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뜨거운 백색왜성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내부 중심만 남은 별이다. 백색왜성은 더 이상 핵융합 반응을 하지 않고 서서히 식다가
결국
갈색왜성으로 바뀐다. 베르너 교수는 “H1504+65의 온도가 이렇게 높은 것은 핵융합 반응이 최근에야 끝났기 때문”이라며 “별의 헬륨 대기는 탄소의 갑작스런 점화로 별 밖으로 흩어져버려 현재는 남지 ... ...
02. 심해를 누비는 드림팀, 수중로봇 시스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동안 선박에 음파탐지기와 자력계를 매달고 해저를 샅샅이 뒤졌지만 번번이 실패했다.
결국
그의 선택은 연구소에서 제작한 무인잠수정 아르고였다.자동차 크기에 썰매 모양인 아르고는 음파탐지기와 고성능 카메라를 탑재했고, 6천m 깊이까지 내려갈 수 있었다. 아르고로 탐사를 시작한 지 20일 후 ... ...
전신마비 환자가 일어서는 기적 일어날수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때문이다.만약 새로운 신경망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여분의 신경세포조차 없다면
결국
회복 불능 상태가 된다. 그러나 신경세포를 재생산하는 기술이 발전한다면 상실된 신경 전달 기능도 회복이 가능해질 것이다. 그렇다면 신경세포는 어떻게 재생될 수 있을까.우리 몸의 신경계는 두뇌와 척수로 ... ...
호킹 박사, “내 블랙홀 이론 틀렸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1975년 뭐든지 빨아들이기만 한다고 알려진 블랙홀이 오랜 시간이 지나면 빛을 내놓고
결국
증발해 버린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빛은 ‘호킹 복사’(Hawking radiation)라 불린다. 그러나 이때도 블랙홀에서 빨아들였던 물질의 정보는 나오지 않고 단순한 빛만 사방으로 퍼져 나온다고 주장했다 ... ...
고려청자 비취색의 비밀은 철 이온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이 때문에 철 이온이 ${Fe}^{3+}$이온에서 ${Fe}^{2+}$이온으로 환원된다(Fe₂O₃+CO→2FeO+CO₂).
결국
고려청자의 비취색은 환원불로 구워 철 이온이 환원되면서 ${Fe}^{2+}$가 생성돼 나타나는 것이다.김 교수팀은 광전자 스펙트럼 분석법을 사용해 이런 사실을 증명했다. 고려청자를 굽기 전 태토의 광전자 ... ...
시뮬레이션으로 나노 세계 비밀 푼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실험으로는 원자 내부에서 일어나는 반응 메커니즘을 제대로 관찰하기가 불가능하다.
결국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하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다.하지만 시뮬레이션에도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 강 교수팀은 양자역학적 방법을 토대로 하고 있다. 양자역학적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슈뢰딩거 방정식을 ... ...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미는 힘을 받는 동쪽 지각이 서로 충돌해 생긴 지각변형이 지진으로 해소된 것이죠.”
결국
중국의 탄루탄층계에서 일어나는 지진의 축소판인 셈이다. 그렇다면 한반도의 어디에 활성단층, 즉 지각 변동의 기록이 있는 단층이 분포해 있을까.이기화 교수는 “한반도 지각은 중생대의 송림변동 등 ... ...
03. 과학을 입는다 스마트 의류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옷에 부착된 센서가 위험을 감지해 ‘그쪽으로 가지 마시오’ 고 경고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전통적인 섬유산업과 정보기술의 융합인 셈이다. 최근 등장한 접거나 말 수 있는 전자제품에 섬유기술을 적용해 옷으로 만드는 것도 좋은 예다.■ 영국의 경우 언제쯤 스마트 의류가 상용화되리라고 ... ...
09. 조용한 공간 창조하는 소음제거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이렇게 되면 다시 비용 문제를 고민할 수밖에 없게 된다.막대한 비용 문제는 생산자들을
결국
난감하게 만든다. 그래서 최근에는 소음을 완벽하게 차단하는 대신 불쾌감을 없애는 수준으로 줄이는 기술이 채택되고 있다. 상대적으로 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이다. 물론 소음이 완벽히 사라지기 원하는 ... ...
05. 자연과 호흡하는 도시생태 복원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하천과 지하로 흘러들어야 할 물이 생활오수에 섞여 못쓰게 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는
결국
도시를 흐르는 하천을 메마르게 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녹지 면적을 더욱 늘리려는 노력들이 진행 중이다. 그 방안의 하나로 아스콘 등 특수소재로 도로를 포장하거나, 지붕과 ... ...
이전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