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생체열쇠 - 둘] 홍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INTRO. 내 몸이 만능열쇠? 생체 인식이 궁금해!Part 1. 몸이 열쇠가 된다?Part 2. [생체열쇠 - 하나] 지문Part 3. [생체열쇠 - 둘] 홍채Part 4. [생체열쇠 - 셋] 얼굴 & 걸음걸이Part 5. 생체 정보, 딥러닝하다 ... ...
- Part 1. 우리 뇌는 ‘감각 통합’ 중!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정보들은 하나의 결과물로 합쳐지는 과정을 거치죠. 보고, 듣고, 느낀 정보들을 근거로 하나의 결론을 내는 것이랍니다. 이것을 ‘감각통합’이라고 해요. 왼쪽에 나온 것처럼 음식을 먹는 것이 대표적인 예죠.이그노벨상을 받은 두 실험은 모두 이 감각통합과 관련돼 있어요. 단순히 사물을 보는 ... ...
- Part 2. [생체열쇠 - 하나] 지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INTRO. 내 몸이 만능열쇠? 생체 인식이 궁금해!Part 1. 몸이 열쇠가 된다?Part 2. [생체열쇠 - 하나] 지문Part 3. [생체열쇠 - 둘] 홍채Part 4. [생체열쇠 - 셋] 얼굴 & 걸음걸이Part 5. 생체 정보, 딥러닝하다 ... ...
- [가상 인터뷰] 우리의 먼~ 친척, 안경원숭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툭 튀어나온 이유는 안구를 감싸는 뼈인 ‘안와’에 비해 안구가 크기 때문이에요. 안구 하나가 뇌 전체의 무게와 같지요.전 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해요. 바닥보다 나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길답니다. 이동을 할 때에도 나무 기둥 사이를 뛰어다니고, 밤에도 나무 위에서 웅크리고 잠들지요. 제 두 ... ...
- Part 2. 착시도 감각통합의 결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간단한 상황에서도 여러 감각기관과 정보들의 통합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어요. 그중 하나의 정보만 달라져도 감각통합의 결과는 확연히 달라질 수 있죠. 이그노벨상 수상자들까지 매료시킨 우리 뇌의 신비, 정말 흥미롭죠?도전! 감각통합 실험뇌에서 매순간 감각 통합이 일어나지만 이것을 직접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어린이과학동아 팬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그건 아니지! 팬파티에 참석한 친구들은 모두 섭섭박사님이 특별 제작한 전세계에 하나뿐인 섭섭박사 이어폰 홀더와 솔이 캐릭터가 그러진 텀블러와 파우치, 그리고 재미있는 과학책을 선물로 받았거든. 선물이 정말 푸짐하지?팬파티에 함께해 주신 홍승우 작가님은 “친구들의 코스프레 실력이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악어농장 주인 ‘ 아거테 가나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거야!” 이번엔 썰렁홈즈 앞에 악어가 살고 있는 강이 나타났다. 강을 어떻게 건너야 하나 걱정하고 있던 그때, 보트를 탄 ‘아거테 가나올라’가 나타나 말했다.“이 강을 건너고 싶지? 그럼 징검다리를 이용하라고!”하지만 강에 놓인 징검다리는 그 사이가 너무 넓어 건너기가 어려웠다.“잘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과학집단의 반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속에서 긴장했던 시원이는 출구에 도착하자마자 다리에 힘이 풀렸어요. 다른 친구들도 하나둘 땅바닥에 앉아 잠시 휴식을 취했지요.“휴~, 살았다! 어? 이게 뭐지?”“러시아어인가? 이상한 알파벳이네?”자리에 앉았던 오로라가 이상한 문자가 적힌 쪽지를 발견했어요. 거기에는 뜻 모를 글자가 ... ...
- Part 4. [생체열쇠 - 셋] 얼굴 & 걸음걸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INTRO. 내 몸이 만능열쇠? 생체 인식이 궁금해!Part 1. 몸이 열쇠가 된다?Part 2. [생체열쇠 - 하나] 지문Part 3. [생체열쇠 - 둘] 홍채Part 4. [생체열쇠 - 셋] 얼굴 & 걸음걸이Part 5. 생체 정보, 딥러닝하다 ... ...
- [숲이야기] 알록달록, 겨울을 기다리는 단풍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있는 형태를 하고 있어요. 이런 잎을 ‘복엽’이라고 해요. 복자기는 잎 위쪽에 큰 톱니 하나가 있는 반면, 복장나무는 가장자리 전체에 톱니가 돋아나 있기 때문에 잎을 자세히 보면 구분할 수 있답니다.단풍나무과에 속하지 않은 진달래, 철쭉, 개머루, 팥배나무, 마가목 등도 안토시아닌을 만들어 ... ...
이전3783793803813823833843853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