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기
식기
밥그릇
주발
공기
저장소
선박
d라이브러리
"
그릇
"(으)로 총 410건 검색되었습니다.
금속활자의 부활
과학동아
l
199007
청동활자를 만드는 비용을 백성들에게 거둬들이지 말고 대궐에서 당장 소용되지 않는 놋
그릇
을 다 내놓을 테니 대신들도 뜻이 있거든 모아 보라고 했다. 기술상의 문제에 대해서는 언급조차 없다. 기록에 따르면 태종은 '강령'(强令)했다 한다. 그는 기술적으로는 별 문제가 없다고 생각했음에 ... ...
타조알과 인류의 나이
과학동아
l
199007
사용하면 4분의1 갤런이나 담을 수 있었다.따라서 고대 선사시대의 유적지에는
그릇
이 놓일 자리에 이러한 껍질조각이 남아 있게 되었다. 그렇다면 이 껍질들이 과연 연대 측정에 어떤 도움을 줄까? 살아있는 생명체에든 죽은 생명체에든, 비록 그것이 뼈나 껍질과 같이 단단한 물체라 할지라도 ... ...
고려청자와 비색(翡色)
과학동아
l
199006
새로운 경지에 들어서는 신기술을 창출했다. 상감청자를 개발한 것이다.그것은
그릇
의 표면을 파고 그 속에 백토 또는 흑토를 메워서 청자의 푸른 바탕에 백색과 흑색의 무늬를 장식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의 개발로 고려청자는 그 아름다운 푸른색에 흑백의 선명한 도안이 화사하게 장식되기에 ... ...
유리인가, 슬래그인가?
과학동아
l
199005
난다. 1단계에는 유리구슬류가 주로 발굴되고, 2단계에는 풍부한 유리구슬과 장식품, 유리
그릇
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3단계에는 사리병이 주축을 이룬다고 밝히고 있다.이러한 설정은 70년대에 내가 포괄적으로 제시한 가설을 실험적으로 증명해 주고 있다. 그러나 이씨는 유리가 제작되기 시작한 ... ...
유리를 둘러싼 한·일 공방
과학동아
l
199004
고대의 보물들이 보존되어 있는 쇼소인(正倉院)에는 신라고분에서 나온 것과 똑같은 유리
그릇
이 있고, 유리곡옥이 중국에서 나오지 않는다는 사실을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또 일본의 유리구슬이 한반도의 청동기·철기기술과 연결되는 지역에서만 출토된다는 사실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이 두 ... ...
기술고고학이 밝혀 낸 사실들
과학동아
l
199003
챙겨 두는'컴팩트한 디자인은 일본사람들을 경탄하게 한다.8세기경에 이만큼 훌륭한 놋
그릇
을 만들수 있었다는 것은 그 당시의 청동기 주조기술이 매우 높은 수준에 있었음을 말해 준다. 일본은 그 때에도 좋은 청동기를 한국에서 수입하고 있었다.일본에 수출한 철정이러한 높은 수준의 ... ...
중금속 오염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과학동아
l
199003
때 납이 녹아 나와 납의 흡수가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1천2백℃이상으로 가열된 사기
그릇
은 그런 위험성이 없다. 미국에서도 밀주양조를 하는 과정에서 납이 녹아 납중독을 일으킨 사례도 있다.체내에 흡수된 납은 체액중의 산 또는 염기와 결합해 납의 염류를 형성한다. 혈액이 산성일 때는 혈액 ... ...
모헨조다로와 하라파
과학동아
l
199002
토기의 아름다움 때문이다.굽이 높은 고배나 구멍이 숭숭 뚫린
그릇
도 보였다. 구멍 뚫린
그릇
은 화로나 시루(맥주나 치즈를 거르던 것)로 쓰이던 것으로 하라파문명의 특징적 토기이기도 하다.청동제품은 칼 도끼 창날 화살촉 등이 있는데 뛰어난 수법은 아니지만 B.C.3000년 경에 이런 것들을 ... ...
플라스틱이 전기를 통한다
과학동아
l
199002
단량체를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중합하는 방법이다. (그림3)에서와 같이 전해질이 담긴
그릇
에 백금으로 된 두 전극을 꽂고 전기를 통하면 음극표면에 검은 색깔의 전기전도성 필름이 얻어진다.또 다른 방법은 축합·중합방법이다. 즉 두개의 화합물이 반응, 적은 물질을 부산물로 생성하면서 ... ...
하이테크 시대의 복병 EMI
과학동아
l
199002
플라스틱
그릇
등은 전자파가 흡수되지 않고 그대로 투과하여 데워지지 않고 그
그릇
속에 담긴 물이나 음식만 뜨겁게 된다.이렇게 전자파는 그 주파수에 따라서 생체에 무척 해로울 수도 있다. 그러면 어느 정도의 전자파 복사가 인체에 해로우냐 하는 데는 아직도 논란이 많다. 인체에 해롭지 않은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