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마찬가지예요. 지구에는 약 200만 종의 생물이 살아가고 있어요. 이 중 일부 생물이 하나 둘 없어지다 보면, 결국 전체 생물이 모두 위험해질 수 있지요. 즉, 여러 생물이 다 함께 살아야 전체 생물이 모두 건강하게 살 수 있어요.게다가 과학자들은 아직도 수백만 종의 생물이 발견되지 않았을 것으로 ... ...
- 바닷속은 문어와 오징어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주변 물체에 달라붙어 도망갈 길을 마련할 수 있지요. 거대문어는 지름이 약 7.6cm인 빨판 하나로 13kg이 넘는 물체를 들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답니다. 로봇, 두족류를 닮다!모두들 우리 두족류의 반전 능력에 감탄하고 있을 거야~. 후훗! 어? 저기 우리 아빠다! 아빠~! 엥? 아빠가 아니잖아? 게다가 ... ...
- [핫이슈 ➊] 아이스에이지 지구대충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태양계가 뒤흔들려 버렸거든요. 과연 스크랫과 친구들은 위기를 넘길 수 있을까요?하나. 달이 멈추면 바닷물도 멈춘다?스크랫이 타고 간 우주선은 태양계에 있던 천체들을 차례로 박살내요. 이 때문에 지구에는 작은 소행성 파편들이 쏟아지고, 바다의 밀물과 썰물이 함께 멈추어 버리게 되지요. 왜 ... ...
- [핫이슈] 새콤달콤 여름을 즐겨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안토시아닌은 꽃이나 과일에 들어 있는 색소 성분이에요. 가장 큰 특징은 안토시아닌 하나로 핑크색부터 노란색까지 여러 가지 색깔을 낼 수 있다는 거지요.안토시아닌이 다양한 색을 나타낼 수 있는 건 산성도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에요. 산성에서는 붉은빛을, 중성에서는 보라색을 내요. ... ...
- 친환경 비행기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받은 주제는 비행기의 연료 효율성이었어요. 비행기는 대기를 오염시키는 원인 중 하나로 뽑혀요. 비행기에 사용하는 항공유는 화석 연료의 일종이기 때문에 질소산화물과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거든요. 특히 자동차와 기차, 배 같은 다른 교통수단에 비해 배출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최대 20배나 ... ...
- 벌레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18℃일 때는 한 달 동안 알 하나에서 하나의 어른 모기가 생기지만, 30℃가 넘을 때는 알 하나가 7일 만에 어른 모기가 되어 알을 100개 낳고, 이 알에서 자란 어른 모기가 또 알을 100개 낳아 자라면 한 달 만에 무려 1만 마리의 모기로 늘어날 수 있답니다. 온도에 따라 곤충의 수가 이렇게나 달라질 수 ... ...
- [도전! 코드 마스터] 엉망진창 책장 속 책들, 어떻게 정렬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중에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퀵 정렬 알고리즘’이에요. 기준이 되는 데이터를 하나 뽑은 뒤, 이 데이터보다 크기가 작은 것과 큰 것을 찾아 정렬하는 방식이에요. ‘퀵(quick)’, 즉 ‘빠르다’라는 이름이 붙은 만큼 매우 빠른 시간 동안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정리할 수 있답니다.3, 5, 4, 1, 2 순으로 ... ...
- [지식] 빛과 거울, 명작의 비밀병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이용하면 옆모습 밖에 그릴 수 없게 됩니다. 화가가 자화상을 그리려면 평면거울이 하나 더 필요했습니다. 그러면 평면거울에 비친 얼굴이 오목거울에 반사된 뒤 마지막으로 캔버스에 맺히게 됩니다. 오목거울은 빛을 한 곳으로 모으기 때문이지요. 오닐은 렘브란트가 이 방법으로 캔버스에 비친 ... ...
- [재미] 마왕의 등장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비유클리드 기하학이라고 하는데, 굽어 있는 공간에서 도형을 연구하는 거예요. 그중 하나가 독일 수학자 베른하르트 리만이 정립한 리만 기하학이에요. 리만은 정말 위대한 수학자예요. 약 10년 동안 어마어마한 업적을 이뤘거든요!”“그렇군요. 저보다 더 훌륭한 수학자로군요….”“하하, 그렇지 ... ...
- Part 1. 우리 몸에는 프랙탈 나무가 자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진단할 수 있다.세기관지 : 지름이 1mm 이하인 작은 기관지.세포수많은 세포가 모여 하나의 조직을 이루는 모습이나 세포분열에서도 프랙탈을 볼 수 있다. 특히 암세포는 주변에 있는 정상 세포와 프랙탈 차원이 다르고, 표면에 미세한 프랙탈 패턴이 나타난다. 이를 활용하면 암을 초기 단계에서 ... ...
이전3833843853863873883893903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