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6,994건 검색되었습니다.
中연구팀, 신종 코로나 인체 침입 막는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04
힘들다. 결국 수용체와 결합된 바이러스는 살아 있는
세포
의 표면에 붙을 수가 없어
세포
내 침입도 어렵다. 연구팀은 사스 코로나바이러스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강력하게 중화시키는 방법을 찾았다며 연구결과의 의미를 밝혔다 ... ...
"신종 코로나 기침외에도 대소변 등 감염 경로 다양하다"
2020.02.04
공개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인간
세포
표면에 나 있는 ACE2 수용체에 결합해
세포
내로 침입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소변으로도 이웃 집에 전염 가능한 듯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대소변을 통해서도 전염될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중국 광둥성 선전제3인민병원 연구팀은 1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픈 자, 죽는 자, 멀쩡한 자
2020.02.04
테터린 단백질을 조금 만드는 유전형은 Vpu의 작용에 특히 취약해 바이러스가 다른
세포
에 퍼지는 속도가 빠르고 에이즈 증세가 일찍 나타난다. 모든 바이러스에 강할 수는 없어 여기서 주의할 점은 모든 바이러스에 강한 유전형은 없다는 것이다. 어떤 유전형이 강한지 취약한지는 ... ...
민물장어 형광단백질 이용해 살아있는
세포
관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04
이용해 이를 초고해상도 형광현미경에 적용했다. 그 결과 기존 기술에 비해 약 8배 오래
세포
를 관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청색광과 빌리루빈 용액을 이용해 형광 신호를 끄거나 켤 수 있다는 의미”라며 “광표백 이후에도 우나지 단백질 자체에 구조적 손상이 일어나지 ... ...
치료법 없는 신종 코로나, C형간염·에볼라·에이즈 치료제가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03
알려졌다. 오셀타미비르는
세포
내 증식을 마친 바이러스가 다른 숙주를 찾기 위해
세포
밖으로 나가는 과정을 억제하며, 에이즈 치료제들은 바이러스가 증식할 때 필요한 효소인 단백분해효소를 억제하는 원리다 의료진은 이 치료방법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대상으로 공식 허가를 받지 않은 ... ...
"신종 코로나, 고의적으로 만들었나" 의사SNS 달군 印논문 …전문가들 "가능성 희박"
2020.02.03
수용체의 관계는 다양하다"며 "HIV와 유전적으로 겹친 부분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세포
침입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밝혀내려면 3차원 분자 수준과 임상 수준에서 정밀하게 확인해봐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이런 연구 결과 하나로 공포 분위기가 조장되는 이유에 ... ...
화학硏 ‘세계적 혁신 기술’에 4세대 폐암 치료제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2.03
죽이는 4세대 치료제다. 기존 EGFR 표적 치료제는 폐암의 85%를 차지하는 비소
세포
폐암에서 돌연변이가 발생한 종양 유전자인 EGFR을 억제한다. 이광호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조병철 연세암병원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4세대 EGFR 억제제 ‘BBT-176’을 개발해 2018년 12월 ... ...
'신종코로나' 치사율 기존 2배인 4∼5%추정…위험 커지나 '관심'
연합뉴스
l
2020.02.03
'사이토카인 폭풍' 우려도 나온다. 사이토카인 폭풍은 면역작용이 과다하게 이뤄져 정상
세포
까지 공격하는 현상이다. 해외 일부 환자에서는 이런 사이토카인 폭풍이 관측됐다는 점이 의학전문지 랜싯(The Lancet)에 게재되기도 했다. 김 교수는 "면역체계에서 나오는 사이토카인이 바이러스를 ... ...
쓸모없는 지방덩어리, 알고보니 ‘황금’
동아사이언스
l
2020.02.03
의료기기를 개발하고 있다. 연구팀은
세포
외기질에 있던
세포
를 모두 제거하고 원하는
세포
를 틀에 집어넣어 인공장기나 오가노이드(실제 장기보다 작게 만든 미니 장기) 칩을 만들고 있다. 정봉수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의료신소재TF팀장은 “인체 폐지방으로 오가노이드를 만들면 동물실험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의 뇌에서 또 한 번 AI원리 발견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01
고뇌와 고뇌 후 내리는 행동을 결정짓는 물질은 신경전달 물질인 ‘도파민’이다.
세포
를 자극하는 도파민은 인간의 행위에 따른 보상에 따라 다른 양이 흘러나오며 인간이 보상을 배우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지난달 15일 도파민이 뇌를 학습시키는 새로운 원리에 관한 연구결과가 발표됐는데 ... ...
이전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