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뉴스
"
뒤
"(으)로 총 13,962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do감] 똑똑한 앵무새, 식수대도 사용할 줄 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05
44일 동안 관찰했다. 그 결과 큰유황앵무는 식수대의 손잡이 위에 올라 발로 잡고 돌린
뒤
물이 나오는 구멍으로 몸을 기울여 물을 벌컥벌컥 마시는 모습이 500회 이상 포착됐다. 큰유황앵무는 46%의 성공률로 물을 마시는 데 성공했다. 독일 막스플랑크 동물 행동 연구소 연구팀이 식수대를 ... ...
뇌 속 노폐물, 간편하게 배출하는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05
코안 쪽 그리고 입천장의 림프관을 통해 얼굴 피부 아래, 주로 눈·코 옆 림프관으로 모인
뒤
턱밑샘 림프절로 배출됨을 규명했다. 공동 제1저자인 진호경 IBS 선임연구원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영장류센터 이영전 박사 연구팀과 협업을 통해 이번에 발견한 뇌척수액 배출 경로가 쥐뿐만 ... ...
치명적 혈액암 '다발성 골수종', CAR-T 치료로 생존율 향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6.04
최소 5년 이상 생존을 이어간 것이다. 한 환자는 2010년 다발성 골수종 진단을 받은
뒤
9가지 약물을 사용해왔지만 모든 약물에서 내성이 생겼다. CAR-T 치료 후에는 6년간 암이 증식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CAR-T 치료제가 현재 정가 55만5310달러(약 7억6000만원)으로 비싸지만 1회 투여로 장기간 효과가 ... ...
서울아산병원, 중국서 '생체 간이식' 집도…中 전문가 2만명 시청
동아사이언스
l
2025.06.04
체중은 6kg에 불과했다. 국내에서 소아 생체 간이식을 시행할 땐 체중을 8kg까지 키운
뒤
진행한다. 환아의 복강 내 공간 대비 이식되는 간 크기가 너무 크면 이식 후 복벽에 간이 눌려 괴사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서울아산병원 간이식팀은 나쁜 영양 상태와 저체중 상태에도 ... ...
콘크리트 비탈면에서도 식물 성장시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04
보은군 국도변에 콘크리트 비탈면 생태복원기술을 시공한
뒤
7개월이 지나자 식물이 풍성하게 자랐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한국은 국토의 70% 이상이 산지이기 때문에 건설 사업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콘크리트 비탈면’이 발생한다.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는 콘크리트 비탈면 문제를 해결할 ... ...
중국 간 1세대 석학 "중국에선 적어도 과학자가 최고 직업"
동아사이언스
l
2025.06.04
생각하니 나가는 게 현실적으로 맞다고 생각했다"고 했다. 2018년 정년퇴임을 한
뒤
부터 미래에 대한 고민이 시작됐다. 소설을 즐겨쓰던 이 교수는 본격적으로 글을 더 써볼 계획이었다. 그러던 중 미국 아이오와주립대에서 박사과정을 보낼 때부터 알았던 동료 과학자로부터 연락이 왔다. ... ...
동물과 대화하는 날 오나…AI, 고래 말 해독 중
동아사이언스
l
2025.06.03
과학자들은 그동안 누적된 동물 발성 녹음 데이터들을 AI가 학습하고 분석하면 발성
뒤
숨겨진 뜻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진행 중인 동물 말 해독 프로젝트 대부분은 고래류에 초점을 맞췄다. 고래는 사람처럼 발성 모방을 통해 학습하고 복잡한 소리 배열로 ... ...
6월 복귀 전공의 860명…모집 인원 5.9% 불과
동아사이언스
l
2025.06.02
전공의 수가 미미하면서 전문의 배출 시점은 지연될 상황에 놓였다. 새 정부가 들어선
뒤
곧바로 복귀 협상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하반기 정기 모집 기간인 9월 전공의 모집이 이뤄진다. 이날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전공의 집단행동을 지지·방조한 혐의로 의협 전·현직 간부 등 7명이 검찰에 ... ...
KAIST, '과학기술인 전당' 신설…근현대 과학자 업적 조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6.02
KAIST 총장은 “높이 자란 나무일수록 그 뿌리가 깊듯 KAIST가 추구하는 이상과 성취의
뒤
에는 과학계 선배들의 헌신이 자리하고 있다”며 “그 뜻을 기리고 후학들에게 전하고자 과학기술인 전당을 새롭게 조성했다”고 밝혔다. 비전관은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되며 ... ...
AI 기반 약물 개발의 그늘…안전성·유효성 검증 없는 특허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25.06.02
국내 권위자인 백민경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AI 기반으로 저분자 화합물을 발굴한
뒤
인 비보 실험 없이 특허를 출원하는 것은 기술 발전에 따른 자연스러운 흐름이지만 몇 가지 문제점을 내포한다”며 “우선 특허의 본질적 목적은 ‘공개를 대가로 한 일정 기간의 독점권 보장'인데 생체 내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