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미래지진을 찾아 바다 밑을 들추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SUMA-11C지점(동경 91°36’, 북위 3°2’, 수심 약 4.2km)이었다. 이곳은 대표적 지진대 중의 하나인 ‘순다 해구(Sunda Trench)’에서 서쪽으로 약 250km 떨어져 있다. 지진은 주로 두 개의 지각판이 서로 부딪히는 곳에서 많이 발생한다. 순다 해구는 미얀마 지각판과 인도-호주 지각판이 만나는 경계로, ... ...
- [Culture] 11분의 1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목성의 위성들을 설명하실 때 말해도 됩니다. 저기에 친구가 산다고. 갈릴레이의 위성 중 하나에 친구가 산다고요.우리가 다시 만나 점심을 먹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
- Part 3. 세상에 이런 시계가? 별별 시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구슬이 모이면 무게중심이 앞으로 쏠리면서 5개의 구슬들이 레일을 따라 내려가고, 이 중 하나의 구슬만 5분 단위를 알리는 곳에 쌓인다.1시간이 되어 5분 단위를 알려 주는 곳에 12개의 구슬이 쌓이면 다시 무게중심이 무너지면서 구슬들이 악기를 연주하거나 시소를 타는 등 멋진 장관을 보여 준다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스스로 움직이는 인형 ‘오토마타’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물시계랍니다. 현대에 들어서 오토마타는 움직이는 인형이나 장난감의 모습을 갖춘 하나의 예술 분야로 자리잡기 시작했어요.인형의 갖가지 독창적인 움직임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설계에서부터 제작까지 다양한 아이디어가 필요해요. 특히 오토마타의 핵심 요소인 캠, 크랭크, 기어와 같은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에르되시-버어 추측을 해결하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그럼 꼭 완전그래프가 아닌 다른 그래프를 찾겠다고 하면 어떨까요? 어떤 그래프 H를 하나 고정하면, 램지 정리에 의해서 N이 충분히 크면 꼭짓점이 N개인 완전그래프의 선을 빨간색 혹은 파란색으로 어떻게 칠해도 어딘가에는 빨강색으로 된 H와 똑같이 생긴 그래프가 있거나 파랑색으로 된 H와 ... ...
- 모차르트에 도전장을 내밀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어차피 좋은 노래만 나오기 때문에 확률의 힘이 크지 않다고 생각했다. 대신 음표 하나까지 우연에 맡기는 작곡법을 만들고 싶었다. 그래서 연구를 결심했다. 우연성이 큰 작곡법에서 좋은 음악이 나올 확률을 높이는 방법을 찾는 게 목표였다.처음엔 순조로웠다. 먼저 작곡법을 만들었다. 박자는 ... ...
- [과학뉴스] 마이크로파로 썼다 지우는 메모리 나올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개발하기 위한 길을 열었다. 이기진 서강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마이크로파 하나만으로 강자성 물질의 성질을 조절해 데이터를 기록하고 지울 방법을 고안했다고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016년 12월 14일자에 발표했다.기존 반도체 기술은 속도나 집적도, 소비전력 등에 한계가 있다. 메모리 속 ... ...
- [과학뉴스] 영하에서 얼음은 한 층씩 녹는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했다.그 결과 연구팀은 영하 38℃에서 이미 얼음 표면의 분자 층 하나가 준 액체로 변해 있는 것을 발견했다. 서서히 온도를 높이자 영하 16℃에서 두번째 분자 층이 준 액체로 변했다. 온도가 높아지면 얼음표면이 조금씩 지속적으로 녹을 것이라는 기존 추측과 달리, 특정 ... ...
- [Origin] 길들여지지 않는 새, 이클립스 깃털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7년 01호
- 2000년 전의 뼈를 8000년 전의 지층으로 옮겼을 것이라고 추정했다.인류문명의 발상지 중 하나였던 인더스문명의 사람들이 적색야계를 사육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을까. 고고학자들은 “인더스문명의 사람들은 닭을 뼈까지 먹는 습성이 있었다. (더 오래전에 집닭이 된 적색야계의 흔적을) 아직 ... ...
- Part 1. 지구 속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0만 기압까지 높아진답니다. 300만 기압은 몸무게 4톤짜리 코끼리 100마리가 100원짜리 동전 하나에 모두 올라갔을 때와 비슷한 엄청난 세기랍니다.350km지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시설 ‘국제우주정거장(ISS)’은 인류가 지금까지 만든 것 중 가장 큰 비행체다. 이 안에선 사람들이 거주하며 각종 ... ...
이전3753763773783793803813823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