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러시아 유인 달 선회 비행 L-1 계획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곧장 대기권에 진입했고 인도양에 떨어졌다. 존드5호는 달 비행 후 지구로 회수된 최
초
의 우주선이다.1968년 11월 10일에는 존드6호가 발사됐고 처음으로 더블 딥에 의한 방법으로 옛소련의 영토에서 우주선을 회수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번엔 캡슐에서 산소가 새는 바람에 탑승한 생명체가 ... ...
꼬마 소금쟁이가 물위에서 걷는 비결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관찰할 수 있었다.연구팀은 소금쟁이가 물위를 걷는 모습을 1
초
에 5백프레임을 촬영하는
초
고속 비디오카메라로 찍었다. 이때 소금쟁이가 지나간 후 물의 흐름을 추적하기 위해 머리카락 굵기 정도인 50-1백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의 작은 입자를 물에 뿌렸다. 그리고 이 입자가 물의 흐름에 ... ...
2 지상에서 번개 일으켜 피뢰기 모의실험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상당히 고가인 희귀한 시험설비다. 이 장치는 송·변전용 중전기기의 절연성능과 극
초
고전압 현상을 연구하는데 유용하다.고전압 특성 연구시험설비로는 ‘1만A 온도상승시험장치’가 마련됐다. 이 장치는 1만A까지 중전기기에 전류를 흘릴 수 있고 이때 온도상승이 얼마나 되는지를 시험할 수 ... ...
2 이보다 더 얇고 가벼울 수 없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화면이 달라지는 동영상의 디스플레이가 제대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용 점멸비가
초
당 ${10}^{6}$번 정도여야 한다.또한 전하량을 조절할 수 있는 빛의 세기 폭이 넓어야 디스플레이에서 총천연색을 좀더 선명하게 구현할 수 있다. 현재 OTFT의 성능은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모니터의 TFT-LCD의 ... ...
제2회 닮고싶고되고싶은 과학기술인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때 미국의 아폴로우주선이 달에 착륙했다. 이때부터 우주에 대한 그의 관심이 시작됐다.
초
등학교 5학년 때는 그의 삶을 완전히 바꾸는 사건이 벌어졌다. 당시 ‘학생과학’이라는 잡지를 열심히 보다가 자코비니 별똥별 쇼가 펼쳐진다는 사실을 알고 우이동 집에서 담요를 깔고 누워서 별똥별을 ... ...
48시간 동안만 재생되는 일회용 dvd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중요한 패러독스(러셀의 패러독스)를 발견했다(1901)이것은 나중에 논리학·수학기
초
론·의미론의 동향에 큰 영향을 끼쳤다1931~ 미국의 물리학자 소립자물리학의 새로운 국면을 개척했다 76년 이 공로로 이 입자를 독립적으로 발견한 S C C 팅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궤도의 법선방향으로 ... ...
밀양 얼음골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아니라 동계온풍에 대해서도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줄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3월
초
변 교수는 해발 8백-9백m의 위쪽 얼음골 돌밭에서 특이한 점을 발견했다. 고지대인 이 지역은 아직도 눈이 쌓여있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돌밭의 일부 지역에서는 눈이 다 녹아버리고 없었다. 더군다나 그곳에서는 ... ...
무기·복제·인공지능이 단골 메뉴 무지와 광기가 만든 마법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피조물은 잃었던 생명을 되찾고 눈을 뜬다. 영화 ‘프랑켄슈타인’의 한 장면이다.
초
기 미치광이 과학자의 모습은 프랑켄슈타인 박사처럼 마법사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대중에게 과학은 마법처럼 신비와 비밀로 가득찬 애매모호한 학문이었다. 영화 속의 이런 과학자들은 사람의 눈을 피해 ... ...
1 체온 2℃만 내려도 1백50살까지 산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것도 확인됐다.또다른 윤리문제 잉태현재의 저온생물학 기술은 1948년 인간의 정자를 최
초
로 냉동하는데 성공한 이래, 크기가 가장 큰 세포인 난자에 대해서도 성공을 거두고 있다. 이후 50여년의 세월이 흘러, 세포 수준을 넘은 강낭콩 크기 만한 난소조직까지 냉동시키고 있다. 하지만 인간이 이보다 ... ...
우주에서 벌어지는 기상천외한 실험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시간이 너무 짧다는 것이다. 이 장치가 자유낙하하는 높이는 약 25m, 시간은 겨우 2.2
초
에 불과하다. 이 장치로는 장미꽃 개화와 같은 실험은 도저히 불가능하다.그러므로 무중력 상태에서 오랜 시간 동안 안정적인 실험을 하기 위해서는 우주왕복선을 타고 우주공간으로 나가는 방법뿐이다. 그렇다면 ... ...
이전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