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에 있는 거대한 '고양이 눈'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대항해 난쟁이 프로도 일행은 절대반지를 없애려고 반지가 만들어졌던 용암에 던진다.
결국
사우론은 부활하지 못한채 죽게 된다.고양이 눈 성운도 사우론의 눈처럼 죽음의 이미지를 담고 있다. 태양 같은 별들이 최후 단계에서 바깥쪽의 가스층을 방출할 때 형성되기 때문이다. 중심에는 죽음에 ... ...
1. 인터넷 시대 심리를 알아야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만들어진 정체성은 사이버 공간에서 존재할 뿐 아니라 인간의 두뇌 안에도 존재한다.
결국
사이버 공간은 모니터 저편에 보이지 않는 세계가 아니라 수많은 사람들의 정신세계가 합해져 만든 공간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 인지능력은 사이버 공간과 상호작용하면서 스스로 진화한다고 주장한다. ... ...
3. 인터넷 또다른 나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현실 공간에서 소심했던 사람이 사이버 공간에서 자신이 가진 새로운 면을 찾게 되면서
결국
현실의 자아를 바꾸는 경우도 있다. 사이버 공간의 심리가 현실세계의 마음을 대체하는 상황에 이르게 된 것이다. 게임에 몰두하는 청소년들도 현실세계의 자기보다 사이버 공간에서의 자신에 더욱 가치를 ... ...
만약 배낭로켓 메고 하늘 난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없어서 밑에 있는 사람이 총을 쏘면 그냥 맞아서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결국
적절한 용도를 찾지 못하고 지금은 ‘아주 화려하게 등장했다가 이제는 사라진 운송수단 13’에 뽑혀 박물관에 보관중이며 특별한 행사가 있을 때만 전시용으로 사용한다고 한다.구름을 산책하고 아파트 21층을 ... ...
피터팬은 환상이 아니라 실제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이루는 더욱 가치 있는 덕목이 됐다.오랜 세월 환경에 적응해 살아남아야 했던 인간은
결국
대단히 사교적이며, 배우자와의 유대감이 강하고, 창의적인 생물이 됐다. 따라서 현대 사회에서 인간이 보이고 있는 육체적, 정신적 행동은 인간의 유아화 결과물인 셈이다.한편 유아화의 정도는 성별, 인종, ... ...
기계가 정말 반란을 일으킬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필요한 일을 시킬 때마다 해당 프로그램을 입력하고 일일이 지시를 내려야 하는 로봇은
결국
인간에게 더 불편한 존재일 뿐이다. 이런 로봇은 무용지물이 되고 만다. 따라서 인간은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을 내리면서 진화하는 로봇을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로봇이 반란을 일으킬 수도 있다는 ... ...
허술한 혈액 공급망 긴급 진단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간염 같은 혈액 관련 질병의 양성 판정을 위한 구체적인 기준 수치가 규정돼 있지 않다.
결국
법적인 근거 없이 대한적십자사 혈액원의 자체 기준에 따르고 있는 것이다. 검사를 실시하는데 걸리는 기간도 명시돼 있지 않다. 검사가 지연되는 동안 생길 수 있는 감염에 대해 별다른 대책이 없는 ... ...
갯벌은 숨쉬어야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자세히 보니 고둥을 들쳐 맨 집게무리다.“집게는 게처럼 구멍을 파지 못합니다.
결국
한여름의 따가운 햇볕을 피하고 습기를 보존하기 위해 이처럼 돌밑이나 바위틈으로 피신해 밀물이 들어올 때까지 기다립니다.”윤 교수의 설명에 모두들 고개를 끄덕거린다. 조심스럽게 돌을 원상태로 놓고 ... ...
① 천재선수, 유전자부터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발목에 50g을 추가할 때마다 달릴 때 산소소모량이 1%씩 증가한다는 실험결과를 얻었다.
결국
케냐인은 덴마크인에 비해 산소소모량이 8% 적다는 결론에 이른다.“중장거리 선수 가운데 무다리를 보셨나요? 무릎을 기준으로 아래쪽이 얇고 길수록 중장거리에 유리한 건 역학적으로 당연한 결과입니다 ... ...
4. 사이버 공간에서도 언어는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일상적인 대화를 할 때 우리는 대명사를, 글을 쓸 때는 명사를 많이 쓴다. 이는
결국
인터넷 언어가 글을 바탕으로 하지만 말의 특성을 보인다는 것을 알게 된다. 또 동사는 행위나 사건을 표현하지만 형용사는 어떤 상태를 기술하는 품사이므로 인터넷 언어가 정서나 감정 표현에 충실하다는 ... ...
이전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