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모
생김새
모양
외모
형상
외관
양상
d라이브러리
"
모습
"(으)로 총 8,57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한국이 금메달 따는 날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더욱 중요하다”고 설명했다.[김태완 연구원이 구본길 선수의 동작을 모션 캡처한
모습
. 경기 속도가 빠른 펜싱인 만큼 기술을 쓴 시간, 경로 등을 분석하기 용이하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올림픽, 0.04초의 과학 - 싸움PART 1. 한국이 금메달 따는 날PART 2. 수학으로 즐기는 올림픽 ... ...
과학으로 본 다크나이트 라이즈 : 배트맨 다시 일어서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쓰는 타깃 챔버. 영화에 등장하는 핵융합로와 매우 비슷하게 생겼다. 영화 속 핵융합로의
모습
은 직접 영화를 보며 확인해보자.][만화책 ‘배트맨 나이트폴’의 표지. 베인이 무릎으로 배트맨의 허리를 부러뜨리고 있다.]척추 부러진 배트맨, 5개월 만에 재활 가능할까베인과의 결투에서 패한 ... ...
중국이 이모작하면 한국엔 더 센 장마 온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황사조사단의 연구원이 2003년 중국의 건조 지역에서 추수 뒤의 밭을 살펴보고 있는
모습
. 추수가 끝난 밭은 마치 사막처럼 변해 있다.]추수가 끝나고 생긴 거대한 사막화베이평원이 곡창지대임에는 틀림없지만, 5~6월에는 일시적으로 사막지역으로 바뀐다. 앞서 얘기했듯이 이모작때문에 첫 번째 ... ...
벨기에 와플 제대로 먹는 법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리에주 와플이다. 둘 다 벨기에의 도시 이름에서 유래했다. 둘은 어떻게 다를까.일단 겉
모습
만 봐도 브뤼셀 와플과 리에주 와플을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브뤼셀 와플은 와플 기계의 틀과 같은 네모난 모양이다. 반면 리에주 와플은 손바닥처럼 타원 모양이다. 이것은 와플을 처음 만들 때 반죽부터 ... ...
아인슈타인이 사랑한 냉장고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보는 빨대와 똑같이 생겼기 때문이다. 음료수 잔에 꽂으면 자연스럽게 기울어지는
모습
까지 똑같다. 빨대 특허라고 해서 허투루 만든 게 아니라 최적의 각도와 길이까지 다 연구한 끝에 내놓았기 때문이다.구부러지는 빨대가 떠오르는 또 하나의 장소는 영화관이다. 콜라 한 잔과 팝콘을 사들고 ... ...
태양, 세렝게티의 사자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크기를 약 3000만 년(켈빈-헬름홀츠 시간) 정도는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정작 태양의
모습
과 성질을 유지하는 주역은 내부에서 매 순간 일어나는 핵융합반응이다.빛이 태양 사우나를 빠져나오려면태양 전체 질량의 약 10%를 차지하는 중심부는 온도가 1000만℃ 이상 올라간다. 이런 고온 환경에서는 ... ...
함께한다고 다 즐겁냐?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질’이 더 중요했거든요. 그러자 요즘 들어 피곤하다는 말을 많이 하는 여자친구의
모습
이 떠올랐습니다.어쩌면 진짜 피곤한 게 아니라 그냥 둘이 노는 게 재미 없었던 겁니다. 또한 소년이 좋아하는 게임 같은 활동은 연애 관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쳤습니다. 보통 게임은 서로 경쟁을 해야 할 ... ...
‘21세기 일류기업’ 씨뿌리는 초전도 전도사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유 교수를 찾아온 적이 있었다. 하지만 방에 논문을 산더미처럼 쌓아 놓고 읽고 있는
모습
을 보고는 오히려 유 교수를 격려했다고 한다. 유 교수는 한국에서도 학생들이 이 방법을 실천하길 권하고 있다.국산 케이블형 초전도체로 세계를 제압한다유 교수는 요즘 또다른 ‘세계 최초’의 길을 걷고 ... ...
PART 2. 한국 우주로봇 화성 가는 날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수 있는 지역을 찾는 게 주요 미션이다.화성을 탐사하는 한국형 우주로봇을 상상해 본
모습
이다. 한국의 과학자들도 최근 1~2년 사이에 우주로봇에 눈을 떴다. 항공우주 전문가와 로봇 전문가, 토목공학자 등이 힘을 합치고 있다. 달에서 토양을 굴착하고 분석할 수 있는 로봇도 이미 나왔다. ... ...
2. 말은 엉덩이 힘으로 달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있다. 동물 가운데 엉덩이가 가장 발달한 종이 바로 말과 사람이다. 개나 침팬지가 걷는
모습
을 뒤에서 보면 영 부실하다. 그런데 사람과 말은 엉덩이 근육이 통통하게 발달해 있다. 흥미롭게도 이런 구조는 두 종 모두 잘 달리기 위한 진화의 결과다. 강민수 교수는 “말은 엉덩이 근육 힘으로 ... ...
이전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