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1. 독가스를 난방연료로 둔갑시키는 재주꾼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이용해 암모니아(NH₃)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방법을 개발하기에 이른다. 이 방법이 21
세기
인 현재도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하버보쉬법이다. 철(Fe)·산화알루미늄(Al₂O₃)·산화칼륨(K₂O)으로 구성된 촉매를 이용해 질소와 수소로부터 암모니아를 대량으로 생산한다.암모니아를 합성할 때 원료인 ... ...
20
세기
대우주탐험가 에드윈 허블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않았다. 이들이 우리은하의 일부인지 아니면 우리은하 밖의 또 다른 별무리인지….이미 18
세기
에 독일 철학자 임마뉴엘 칸트는 ‘섬우주’라는 표현을 써서 몇몇의 성운들은 우리은하를 넘어선 곳에 또다르게 모여있는 별무리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후 1908년까지 거의 1만5천개에 이르는 성운의 ... ...
고인돌 유적에서 발견된 별자리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돌판에 구멍이 새겨질 당시 밤하늘을 생각해볼 수 있다. 당시 별들의 분포는 기원전 5
세기
로 가정해(우리나라 고인돌이 건설된 시기는 기원전 약 3천년부터 서기 2
세기
사이로 알려져 있다) 컴퓨터로 재현했다. 이때 지구의 자전축이 2만6천년을 주기로 회전하기 때문에 별들의 위치가 바뀌는 점을 ... ...
세계7대 불가사의 탄생 과정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필론이 직접 7대 불가사의의 목록을 정리했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다. 물론 기원전 2
세기
에는 이미 많은 불가사의가 파괴됐기 때문에 당시 전해 내려오던 불가사의의 목록을 인용 또는 참고했다는 것이 옳은 이야기다. 그러나 필론이 불가사의에 대해 기록한 이유는 제자들을 가르치기 위해서라는 ... ...
2. 모솔왕의 대형무덤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창설된 유물관의 책임자가 됐고, 고대 그리스를 연구하는데 평생을 바쳤다. 뉴턴이 19
세기
에 모솔레움을 발굴했지만 1960년대와 1970년대에도 발굴작업은 계속 추진돼 모솔레움의 1층 평면이 알려졌다.셍피에르 요새의 천장이나 벽 속에 모솔레움을 장식했던 조각된 돌이 있다는 사실이 근래의 ... ...
소리의 색깔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소리의 진동수와 진폭의 제곱에 비례한다. 그 단위는 데시벨(dB)로 표현되는데, 소리의
세기
가 10배 증가할 때마다 10dB씩 증가한다.소리 구성 요소 중 소리의 색깔을 나타내는 음색은 여러 악기의 경우에서 보듯이 파형에 따라 달라진다. 이 실험에서 다양한 악기의 ‘솔’ 음은 악기 종류에 관계없이 ... ...
하이젠베르크의 부분과 전체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주제에 관한 것이었다.1924년 어느날 하이젠베르크는 보어와 함께 스웨덴의 해변에 있는 16
세기
의 성에 들렀다. 그 성은 세익스피어 소설의 주인공인 햄릿이 살았다는 전설이 깃든 곳이었다. 보어는 “바로 이 성에 햄릿이 살았다는 것을 알고나면 이 성이 달리 보이는 것은 참으로 이상한 일 ... ...
가상식물 창조하는 2010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특허권은 기능이 확인된 유전자에만 제한적으로 인정되고 있기 때문에 기능유전체학이 21
세기
생명공학산업의 열쇠를 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미국과학재단이 애기장대 기능유전체 연구를 내세운 ‘2010프로젝트’에 선뜻 5억달러의 연구비를 지원하기로 결정한 것은 전혀 놀라운 ... ...
좀생이별이 들러리 선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쓰는 태양역법을 제대로 이해한다면 2001년이 새천년의 시작이다. 어떻게 보면 다시금 한
세기
를 정리할 수 있는 기회가 온 것이다. 밤하늘에 반짝이는 별을 바라보며 차분하게 올해와 함께 천년을 뒤돌아보면 어떨까.V자와 ?모양인 별무리동쪽 하늘에서는 변함없이 오리온자리를 시작으로 하는 ... ...
6. 밤을 밝히는 30층 규모의 등대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이해되지 않기 때문이다.실제로 인류가 고층 건물을 본격적으로 세우기 시작한 것은 19
세기
말부터다.그러므로 르네상스 시대를 걸쳐 과학기술이 발전하자 고대에서 가장 높다는 건물을 어떻게 건설했을까 하는 호기심이 절로 일어난다.파로스 등대를 건설할 때 1백m나 되는 건물을 건설할 수 있는 ... ...
이전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