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한"(으)로 총 12,947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심의 숨구멍, 환풍구를 안전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2호
- 1.5m 이상 높이고, 뜨거운 바람이 나오는 배기구를 도로 쪽으로 돌리는 등 보행자에 대한 배려도 더했답니다. 보도에 있어서 어쩔 수 없이 지나갈 수밖에 없었던 지하철 환풍구는 크기를 줄이거나 주변의 녹지로 옮기고 있어요. 환풍구는 굴뚝! 절대 올라가지 마세요~환풍구만 변한다고 모두 끝나는 ... ...
- 데이노케이루스가 전하는 거대공룡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2호
- 특히 공룡은 고온다습한 기후로 울창해진 숲에서 쉽게 먹이를 구했고, 산소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하도록 기낭이 발달해 몸집을 더욱 키울 수 있었어요. 산소는 생물이 먹이를 먹고 이를 에너지로 만드는 데 꼭 필요한 요소이기 때문이에요. 자신의 몸무게를 감당할 만큼 몸집에 비해 다리가 굵은 ... ...
- 2014 노벨 과학상 발표!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모세르 교수는 부부이기도 해요. 격자세포는 몸속에서 앞, 뒤, 왼쪽, 오른쪽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는 등 GPS(위성항법장치)와 같은 역할을 해요. 우리가 위치를 인지하려고 하면 이 격자세포는 특이하게도 육각형 모양으로 활성화돼요. 과학자들은 육각의 좌표 안에 위치 정보가 저장되고 필요할 ... ...
- 탐사 ➊ 타르보사우루스의 기적 같은 과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조금씩 들려 드릴게요. 세계 곳곳의 진귀한 화석이나 상상을 초월한 과거의 생물들에 대한 이야기도 함께요. 요즘 화제가 되고 있는 무서운 화산과 지진도 빼놓을 수 없겠죠? 자, 그럼 화석탐사대와 지질탐사대의 힘찬 탐사를 기대해 주세요!잠깐! 이게 궁금해요!Q 우리나라에서도 타르보사우루스 ... ...
- 동아사이언스 기자단에는 지금!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친구들도 기사를 직접 써서 올릴 수 있는 것은 물론, 동아사이언스 기자들로부터 기사에 대한 평가도 받을 수 있답니다.서해 몽산포 갯벌이 죽어가고 있다!서해 갯벌에 무슨 일이?기사입력 2014-10-12 22:11:02 초림초등학교 정동영 기자지난 여름, 우리 가족은 2년 전 갔었던 서해 몽산포 갯벌에 갔습니다. ... ...
- 이그노벨상이 궁금해!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왜 미끄러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쉽게 미끄러지는 것처럼 말이야.마부치 기요시 교수는 이 연구로 일반인들에게 과학에 대한 호기심과 관심을 불러일으켰다는 점을 인정받아 올해 이그노벨상 물리학 분야에 선정됐지! 바나나 껍질로 스키를 탈 수 있을까?눈 위에서 스키를 탈 때의 마찰계수가 0.04이고 바닥 위에 놓인 바나나는 0.06 ... ...
- SHAKE 웃음이 나는 개들의 굴욕 순간 힘차게 흔들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데이비슨다양한 수상 경력의 사진작가이자, 전문 동물 조련사예요. 동물의 행동양식에 대한 전문지식을 활용해 동물 고유의 개성을 훌륭하게 포착하는 것으로 유명하지요. 개들이 몸을 터는 순간을 포착한 사진들은 라는 사진 전문 잡지에서 ...
- 뱀한테 한 수 배우다! 뱀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능력으로부터 아이디어를 얻고 있어요. 그런데 거꾸로 로봇을 만드는 일이 동물에 대한 이해를 높여 주기도 한답니다. 사실 뱀 로봇을 만들기 전에 사인드와인더를 이렇게 자세히 관찰한 적은 없거든요.좋았어! 그렇다면 나와 함께 지구를 정복하러 가지 않겠니?미안하지만 닥터 그랜마, 그건 좀 ... ...
- 지구사랑탐사대의 땀이 결실을 맺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0호
- 생태정보학 국제학술지 ‘이콜로지컬 인포매틱스’ 온라인판에 수원청개구리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수원청개구리는 우리나라 서해안 평야에 서식하고 있는 개구리로, 현재 멸종위기에 놓여 있지요. 이 연구 결과는 지구사랑탐사대원들이 직접 탐사해 보낸 데이터를 분석한 것이라 더욱 ... ...
- 멸종 위기의 지구생물을 지켜라! 생물다양성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0호
- 사실을 알고 있니? 어떻게 하면 되냐고?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서는 우선 생물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단다. 조사를 통해 우리가 어떤 생물을 얼마나 많이 사용해도 괜찮은지, 어떻게 보호해야 하는지 잘 알 수 있지. 이것이 생물다양성 조사야. 어린이가 하기에는 어려울 것 같다고?어린이도 쉽게 ... ...
이전3703713723733743753763773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