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 ➋] ‘마인크래프트 코딩 교육’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명령어로, 이 명령어들을 조합해 마인크래프트 캐릭터인 ‘스티브’와 ‘알렉스’에게 필요한 명령을 내릴 수 있답니다.일을 나누고 합치는 과정이 바로 알고리즘!교육을 수료하고 인증서를 받기 위해서는 지정된 장소에서 나무를 캐거나 집을 짓는 등 14가지 미션을 끝내야 해요. 이때 중요한 점은 ... ...
- Part 1. 오심은 없다! 전자 심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인간 심판, 왜 오심을 하는 걸까?2008년 10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심리학과 데이비드 휘트니 박사는 테니스 경기 4000건에서 오심 사례 83건을 찾아 분석한 논문을 발 ... 하게 되는 거예요.이 연구를 통해 사람들은 정확한 계측을 하는 전자 심판이 경기에 꼭 필요하다는 걸 알게 됐답니다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날릴 양(揚)’은 ‘손을 위로 올리다’라는 뜻을 갖고 있어요. 비행기가 하늘을 날 때 필요한 ‘양력’에도 사용되는 한자예요. 양력은 공기가 비행기 몸체와 날개를 떠받치는 힘으로, 비행기가 하늘로 떠오르도록 하거든요. 즉, 공중부양은 어떤 물체나 사람이 땅 위에 떠올라 있는 상태를 나타낼 ... ...
- [도전! 코드 마스터] 전봇대에도 알고리즘이 숨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정의가 바로 ‘사이클이 없는 그래프’거든요. 사이클이 있으면 비용을 계산할 때 필요하지 않은 금액을 계속 더할 위험이 있답니다.예를 들어 A, B, C, D 네 지점을 잇는 그래프를 살펴볼게요(오른쪽 페이지(아래 그래프)). 일반적인 그래프를 그릴 때는 A-B-C-D 순으로 길을 이은 다음, D에서 나온 선이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얼음 도둑 ‘ 아이스 몽땅’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있는 주문서를잘 보고 얼음 모양을 골라야 해.”다행히 주문서를 제대로 해석해 필요한 얼음을 선택한 썰렁홈즈. 그런데 얼음기계를 작동시켜도 얼음은 만들어지지 않았다. 그때 다시 ‘아이스 몽땅’이 얼음 그네를타면서 말했다.“이런이런! 모양만 알아내면 뭐 하나? 몇 개를 만들어야 할지도 ... ...
- Part 3. 인간이 원하는 대로 개성있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왔기 때문이랍니다.대표적인 종은 ‘휘핏’이에요. 100여 년 전 토끼를 잡는 사냥견이 필요했던 인간은 사냥 본능이 강한 테리어와 다리가 빠른 하운드의 형질을 가진 새로운 개를 원했어요. 그래서 그레이하운드와 맨체스터 테리어, 베들링턴 테리어를 차례로 교배했지요. 그 결과 지금의 휘핏이 ... ...
- [과학뉴스] 새로운 공룡의 반전 매력!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이빨을 갖기 위해 머리가 점점 커졌고, 그 결과 대부분의 사냥을 머리로 하면서 팔의 필요성이 줄어 팔이 짧아졌다는 거예요. 또한 머리의 무게 때문에 앞으로 고꾸라지지 않으려면 팔이 가벼워야 해서 짧아졌다는 학설도 있답니다.마코비키 박사는 “구알리초 신예는 공룡 진화과정의 비밀을 푸는 ... ...
- [과학뉴스] 알고 보면 똑똑한 새끼 오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물체가 서로 같거나 다르다는 것을 구분하려면 학습이 필요해요. 예를 들어 네모와 세모를 보고 ‘다르다’라고 생각하려면 변의 개수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배워야 하지요. 그런데 최근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안톤 마르티노 박사팀이 갓 태어난 오리도 같음와 다름을 구분할 수 있다는 흥미로운 ... ...
- [핫이슈] 나는야 바둑왕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게임을 하는 동안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 펼쳐지기 때문에 이기려면 고도의 전략이 필요해요. 바둑을 두는 동안 상대방의 의도를 예측하고 다음 수를 계산하는 연습을 하게 되는 이유예요. 덕분에 바둑을 배우면 배울수록 집중력과 사고력력을 기를 수 있답니다.올여름엔 와 함께 ... ...
- Part 4 네번째 작전. 소행성의 움직임을 감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따라서 어두운 천체도 볼 수 있고, 오랜 시간 동안 하늘을 관찰할 수 있는 대형 망원경이 필요하지요.소행성 발견에 가장 큰 공을 세운 건 2009년 NASA에서 우주로 보낸 적외선 탐사 위성인 ‘와이즈(WISE)’예요. 와이즈가 촬영한 사진으로 소행성을 찾는 ‘니오 와이즈(*NEOWISE)’ 프로그램을 통해 약 1 ... ...
이전3813823833843853863873883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