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용
수요
사용
필수
필요경비
경비
필요사무
d라이브러리
"
필요
"(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암흑에너지 없이 가속팽창 설명하기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설명하지는 못한다. 그러나 우주원리가 성립하지 않는 우주에 대한 면밀한 연구도
필요
하다. 대안 이론들의 발전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빅뱅이론의 잃어버린 조각들Intro. 빅뱅마불게임Part 1. 허블 상수 논쟁 끝내기Part 2. 암흑에너지 없이 가속팽창 설명하기Part ... ...
Part 5. 인플레이션 끌어안기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기준으로 우주의 양 끝이 서로 상호작용하려면 우주 나이의 2배에 해당하는 시간이
필요
하다. 따라서 두 지점에서 온 정보(온도)는 다를 것이라는 결론이 나온다. 그런데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했더니 놀랍게도 양쪽에서 온 정보가 서로 동일했다.마지막으로 ‘편평도 문제’가 있는데, 현재 우주가 ... ...
[Origin] 거절 못하는 당신에게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그래서 우리는 더더욱 거절하기가 어렵다!휘둘리지 않으려면 동지애와 전문지식, 열정이
필요
해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남들에게 휘둘리지 않고 분명히 거절할 수 있을까. 평소에 거절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생각해 둬야 한다. 상황에 따라 약한 거절부터 강한 거절을 하는 말을 연습해야 한다. 또 ... ...
[Culture] 미래사회에도 인간이
필요
할까요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이번 전시회는 그 고민의 결과물입니다. 저희의 결론은, 여전히 미래사회는 인간을
필요
로 할 것이라는 점입니다.”의미 있는 시도지만, 심미적 경험을 얻기엔 무리가있다. 실제로 기자간담회에서 “예술인지 잘 모르겠다”며 갸우뚱하다는 반응이 나왔다. 이에 이번 전시기획에 기술자문으로 ... ...
[핫이슈] 드론 조종부터 우주 비행사 체험까지! 제주항공우주박물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반면 지구를 벗어난 우주는 어느 나라의 영토도 아니기 때문에 우주여행에서는 여권이
필요
없지요. 그런데 앞으로는 우주에서 쓰일 새로운 여권을 만들어야 할지도 몰라요!2016년 10월 오스트리아의 민간 기업 ‘항공우주국제연구센터(AIRC)’ 이고르 아슈르베일리 회장은 우주 공간에 독립국가 ... ...
Part 1. 전기를 만들어낸 사람들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경복궁에 빛이 들어오기까지지금으로부터 130년 전인 1887년 3월 6일 저녁. 어두워서 아무것도 보이지 않던 경복궁에 작은 전구 하나가 깜빡 하더니 눈부신 빛이 주위를 밝 ... 수학과 전기의 짜릿한 만남Part 1. 전기를 만들어낸 사람들part 2. 전선 없는 세상Part 3. 여전히 수학자가
필요
해 ... ...
[게임카페] 피하고 맞추고 탑다운 슈터 피하고 맞추고 上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통해 게임의 모양새를 정해 나갑니다.게임의 모양새를 만드는 과정은 이처럼 게임에
필요
한 내용을 점점 더 구체적으로 세분화하는 작업입니다. 이 과정을 문장으로 정리하는 것보다는 ‘마인드맵’으로 아이디어를 도식화하는 게 체계적이고 보기 좋습니다.탑다운 슈터의 핵심 게임 요소가 어떤 ... ...
[과학뉴스] 빅데이터로 감영병 진단 빨라진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염기서열(프라이머)이
필요
하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어떤 바이러스에 어떤 프라이머가
필요
한지 정리돼 있지 않았다.연구팀은 빅데이터 기술로 짧은 시간에 바이러스 유전자 진단이 가능한 최적의 프라이머를 설계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그리고 지금까지 알려진 1818가지 RNA바이러스 유전자를 찾을 ... ...
[과학뉴스] 원숭이가 말 못하는 진짜 이유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교수는 “원숭이가 말을 하지 못하는 이유는 해부학적 요인이 아니라 말을 하는 데
필요
한 뇌의 신경회로가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2016년 12월 15일자에 실렸다 ... ...
[과학뉴스] 어디 사니? 날개 보면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그에 비해 열대지역에서는 1년 내내 음식을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새들이 장거리를 여행할
필요
가 없었다. 그 대신 나무 사이를 빠르게 통과할 수 있도록 날개가 점점 짧고 둥근 모양으로 변했다.논문의 제1저자인 조나단 케네디 박사후연구원은 “날개가 특별히 진화하지 않는 한 새들은 장거리 ... ...
이전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