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모
생김새
모양
외모
형상
외관
양상
d라이브러리
"
모습
"(으)로 총 8,578건 검색되었습니다.
다면체를 이용한 입체 분할퍼즐 만들기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베들람은 마치 퍼즐 조각을 맞추듯, 스톤헨지 주변에 있는 돌 조각을 이용해 원래의
모습
이 원뿔 모양이라는 것을 알아 냈다.아하! 생각이 쑥쑥! 합동인 다면체로 만든 정사면체입체도형을 서로 합동인 다면체로 나누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앞서 을 통해 만든 퍼즐이 서로 다른 세 종류의 ... ...
[시사] 수학으로 배우는 서커스 마다가스카 3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크지는 않다. 하지만 몇 번을 회전하며 날아간 칼이 사람을 피해 정확히 과녁에 꼽히는
모습
엔 박수가 절로 나온다.칼은 보통 칼날 부분과 손잡이 부분으로 나뉘는데, 칼이 표적이나 과녁에 꼽히려면 당연히 칼날 부분이 먼저 닿아야 한다. 그러니 속도나 중력뿐만 아니라 칼의 회전도 함께 고려해야 ... ...
7화 이상한 수학 세계의 비밀, 조금씩 밝혀지다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식탁에 앉았다. 폴은 괜히 걱정했다 싶으면서도 폴리스가 태연히 밥을 먹고 있는
모습
을 보자 저도 모르게 픽하고 웃음이 나왔다.“뭐야? 웃음이 나오냐? 너도 어서 밥이나 먹어.”폴b와 폴, 피타도 식탁에 앉아 밥을 먹기 시작했다. 시장에서 한참 일을 하고 와서 그런지 밥이 꿀맛 같았다. 폴은 밥을 ... ...
컴퓨터과학의 아버지, 알란 튜링을 만나다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만들었습니다. 채팅을 한다고 생각해 보세요. 화상 채팅이 아니라면 우리는 상대방의
모습
을 볼 수 없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상대방이 사실은 컴퓨터였다면? 튜링 테스트는 상대방이 사람인지 컴퓨터인지 모르는 상태에서 질문을 던져 대답을 보고 정체를 알아맞히는 시험입니다. 만약 컴퓨터의 ... ...
조각 낼 때마다 분신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그랜마 군단’을 만들기로 했어요. 칼로 여러 번 잘라도 죽지 않고 조각마다 새로운
모습
으로 다시 자라나는 플라나리아에게 한 수 배우기로 했답니다. 몸을 잘라도 죽지 않는다며?저는 칼로 몸을 잘라도 죽지 않아요. 제 몸을 반으로 자르면 머리 부분의 단면은 꼬리를, 꼬리 부분의 단면은 머리를 ... ...
6화 폴과 폴의 대결!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빛이 사라지기 전에 서둘러!”폴리스가 별 모양 빛으로 다가가자 폴리스의
모습
도 사라졌다. 폴이 망설이자 피타가 폴을 재촉하며 폴의 어깨에 폴짝 올라탔다. 폴은 하는 수 없이 별 모양 빛으로 다가갔다.“아, 더이상 위험한 건 싫은데….”폴이 빛으로 다가가자 피타와 함께 사라지는 동시에 빛도 ... ...
우리 집을 공개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달라지지 않았다. 전통을 중시하는 유럽 일부 지방도 마찬가지다. 반면 1994년 한국의
모습
과 지금을 비교해보면 우리나라가 얼마나 현기증 나는 속도로 변해왔는지 실감이 날 것이다.카메라는 선진국보다는 개발도상국에 더 눈길이 간다. 아시아나 아프리카의 많은 지방에서는 지금도 영아사망율이 ... ...
오늘 나의 죽음은 어디까지 왔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30분의 수명을 단축시킨다’는 표현이 대중들에게 더 쉽게 다가간다.]보이지 않는 죽음의
모습
을 드러내다85g의 쇠고기 = 1마이크로라이프스피글할터 교수는 마이크로라이프를 이용해 하버드대 공중보건대학원의 최신 연구결과를 이같이 간단하게 표현했다. 마이크로라이프의 개념을 알고 있는 ... ...
생각만으로 로봇을 조종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신세기 에반게리온’ 속의 한 장면이다.애니메이션에서나 가능할 줄 알았던 이런
모습
이 벌써 현실이 됐다.지난 5월 17일 과학저널 ‘네이처’의 홈페이지에는 한 편의 논문과 함께 지난해 4월에 촬영한 영상이 올라왔다. 영상 속의 50대 여성은 로봇 팔을 조종해 커피를 마셨다. 여성의 이름은 캐시 ... ...
Part 2. 생각하는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상황들을 하나하나 예측하는 방법으로 사고할 것이다. 그러나 체스 고수는 체스판의
모습
을 보기만 해도 다음의 좋은 수가 무엇인지 ‘그냥’ 알 수 있다. 어떤 과학자들은 기호식 인공지능을 ‘좋은 구식 인공 지능(GOFAI)’이라 부르며 기호를 바탕으로 하지 않는 인공 지능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 ...
이전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