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릇"(으)로 총 4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청동기와 거푸집과학동아 l199001
- 문헌에 나오는 유(鍮) 또는 유철(鍮鉄)은 놋 또는 놋쇠의 한자이고 유기(鍮器)는 놋그릇의 한자어인 것이다.땅 속에 묻혀있던 유물의 발굴은 역사를 바로 쓰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다. 일본 학자들은 해방 전에 "한국에는 청동기시대가 없었다"고 주장하고 있었다.그러나 1945년 이후 한반도에서는 여기 ... ...
- 청동기 기술과학동아 l198912
- 고려의 청동기기술자들은 어떤 동합금을 만들어냈기에 가장 좋은 종, 가장 훌륭한 그릇을 제조했을까? 그 전통은 말할나위 없이 청동기시대의 기술에서 이어진 것이다. 이렇게 한국에서 만든, 오래 전통을 가진 청동합금을 필자는 한국청동이라 이름지었다. 그러나 내가 처음 쓴 용어는 아니다. ... ...
- 원자시계란 무엇인가?과학동아 l198911
- 정밀한 온도조절과 자기차폐가 이뤄진다. 세슘 발생장치는 고순도 세슘금속을 넣어두는 그릇이다. 온도를 1백℃정도 가열하면 증발한 세슘원자가 작은 구멍을 통과한다. 곧이어 상태선택용 자석을 지나면서 한 상태의 원자가 공간 선택되어 ㄷ자형 마이크로파 공동으로 들어간다. 이 ㄷ자형 ... ...
- 껌처럼 늘어나는 금속의 마술사 슈퍼플라스틱 금속과학동아 l198911
- 밀려나진 않지만 충격을 견디지 못해서 깨져버린다(그림 1,㉢). 이런 현상이 바로 사기그릇이 잘 깨지는 근본적인 이유가 된다.이처럼 원자의 움직임과 결정입계의 저항력 등은 원자 사이의 결합력 및 원자결합 특성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즉 금속재료의 원자는 소위 '금속결합'을 이루고 ... ...
- 측우기과학동아 l198910
- 한 바 있으나 미진한 곳이 있어 조례를 다시 구신하나이다.경중(京中)에서는 철을 부어서 그릇을 만들어 측우기라고 명명하였읍니다. 측우기는 길이 1자(尺) 5치(寸), 직경 7치로 주척(周尺)을 쓰고 있읍니다. 서운관에 대를 만들어 그 위에 측우기를 놓고 비가 그쳤을 때마다 본관 관원이 강수상황을 ... ...
- 공업디자인과학동아 l198909
- 맡은 적이 있었는데 초기방향을 내생활에 기준하여 주로 먹는 음식들이나 사용하는 그릇 등이 어디에 놓일 것인지 연구했으나 이러한 접근방법은 곧 벽에 부딪히고 말았다. 모든 사람들이 나와 같은 취향을 가지고 생활하는 것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디자인의 초기방향은 소형냉장고를 이용할 ... ...
- 물시계과학동아 l198908
- 더욱 반가운 것은 없어진 것으로만 알았던 잣대와 그것을 뜨게 하는 거북 모양의 청동 그릇을 최근에 찾아냈다는 사실이다. 1920년대에 창경궁에 보존되어 있을 때의 사진을 보면 우리 민족의 애환이 서린 이 유물의 모습이 우리의 가슴을 저리게 한다.금방이라도 살아 움직일듯한 용을 틀어올린 청동 ... ...
- 첨단과학기술의 주춧돌이 되기도과학동아 l198907
- 1592년경 '갈릴레오'에 의해 발명된것으로 전해지고 있는데, 그가 만든 온도계는 물그릇 위에 유리병을 세운듯한 형태였다. 1654년 '투스카니'의 대공인 '훼르디난드' 2세는 유리관에 알콜을 넣은후 유리관에 눈금을 그어 알콜의 열팽창에 의해 온도를 읽는 최초의 알콜유리온도계를 발명하였으며, 이 ... ...
- 발명왕이 되는 10계단과학동아 l198905
- 이미 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이미 있는 물건을 만들 뿐이다.종이컵 나무젓가락 플래스틱그릇 종이음료용기 비닐음료용기 등 수많은 발명, 즉 재료만 바꾼 발명들이 대공장을 탄생시킨 세계적인 발명품이었다.장갑도 고무장갑 가죽장갑 털장갑 나일론장갑 비닐장갑 면장갑 등 여러 재료의 장갑이 ... ...
- 환경오염방지와 자원재활용을 위한 재생처리기술 어느 수준인가과학동아 l198903
- 의 지도 아래 수집돼 종말처리되고 있다.여기서 다시 태어난 것들이 짙은 고동색 고무그릇류와 정화조, 하수도파이프 등. 최근에는 식기류 외의 그릇, 플래스틱 장난감, 마대, 깔판, 구두굽 등도 생산해내고 있다.합성수지 외에도 전통적으로 종이의 재생률은 높은 편. 재생갱지는 펄프로 만든 ... ...
이전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