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
"(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시대를 초월한 가치 ‘동의보감’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갖고 있었다. 허준은 중국의 의학을 ‘남의(南醫)’와 ‘북의(北醫)’로 나눈 후
우리나라
의 의학을 ‘동의(東醫)’라고 정의했다. 구석진 동방의 의학이라고 표현한 듯하나 여기에는 우리 의학이 중국의 의학과 나란히 어깨를 견줄 만한 전통을 갖고 있다는 자부심이 담겨 있다. 되살아나는 ... ...
① 수학 잘 하면 탄소 줄인다.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사용하고 있다. 콜라 1캔에는 168g, 감자튀김에는 75g의 탄소발자국이 나오는 식이다.
우리나라
에서는 탄소성적표지 인증을 받은 제품 가운데 환경부가 제시한 온실가스 배출기준치를 달성한 제품에 ‘저탄소상품’이라는 표시를 할 수 있게 했다. 이산화탄소 감축목표를 달성했다는 뜻으로 아래로 ... ...
[수학에 길이 있다] 금융에 불어온 수학바람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전망아직
우리나라
금융 분야는 걸음마 단계에 있다고 할 수 있어요. 차 팀장님은
우리나라
가 진짜 선진국으로 한 계단 오르기 위해선 금융시장이 더 커지고 경제가 더 성장해야 한다고 말씀하셨어요. 경제가 발전한다면 더 복잡하고 예측하기 힘든 금융상품이 나올 거예요. 그만큼 수학, 물리 ... ...
한국 슈퍼컴퓨터 세계 14위 역대 최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있는 슈퍼컴퓨터 4호기가 세계 500대 슈퍼컴퓨터 리스트 14위에 올랐다고 밝혔다.
우리나라
슈퍼컴퓨터가 세계 14위에 오른 것은 KISTI가 1988년 국내 1호 슈퍼컴퓨터 크레이를 도입한 이후 최고의 성적이다.KISTI는 지난해부터 1, 2차로 나눠 슈퍼컴퓨터 4호기를 구축해왔다. 이번에 14위에 오른시스템은 ... ...
첨단토목기술 떠받치는 기둥, 철강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때 비용만 생각하지 말고 긴 시간을 내다보는 안목이 필요한 때입니다.”윤 단장은
우리나라
가 앞선 철강기술을 잘 활용하면 21세기 토목강국으로 거듭날 수 있다고 강조했다 ... ...
탄생 130주년 따스한 백열전구 역사 속으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고장 난 ‘건달불’의 추억미국과 유럽을 매혹시켰던 백열전구의 오렌지색 빛은 개화기
우리나라
에서도 화젯거리였다. 1883년 미국에 파견된 보빙사절단(報聘使節團)은 발전소와 전신국을 방문하면서 전기의 위력, 특히 에디슨의 백열등이 발하는 밝은 빛에 매료되고 말았다. 밀초나 쇠기름으로 켠 ... ...
분자로 비휘발성메모리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경제성이 있다면 언젠가는 따라오기 마련이다.“현재 메모리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우리나라
가 앞으로도 선두를 지키려면 다양한 차세대 비휘발성메모리 소자를 개발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저희 기능성 분자메모리 연구단도 한몫을 해야겠지요 ... ...
지구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 붙잡아 가두려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김준모 교수가 ‘지질과학연합학술발표회’에서 발표한 바에 따르면 경상분지를 비롯한
우리나라
육상 퇴적분지에도 약 11억t 규모의 이산화탄소를 매장할 수 있다.혹시라도 매장된 이산화탄소가 유출되면 어떻게 될까. CCS 기술을 반대하는 이들은 1986년 아프리카 카메룬의 니오스 호수에서 일어난 ... ...
무요일(無曜日)의 달력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그레고리 달력’은 교황 그레고리 13세가 1582년에 선포한 뒤 점차 전 세계로 전파됐다.
우리나라
는 갑오경장 이후부터 그레고리 달력을 사용했다. 그레고리 달력을 조금 더 과학적으로(?) 바꾸려는 시도는 프랑스 대혁명 직후에 있었다. 혁명정부는 7일 단위인 일주일을 십진법으로 바꾸려고 했다! ... ...
알싸한 겨울철 별미 홍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재밌지 않은가. 이태원 교사는 서울대 대학원에서 세포생물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우리나라
전통 문헌에 나타난 과학 관련 내용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 조선 후기 학자 정약전의 어류학서 ‘자산어보’를 현대적으로 해석해 기행문식으로 정리한 ‘현산어보를 찾아서1~5(청어람미디어)’ 등이 ... ...
이전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