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영웅의 아들 제1화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말했다.“야, 단말기 좀 아예 끄면 안 되냐? 네 생일인 거 우리 반 애들 다 안다고. 유세할 필요 없잖아.”“아, 그래? 난 또~. 축하한다는 놈 하나 없길래 아무도 모르는 줄 알았지. 큭큭.”“아항, 그러셔? 축하는 배터지게 받고 있을 텐데, 뭘 우리한테까지….”고율이 녀석이 빈정거리고는 다른 데로 ... ...
- [과학뉴스] 어디 사니? 날개 보면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그에 비해 열대지역에서는 1년 내내 음식을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새들이 장거리를 여행할 필요가 없었다. 그 대신 나무 사이를 빠르게 통과할 수 있도록 날개가 점점 짧고 둥근 모양으로 변했다.논문의 제1저자인 조나단 케네디 박사후연구원은 “날개가 특별히 진화하지 않는 한 새들은 장거리 ...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서로 반응하고 상호작용하려면 사용자의 움직임과 의도를 잘 파악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AR(증강현실, Augmented Reality)은 현실세계와 가상현실을 합치는 것으로, ‘포켓몬고’ 게임이 대표적인 예다.한계도 있다. 아직까지는 사용자의 움직임과 의도를 정확히 추정하고 파악하지 못한다. 픽셀 ... ...
- [Future] 너덜너덜 번아웃 된 기자, ‘마음챙김’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기본 방식은 뉴로피드백 훈련과 동일하다. 하지만 뉴로피드백 훈련이 뇌를 조건화시켜 불필요한 뇌파를 줄이고 긍정적으로 뇌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비해, 마음챙김 명상은 내가 나의 감각과 느낌을 알아가는 것에 주안점을 둔다.마음챙김 명상은 20년 전부터 집중력, 자아조절능력, 자의식 등에 ... ...
- Part 5. 인플레이션 끌어안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기준으로 우주의 양 끝이 서로 상호작용하려면 우주 나이의 2배에 해당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두 지점에서 온 정보(온도)는 다를 것이라는 결론이 나온다. 그런데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했더니 놀랍게도 양쪽에서 온 정보가 서로 동일했다.마지막으로 ‘편평도 문제’가 있는데, 현재 우주가 ... ...
- [Issue] 100만 군중 안전하게 대피하려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재난 상황만을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대조군이 되는 평상시의 모습을 찍은 CCTV 자료도 필요합니다. ‘재난’을 하나의 변수로 놓고 그 외의 모든 변수, 예컨대 시간대가 출퇴근 시간인지 아닌지, 휴일인지 아닌지 등을 면밀히 통제한 뒤 어떤 요소가 중점적으로 바뀌는지를 계산합니다. 권 ... ...
- [Origin] 평범한 발상, 비범한 과학자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첫 학기 대학원 세미나에서 그는 해밀턴의 포괄 적합도 논문(1964년)을 읽었다. 말할 필요 없이, 집단 선택설을 침몰시키고 개체 선택설을 뒷받침하는 논문에 그는 홀딱 빠졌다. “나도 이처럼 중요한 발견을 할 수 있지 않을까?”드러리로부터 2년간 배운 생물학 지식이 전부였던 트리버스가 그나마 ... ...
- [Origin] 거절 못하는 당신에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그래서 우리는 더더욱 거절하기가 어렵다!휘둘리지 않으려면 동지애와 전문지식, 열정이 필요해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남들에게 휘둘리지 않고 분명히 거절할 수 있을까. 평소에 거절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생각해 둬야 한다. 상황에 따라 약한 거절부터 강한 거절을 하는 말을 연습해야 한다. 또 ... ...
- [Career] 오뚜기 같은 도시를 만드는 게 목표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건축물의 복원을 포함해 재난이 발생한 뒤 시민들의 심리를 정상 궤도로 복원시키는 데 필요한 연구, 재난 이전에 최대한 빨리 대피할 수 있도록 지역별 맞춤형 기사를 만드는 로봇 저널리즘 연구까지, 광범위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송 교수는 “(센터에는) 컴퓨터 공학, 건설공학, 심리학, ... ...
- Intro. 수학과 전기의 짜릿한 만남수학동아 l2017년 01호
- 한반도에 전기가 들어온 지 올해로 딱 130년이 됐습니다. 400년 전 길버트가 처음으로 마찰전기를 발견한 이후로, 수많은 학자들이 발명하고 연구한 결과 한반도에도 전기 ... Intro. 수학과 전기의 짜릿한 만남Part 1. 전기를 만들어낸 사람들part 2. 전선 없는 세상Part 3. 여전히 수학자가 필요 ... ...
이전3743753763773783793803813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