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검은구멍이 발하는 중력파 포착하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결과가 불투명한 이런 사업에 NSF 최대 연구비를 과감하게 투자하는 미국이 역시 기
초
과학 세계의 거인이라는 점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왜 LIGO 같은 일을 하게 됐느냐는 질문에 책임자 중의 한 사람인 MIT의 와이스는 “아인슈타인을 존경하는 마음에 여기까지 오게 됐다”라고 대답했다고 ... ...
2 국산
초
음속기 마의 음속 돌파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2002년 8월 20일 처녀비행에 성공했던 국산
초
음속기 T-50이 곧 마의 음속을 돌파할 예정이다. 음속 돌파에 성공하면 T-50은 명실상부한
초
음속기로 인정받으며 한국 항공기 개발역 ... 셈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1 우리 위성 쏘아올릴 액체로켓 발사 성공2 국산
초
음속기 마의 음속 ... ...
혈액 한방울로 범인 찾는 방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해도 어떤 혈액이 사람의 것인지, 짐승의 것인지조차 구별하지 못했다. 20세기
초
오스트리아의 병리학자 칼 란트슈타이너에 의해 사람의 혈액이 모두 네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는 사실이 처음 밝혀지면서, 혈액형의 구분은 감정관이 용의자를 찾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 물론 똑같은 혈액형을 ... ...
국내 연구팀 단백질 구조예측대회서 아시아 최고 성적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과학자들은 단백질을 만드는 밑그림인 유전자
초
안을 얻었다. 그러나 유전자
초
안이 곧바로 단백질의 구조 정보까지 말해주지는 않는다. 전통적인 실험 기법으로는 수년이 걸려야 한개의 단백질 구조를 밝힐 수 있다. 그러므로 실험적인 방법으로 10만여개에 달하는 인간 단백질의 구조를 밝힌다는 ... ...
미 최
초
위성 익스플로러 발사 45주년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발사는 취소된다. 우리도 실패의 경험은 있다. 지난 1995년 8월 5일발사된 우리나라 최
초
의 방송통신위성 무궁화 1호 발사 과정에서 보조 로켓의 분리장치가 오작동해 위성의 수명이 반토막 나는 일이 있었다. 그래서인지1996년 1월 14일 예비위성인 무궁화 2호 발사에는 관계자들이 신경을 ... ...
2 암 발생시키는 표적을 탐지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기
초
생물학에서 질병연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세계적으로도
초
기 단계이므로 이를 적극 활용하면 국내에서도 독창적인 신약 개발이 가능하리라 예상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포스트게놈시대 평정하는 첨단 생명과학 프로테오믹스 1 생명 현상 조절의 실체 단백질 ... ...
2003년 생활 변화시킬 IT제품 퍼레이드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가동시간 1
초
, 찍은 후 곧바로 촬영이 가능한 간격은 약 0.6
초
다. 내장메모리가 기본으로 탑재돼 있다. 기본적인 카메라 기능에 MP3 음악을 들을 수 있고 음성 녹음도 가능하다. 저소비전력, 저노이즈화의 이 제품은 2003년 세컨드카메라 시장을 이끌어나갈 주요 기기로 ... ...
우주를 이해하는 표본 태양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떨어진 곳을, 1995년 7월에는 태양의 북극으로부터 1억4천만km 떨어진 곳을 지남으로써 최
초
로 태양 남·북극을 일주한 탐사선으로 기록됐다.그 후 유럽은 더욱 발전된 태양관측위성 ‘소호’(SOHO)를 개발해 1995년 미국의 로켓에 실어 발사했다. 소호는 지구 상공 1백50만km 궤도에서 태양을 관측했다. ... ...
다시 외쳐지는 집합 구호, 슈퍼컴퓨팅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같은 메모리를 공유하면 대칭형 다중 프로세싱(SMP), 각자 메모리를 분산하면
초
병렬 프로세싱(MMP)이라 부른다. 마지막으로 거의 예비군 수준으로 느슨해져서 PC 서버급의 기계들이 네트워크로 집합하게 되면 ‘그리드 컴퓨팅’이 되는 것이다.●● 슈퍼컴퓨팅은 방식과 수준이 가지가지인 만큼 ... ...
왜 핵과학자들은
초
중량 원소를 만들려고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따라 주기율표에서 자신의 위치를 지키고 있다.국내에서도 중이온 가속기의 도입과
초
중량 원소에 대한 연구 성과가 나타난다면 우리나라 이름을 딴 원소명 ‘코리움’(koryium)이 주기율표의 한자리를 차지할 날이 도래하리라 믿는다.|베타붕괴|불안정한 원자핵이 전자와 반중성미자를 방출하고 ... ...
이전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