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03. 두 대륙이 충돌해 한반도 형성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인해 북중한판은 이동을 멈칫거리고, 그 사이에 뒤따라 북상하던 남중한판이 다가온다.
결국
이 둘은 충돌하고 마는데, 이는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의 퍼즐조각들이 만나는 극적인 순간이었다.이 충돌로 북중한판은 북중국지괴-낭림지괴(I)와 영남지괴-서남일본지괴(II)의 두조각으로 나눠진다. ... ...
10. 2억년 후 한반도는 초대륙의 중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태평양판은 연간 약 1백mm의 속도로 한반도와 일본열도가 있는 서쪽으로 이동중이다.
결국
한반도가 거의 움직이지 않는 이유는 땅덩어리 그 자체가 제자리에 가만히 있으려고 하기보다는 사방이 온통 가로막혀 있기 때문이다. 현재는 태풍의 눈처럼 일시적인 안정기일 뿐이다.그렇다면 이처럼 ... ...
08. 백두산 화산재 일본을 뒤덮어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기록이 장백산강강지략(長白山江岡志略)에 나와 있다. 처음과 마지막을 계산해보면
결국
백두산은 무려 3천만년 가까운 세월 동안 형성된 셈이다. 이처럼 장구한 세월 동안 백두산은 어떤 변화를 겪어왔던 것일까?2천8백40만년 이전까지 백두산 일대는 만주 벌판 같은 곳이었다. 그 땅속 깊은 곳, ... ...
4층 높이 전자현미경 대덕에 등장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전혀 상을 얻을 수 없었다. 1년 동안 그 원인을 알아내려고 수많은 조사를 거듭한 끝에
결국
근처 지하철에서 발생하는 자기장 때문에 현미경의 자기렌즈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한 것이라는 사실을 밝혀낸 바 있다.세계적인 수준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기초과학지원연구원에서는 특수실험실을 ... ...
배움은 뇌 구조를 변화시킨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되고, 이는 시냅스후 뉴런의 수용체를 자극해 전기를 발생시킨다.
결국
시냅스전 뉴런에서 시냅스후 뉴런으로 전기신호가 전달되는 것이다. 뇌가 작동하는 이유는 시냅스로 이뤄진 신경망을 통해 이렇게 신호가 전달돼 정보처리가 이뤄지기 때문이다. 시냅스는 수많은 정보를 ... ...
① 첨단기술 휘날리는 한국영화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지적도 없지 않다. 스토리를 무시하고 자칫 특수효과 등 비주얼에만 신경쓴다면
결국
관객들의 외면을 받을 수밖에 없다. 특수효과의 덕을 본 스타워즈나 스타트랙, 이번 태극기 휘날리며도 탄탄한 스토리를 바탕으로 한다는 것은 마찬가지다.과학기술자가 받는 영화상 우리시간으로 지난 3월 1일 ... ...
봇물 터지는 발명소송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보상금 지급기준을 국가가 강제하는 2항은 무리한 조항이라는 의견이 우세하다”며 “
결국
회사측이 보상약속을 지키지 않을 경우 소송으로 해결할 수밖에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선진국을 봐도 국가가 법적으로 관여하는 나라가 없고 자본주의체제에서 특허소송은 늘 있는 일이라는 얘기다 ... ...
숫자에 씌워진 복면을 벗겨라!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SEND ...
과학책과 연애하는 행복한 번역가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한결같이 “어려운 책을 매끄럽게 번역해서 이해하기 쉬웠다”는 말이 빠지지 않는다.
결국
“자신이 읽은 좋은 책을 다른 사람들에게 소개하는 이 일을 기쁘게 즐기면서 한다”는 태도가 독자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는 비결 아닌 비결인 셈이다.책벌레와 드라마광 사이원래 이 교수의 전공은 ... ...
3. 배아 줄기세포 치료이용, 그 머나먼 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치료효과가 나기 때문이다. 그런데 성체 줄기세포는 증식력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결국
타인의 배아 줄기세포를 쓸 때의 단점인 면역거부반응과 환자자신의 줄기세포의 단점인 낮은 증식력을 모두 극복한 대안이 바로 배아 복제인 셈이다.그러나 자궁에 착상만 시키면 복제인간이 만들어지는 ... ...
이전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