ‘더미’와 정세헌 친구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직접 만들고 조종해 보는 짜릿함! 나만의 ‘드론’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필요가 없어서 각종 기계들에서 유용하게 활용되지요. 그러다 보니 여러 무선 기기에서 사용되는 전파들이 서로 방해를 일으킬 수 있어요. 이 현상을 막기 위해서는 ‘주파수 호핑’ 과정이 필요해요. 주파수 호핑이란, 주파수를 빠르게 변화시키며 조금씩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이에요. 블루투스는 ... ...
- 비법 대공개! 대통령 메이커의 선거 필승 전략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선거 예측을 잘하기로 유명한 미국 통계학자 네이트 실버도 일종의 베이즈 정리를 사용합니다.베이즈 정리★ 두 확률 변수의 사전 확률과 사후 확률에 대한 정리로, 통계학자 토마스 베이즈가 처음 서술했다. 김재광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와 임종호 아이오와주립대학교 통계학과 박사후연구원이 ... ...
- [과학뉴스] 혈액에서 오래 살아남는 줄기세포 개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더 많은 줄기세포가 표적기관까지 도착한 것도 확인했다.홍 교수는 “나노박막 기술을 사용해 세포 안정성을 높여 중간엽 줄기세포 치료가 가진 한계를 극복했다”면서 “나노박막은 어느 줄기세포에나 적용이 가능하므로 면역질환, 뇌졸중 등의 줄기세포 치료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과학뉴스] 인공 자궁내막 탄생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실험동물을 사용하지 않고도 인체와 가장 비슷한 환경에서 실험하기 위해 만든 인공장기를 ‘오가노이드’라고 한다. 그런데 최근 영국 과학자들이 ‘자궁내막 오가노이드’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영국 케임브리지대 병리학과의 애슐리 모펫 교수와 그레이엄 버튼 영양막연구센터장이 이끄는 ... ...
- [포토 뉴스]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인공태양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주목 받는 수소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서다.현재 수소를 얻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물을 가열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많은 양의 화석 연료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DLR은 홈페이지를 통해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며 “신라이트는 태양에너지로 물을 ... ...
- [Future] 위조할 수 없고 빼돌릴 수도 없는 양자지폐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초 개봉했던 영화 ‘공조’는 북한 지도부의 비자금 조성을 위해 사용되던 달러 위조용 지폐 동판을 빼돌려 쫓기게 되는 장군의 이야기를 다뤘다. 정교한 지폐 동판으로 돈을 인쇄하면 현재의 진품 여부 검사를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양자정보’를 이용한 돈이 실용화되면 이런 스토리 ... ...
이전3703713723733743753763773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