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6,994건 검색되었습니다.
獨 과학자들 "무증상 때 코로나19 바이러스 검출...무증상 감염 가능해"
동아사이언스
l
2020.02.21
백신연구그룹 연구원은 NBC 뉴스에 출현해 “바이러스가 살아있어
세포
분열이 가능하며
세포
를 감염시킬 수 있다는 정도의 의미”라며 “사람을 감염시킬 만한 정도인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다만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성명서를 통해 “증상이 없이도 전염이 가능하다는 ... ...
[코로나 사태 한 달]어렵고 갈 길 먼 코로나19 치료제
동아사이언스
l
2020.02.19
시도하고는 있지만 연구가 필요하다"며 "항바이러스제를 만들려면 우리 면역계에서 어떤
세포
와 물질이 바이러스를 퇴치하는 역할을 하는지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19의 약점이 무엇인지 알아야만, 그 부분을 파고드는 치료제나 백신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
현미경으로 보고 초음파 쏘아 살아있는 근육 관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9
직진광에 비해 산란광이 강해져 이미지가 흐려진다는 단점이 있다. 생체 조직의 수많은
세포
와 구조들이 빛을 산란시켜 이미지를 흐리게 만들기 때문이다. 태아를 감별할 수 있을 정도로 생체 내부 깊은 곳의 영상을 찍을 수 있는 초음파는 해상도가 낮아 미세 구조를 볼 수 없다는 게 단점이다. ... ...
마크로젠-서울대병원 "코로나19 바이러스 9개 변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0.02.19
지역에 거주하다 국내 입국 후 코로나19로 확진된 환자의 호흡기 샘플을 채취하고 이를
세포
에 접종해 바이러스 순수 배양에 성공했다. 증식한 바이러스를 투과 전자현미경을 통해 확인한 결과 끝이 왕관처럼 뾰족한 모양으로 동그랗게 형성된 코로나19 입자를 확인했다. 이후 NGS를 활용해 코로나19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야생동물 식습관만 탓할 일 아니다
2020.02.19
할 숙명적인 과제다. 외부에 노출된 바이러스는 소독제로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생물의
세포
속에 있는 바이러스에게는 아무리 효과적인 소독제도 무용지물이다. 실제로 지나치게 청결한 위생 환경이 오히려 질병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는 역설적인 ‘위생가설’도 있다. 홍콩‧싱가포르‧태국에 ... ...
코로나19 에이즈바이러스와 관련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9
유사하지만 3차원 모델링한 결과 구조적으로는 매우 다르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세포
와 바이러스간 강력한 결합을 만드는 독특한 구조라는 주장이 틀렸다는 얘기다. 또 바이러스들의 수용체만 비교해보니 오히려 코로나19와 박쥐 코로나바이러스간 유사성이 97.7%에 이르러, 박쥐가 원 숙주이며 ... ...
美연구진 "코로나19, 사스보다 더 전염 잘 되는 구조"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0.02.18
가시처럼 돋은 스파이크를 인간
세포
표면에 있는 ACE2 수용체에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세포
에 침입한다. 스파이크가 ACE2에 잘 결합할수록 감염이 잘 일어난다. 관찰 결과 스파이크는 가운데 몸체 양쪽으로 돌기가 나 있는 삼량체 형태였다. 삼량체는 단백질 세 종이 결합해 하나의 구조를 이룬 것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스트레스는 어떻게 흰 머리카락을 늘리나
2020.02.18
밝혀졌다. 오른쪽은 모낭의 현미경 이미지로 빨간색이 멜라닌
세포
줄기
세포
(위)와 멜라닌
세포
(아래)이고 녹색이 교감신경 뉴런이다. ‘네이처’ 제공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 ...
80종 넘는 코로나19 치료제 후보 임상시험 진행中
동아사이언스
l
2020.02.17
저장대병원 연구팀은 줄기
세포
를 이용한 치료제도 찾고 있다. 연구팀은 생리형 유래 줄기
세포
를 주입하고 코로나19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지 비교 실험할 예정이다. TCM 관련 임상시험도 15건이나 진행하고 있다. 가장 기대되는 약물은 발열이나 기침, 인후통 등 감기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 ...
계속되는 '0번 환자' 음모론…"우한 실험실 바이러스 유출" 주장 中논문 살펴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20.02.17
않았다”고 보도했다. 샤오 교수의 모습이다. 화난과기대 홈페이지 캡처 샤오 교수는
세포
역학과 단분자 등을 다루는 생물학 전문가다. 바이러스에 관한 연구를 별도로 하지는 않았다. 그는 미국 하버드대 의대에서 박사후연구원을 마치고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중국 우한시 화중과기대에서 ... ...
이전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