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뱀·거미·탱크로 변신하는 전천후 로봇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가 발행하는 잡지 ‘테크놀로지 리뷰’는 지난해 11월 그를 한국인으로서는 유일하게 21
세기
의 신기술을 이끌고 나갈 1백명의 젊은 이노베이터 가운데 한명으로 꼽기도 했다.1백명 차세대 젊은 과학자 중 유일한 한국인지난 7월 말 임박사를 실리콘밸리에 있는 팔로 알토 연구센터로 찾아가 만났다. ... ...
정보화시대 앞서가는 한글의 과학성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선진국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정보처리가 핵심산업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21
세기
의 지식정보사회에서 한글의 중요성은 더욱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 ...
가을에 만나는 황도 별자리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것이다. 이제 양자리는 태양이 머무는 황도의 마지막 별자리로 물러난 셈이다.기원전 2
세기
에는 천문학자들이 말하는 별자리와 점성가들이 말하는 황도12궁이 서로 일치했다.하지만 점성술사들이 세차운동을 전혀 알아채지 못하는 사이 춘분점의 위치가 조금씩 달라져왔기 때문에,지금은 ... ...
자연을 해석하는 혁명적 언어 양자역학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빈의 복사법칙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복사식을 제안하면서 양자역학은 20
세기
의 과학으로 그 모습을 갖추기 시작한다.자연이 불연속적인 구조로 이뤄졌다는 혁명적인 내용으로 출발한 양자론은 미시세계의 법칙을 총괄하면서 오늘날 모든 과학이론의 기둥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
③ 양자이론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주었을 때 수소원자에서 나오는 빛의 스펙트럼이 띄엄띄엄 떨어져 있다는 것은 19
세기
부터 잘 알려져 있었지만, 자기장 속에서 그 선이 여러 가닥으로 쪼개진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은 1897년 네덜란드의 제만이었고, 마찬가지로 전기장 속에서 스펙트럼 선이 여러 갈래로 나뉘는 쉬타르크 효과는 191 ... ...
인류 우주관의 혁명가 허블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고 있다는 태양중심설을 주장했다.이로부터 약 4백년이 흐른 20
세기
초 허블(Edwin Hubble,1889-1953)은 인류우주관에 '제2차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라 할 수 있는 혁명을 일으킨다.혁명의 내용은 간단하다.지구가 우주의 중심이 아님을 코페르니쿠스가 밝혔듯,허블은 '우리은하'가 ... ...
한민족의 상징 백두산 호랑이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유명하다.과거 백두산호랑이는 만주와 연해주 일대 및 한반도 전역을 호령했다. 그러나 20
세기
들어 야생에서 호랑이의 수는 급격히 감소했다. 남한에서는 1921년 경상북도 경주 대덕산에서 잡힌 것이 야생에서 발견된 마지막이었다. 북한에서도 중국과 접경지역인 고산 삼림에 몇마리가 남아있지 ... ...
망원경으로 진짜 우주를 관측하다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사실이다.하지만 최초로 망원경을 하늘로 향했던 갈릴레이에게는 혁명적 사건이었다.17
세기
초 인간 시력의 한계를 능가하는 도구인 망원경이 하늘의 신비를 밝히는데 새롭게 등장했다.그 첫발걸음을 힘차게 내딛은 이가 바로 갈릴레오 갈릴레이(1564-1642)였다.갈릴레이는 자신의 눈으로 보고 ... ...
① 20
세기
새로운 세계관의 출발 양자가설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더 이상 새롭게 할 일이 없는 것 같은 답답한 상황이 바로 혁명이 시작되는 시점이었다.20
세기
초 물리학 내의 혁명은 보이지 않는 곳에서 성실하게 일했던 대기만성형의 평범한 과학자에 의해서 시작됐던 것이다 ... ...
④ 미시세계에서 우주까지 설명하는 만물박사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superstring theory)이 연구되고 있지만 아직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다.이제 21
세기
의 과학은 물리학,화학,공학,의학 등으로 구분된 기존의 분류는 점차 무의미해지고 있다.그 대신 이들에 공통적으로 흐르는 양자이론의 영향이 부각되면서 '양자과학'이라는 큰 테두리가 형성되고 있다.더 ... ...
이전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