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1
일
싱글
혼자
독신
단위
단원
d라이브러리
"
하나
"(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전! 코드마스터] 하노이의 탑을 옮기는 데 걸리는 시간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8호
64개니까 2의 64승에서 1을 빼면 되겠죠? 답은 1844경 6744조 737억 955만 1615번이랍니다. 1초에
하나
씩 옮긴다 해도 5800억 년 이상이 걸리지요. 세상 멸망은 아직 한참 남았으니 다들 안심하세요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피에로의 정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8호
내릴 수 있어요. 황 화합물이 포함돼 있는 화산재가 빗물에 섞이면 산성비의 원인 중
하나
인 황산이 돼요. 따라서 화산 폭발이 일어나면 산성비와 함께 미세먼지 주의보가 내려지기도 한답니다 ... ...
Part 5. 자동차, 자연으로 돌아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이동하는 통로들이 모인 ‘목질부’가 있어요. 리그닌은 목질부를 구성하는 물질 중
하나
랍니다. 63.4%의 탄소와 30%의 산소, 5.9%의 수소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식물 내부에 존재하는 물질 중 두 번째로 풍부한 천연 재료지요.연구팀은 리그닌을 화학적으로 가공해 탄소가 사슬모양으로 길게 늘어진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우유공장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무균화 생산 관리 시스템’으로 생산되고 있었어요. 우유를 만드는 모든 과정을
하나
의 라인으로 연결하고, 우유팩과 공기 등 우유가 접촉하는 모든 것을 무균상태로 유지하는 시스템이에요.목장에서 짠 원유가 우리에게 오기까지 우유의 여행을 좀 더 자세하게 만나 볼까요?연구원에게 직접 듣는 ... ...
[출동! 섭섭박사] 스마트 램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전류가 흐르지 않아요. 한편 병렬 회로에서는 한 부품에 지나가는 전류의 세기는 작지만,
하나
가 꺼져도 다른 부품엔 영향을 주지 않지요. 그래서 보통 집에서 사용하는 가전제품은 병렬로 연결돼 있답니다. 전기가 통하는 부품 여러 개를 연결하면 전자 회로가 완성돼요. 이때 만들고 싶은 회로에 ... ...
Part 2. 자동차, 스스로 길을 찾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위해 센서는 물론 인공지능까지 연구하고 있답니다.기존 자율주행자동차는 정면에 달린
하나
의 센서로만 차선을 읽었기 때문에 이 센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올바른 길을 찾을 수 없었어요. 반면 서울대학교 서승우 교수팀이 제작한 자율주행 자동차인 ‘스누버’에는 자동차 사방에 센서들이 ... ...
Intro. 전자 심판으로 오심을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볼 수 있는 전세계인의 축제란다. 그런데 선수들 말고도 경기를 흥미롭게 만드는 또
하나
가 있다는 거 알고 있니? 그건 바로 ‘전자 심판’이야. 인간이 알아차리기 힘든 0.0001초의 차이까지 알아내는 예리한 전자 심판들을 지금 바로 만나 보자!* 비니시우스 : 브라질 야생동물의 특징과 성격에서 ... ...
[도전! 코드 마스터] 전봇대에도 알고리즘이 숨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경로는 아무리 비용이 적더라도 사용하지 않아요. 크루스칼 알고리즘은 경로를 차례대로
하나
씩 찾기 때문에 다루기 쉬워요. 하지만 점의 수가 늘어날수록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지요. 프림 알고리즘은 아무 점이나 선택해 연결된 점가운데 가장 비용이 적은 곳으로 이어가는 방식이에요. 연결되는 ... ...
[헷갈린 과학] 망고 vs 파파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바로 씨앗이에요. 망고는 열매
하나
에 커다란 씨앗이 한 개 들어 있는 반면, 파파야는
하나
의 열매 속에 까맣고 동글동글한 씨앗이 여러 개 들어 있거든요. 또한 파파야는 망고에 비해 단맛이 덜 하고 독특한 향이 진하게 난답니다.파파야 과육에는 ‘파파인’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어요. 파파인은 ... ...
[현장취재 ➋] ‘마인크래프트 코딩 교육’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같은 간단한 행동도 이렇게 작은 단위로 잘라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어요. 또 순서를
하나
라도틀리면 원하는 행동을 시킬 수 없지요.이렇게 일을 쪼개고 순서대로 조합하는 과정이 바로 코딩의 기본인 ‘알고리즘’이에요. 또 이 과정에서 일을 논리적으로 처리하는 ‘컴퓨터 사고’가 ... ...
이전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