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우표만 한 초소형 정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이용해 살균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답니다. 하지만 물을 끓이기 위해선 연료가 필요하고, 태양 자외선은 세기가 약해 세균을 모두 죽이는 데 48시간이나 걸린다는 단점이 있지요.최근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알렉산드리아 보엠 교수팀이 이런 단점들을 해결해 줄 정수기를 개발했어요. 우표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피에로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않지만 산성이지요.따라서 산성과 염기성 용액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산염기 지시약이 필요해요. 산염기 지시약에는 용액이 띠는 성질에 따라 다른 색을 띠는 물질이 들어 있어요.산염기 지시약의 종류는 다양해요. 그 중에서도 가장 쉽게 만들 수 있는 것이 자주색 양배추 지시약이지요. 잘게 자른 ... ...
- [핫이슈] SW로 세상을 바꿔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간단해요. 일단 물건을 구입한 뒤, 종이 영수증을 출력할지 정하지요. 만약 필요하지 않을 경우 ‘NO’를 선택하고, 이후 문자 영수증을 발급하겠다고 선택할 수 있지요. 이 시스템이 잘 활용된다면 종이를 절약하고 영수증에서 묻어 나오는 비스페놀A라는 유해 물질이 몸에 닿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 ...
- Part 1. 자동차, 도로를 벗어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하늘에서 시속 160km의 속도로 비행할 수 있답니다.최근 테라푸기아는 활주로가 필요 없는 새로운 모양의 비행 자동차인 ‘TF-X’를 제작하고 있어요. 이 자동차는 날개 끝에 두 개의 프로펠러가 달려있답니다. 이 프로펠러가 회전하면서 땅을 향해 강하게 바람을 뿜어내면 그 반작용으로 자동차가 ... ...
- Part 4. 자동차, 환경을 지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수 있어요. 그런데 1500kg 이상의 자동차를 몇 시간 동안 움직이려면 많은 양의 전기가 필요하고, 배터리의 또한 거대해져요. 기존 배터리 재료로 많이 사용했던 니켈이나 납은 무거워서 커다란 배터리를 만들었을 때 자동차도 함께 무거워져요. 그러면 자동차의 성능이 크게 떨어지지요.테슬라는 ... ...
- Part 1. 친환경 건축 재료, 나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통해 양분을 스스로 만들어요. 물과 햇빛, 그리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해서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만들지요. 이 과정에서 공기중으로 산소를 배출하고, 탄소는 영양분인 포도당 형태로 몸속에 저장해요. 이처럼 나무는 자라는 과정 동안 몸속에 탄소를 차곡차곡 모아둔답니다.하지만 나무가 ... ...
- [도전! 코드마스터] 장애물을 피해 피아노를 옮겨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여러분이 이사를 한다고 가정해 봐요. 방에서 현관까지 아주 큰 물체, 예를 들어 침대나 피아노같은 아주 큰 가구를 옮겨야 해요. 이 가구가 다른 가구 또는 벽과 부딪히는 ... 로봇의 움직임을 계산하는 데도 활약하고 있지요. 다시 말해 21세기 로봇 공학에서 꼭 필요한 알고리즘이랍니다 ... ...
- [출동! 섭섭박사] 스마트 램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감지하는 CdS 센서, 그리고 발광다이오드나 스피커가 있으면 전자 회로를 만들 준비 끝! 필요한 부품을 찾은 뒤엔 부품의 방향을 잘 살펴보아야 해요. 전자 회로에 들어갈 부품은 두 가지 방향으로 끼울 수 있는데, 모두 같은 방향으로 끼워야만 전류가 제대로 흐르거든요.그 이유는 전류가 (+ ... ...
- Part 3. 나무 건축, 과연 안전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강도가 높아진답니다. ➋ 불에 쉽게 타지 않을까?물질이 불에 타기 위해서는 산소가 필요해요. 즉 공기가 충분하면 불이 잘 붙지요. 하지만 건축 재료용 나무는 강하게 압축했기 때문에 속에 공기가 거의 없답니다. 따라서 불이 잘 붙지 않아요.건물의 재료와 화재 피해 규모는 상관이 없다는 연구 ... ...
- [숲이야기] 광릉숲에서 만난 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부르는 것이 좋아요. 또 제대로 된 응급처치 방법을 따르고, 환자를 안정시키는 것이 필요해요.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뱀을 절대 건드리거나 먼저 공격하지 않는 거예요. 뱀의 습성을 이해하고 삶을 존중해 주는 것이 바로 숲을 안전하게 즐기는 방법이랍니다 ... ...
이전3803813823833843853863873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