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황우석연구소 설립, 줄기세포 논란 가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전면 금지 포기한 유엔유엔이 인간배아 복제를 전면 금지하는 조약을 만들려던 계획을
결국
포기했다.유엔의 사법위원회인 제6위원회는 지난 11월 19일 “인간배아 복제를 둘러싼 회원국 간의 갈등이 심각해져 이 문제에 대해 구속력 있는 조약 대신 형식적인 선언문만을 채택하기로 결정했다”고 ... ...
도쿄국제판타스틱 영화제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지난 10월 14일부터 4일간 일본 도쿄의 신주쿠에서 제20회 도쿄국제판타스틱영화제가 열렸다. 아시아에 판타지영화의 물꼬를 튼 도쿄국제판타스틱영화제 ... 관객과 함께 호흡해 나가려 한다.” 시오다 도키토시 집행위원의 말처럼 영화제도
결국
관객들의, 관객을 위한 문화행사가 아닐까 ... ...
마당과 대청마루에도 생태학은 숨쉰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꼴과 도시인들의 삶이 자연과 점점 거리가 멀어지고 있다는 반성과, 자연과 인간은
결국
공존해야 한다는 의식이 자리 잡고 있다.그런데 생태란 무엇인가, 생태의 범위는 어디까지인가, 생태와 자연과 환경은 어떻게 다른가 하는 질문을 해보면 대답이 쉽지 않다. 생태를 생활에서 구체적으로 ... ...
그의 뇌와 그녀의 뇌는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했다. 그는 겉모습은 여성이었지만 마음속에는 항상 남성의식이 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
결국
그는 성인이 된 후 다시 성전환수술을 해 남성으로 살았다. 그는 태아시기에 남성호르몬에 의해 이미 남성의 뇌를 가졌기 때문에 성전환수술이나 여성호르몬 투여에도 불구하고 남성의 마음을 가질 ... ...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어느날 회의를 하던 중 두 팀이 다루고 있는 물질이 매우 비슷하다는 걸 깨달았다.
결국
허쉬코 박사팀의 ATP의존 단백질분해인자가 로즈 박사팀의 유비퀴틴과 같은 물질이었던 것이다! 분해될 단백질을 찾아 입을 맞추는 주인공이 바로 유비퀴틴이란 얘기.예상치 못한 행운에 탄력을 받은 연구팀은 ... ...
3. 첨단 나노기술로 웰빙의약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액을 투여하면 액이 굳으면서 빈 공간을 메운다. 그뒤 세포가 수화젤에서 자라면서
결국
조직이 재생됨이 동물실험으로 확인됐다. 외과적인 수술 없이 주사만으로 손상된 조직을 되살리는 세포치료법인 셈이다.레이더를 피해 적진 깊숙이 침투해 정찰하거나 폭격하는 스텔스기. 이와 똑같은 전략을 ... ...
숨 못 쉬는 조산아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수 있을 거라는…. 다소 엉뚱한 질문에 이 교수는 진지한 답변을 내놓는다.“이 시스템도
결국
인공장기에요. 넓게 보면 최근 생명과학 분야의 화두인 줄기세포와도 무관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간을 이식할 필요 없이 실제로 줄기세포에서 간을 만들자는 거죠. 하지만 현재 간 자체를 만드는 건 ... ...
새만금 갯벌에 기댄 어민들의 삶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위해서다.1991년 11월 첫삽을 뜬 이후로 새만금 간척사업은 끊임없는 찬반논란을 낳았다.
결국
1999년 5월 공사가 중단됐다가 2001년 5월 민·관 공동조사단의 활동으로 친환경적 순차개발을 하기로 최종 합의했다. 그 후 2003년 7월 환경단체의 새만금 간척사업 집행정지 가처분신청이 받아들여졌다가 ... ...
경쟁자 나타나자 '종의 기원' 서둘러 발표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새로운 진화론의 창시자로서 권위를 확보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결국
그는 방대한 양의 집필 계획을 포기하고 13개월 만에 노작을 탈고했다. 이로써 1859년은 ‘종의 기원’을 발표한 해로 영원히 역사에 남게 됐다.다윈의 진화론이 발표된 후 종교계의 반발은 거셌지만 그리 오래가진 ... ...
다윈의 핀치 부리 다양성은 단백질 때문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BMP4의 발현 패턴이 조금씩 달라 부리 형태의 미묘한 차이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새로운 형태의 부리는 새로운 유전자가 생겨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유전자의 발현 시기와 양의 변화로 나타난 것이다 ... ...
이전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