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 노트]새로운 인생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사회를 과학의 눈으로 보고 비판적으로 다시 생각하는 기사도 꾸준히 게재한다. 과학과 기술은 사회와 그 안의 사람과 절대 떨어질 수 없는 관계에 있다고 믿으며, 그것이 과학과 사회의 건전한 긴장 관계라고 믿는다.마지막으로, 과학동아의 기사를 읽고 더 넓고 깊은 지식을 얻고 싶어하는 독자를 ... ...
- [News & Issue]과학기술인에 ‘유공자’ 칭호 붙는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과학기술 발전에 공적이 큰 과학기술인도 앞으로 ‘유공자’ 칭호를 받을 수 있게 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015년 11월 30일 ‘과학기술유공자 예우 및 ... 예우를 받게 되며 과학기술 연구, 중소기업 지도, 강연과 저술 활동, 개발도상국에 대한 기술지원 시 정부에서 경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 ...
- [News & Issue]GM연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분도 있을 텐데요, 그렇지 않습니다. GM연어가 처음 개발된 1990년대엔 유전자 가위라는 기술 자체가 없었거든요. GM연어를 만든 비법은 플라스미드를 이용한 유전자 삽입법입니다. 대서양 연어의 염색체에 연어의 먼 친척인 등가시치과 물고기 ‘오션 파우트(ocean pout)’의 프로모터(DNA에서 RNA합성이 ... ...
- [News & Issue]3.35m 점프하는 메뚜기 로봇 개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로봇의 안정성과 점프 높이를 늘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생체모방기술학술지(Bioinspiration and Biomimetics)’ 2015년 11월 25일자에 발표됐다 ... ...
- [News & Issue]디웨이브, 진실을 말해줘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제외한 양자 물리계는 결어긋남 현상을 줄이는 게 정말 어렵다”며 “결어긋남 감소 기술이 양자컴퓨터 실현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만약 디웨이브2X가 큐빗 1097개를 이용해 연산을 했다면, 반드시 이 문제를 극복했어야 했다. 하지만 해당 논문에는 이에 대한 설명이 전혀 없다.수학적 증명 빠진 ... ...
- [News & Issue]내가 쓴 화장품이…해안을 더럽힌다고?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해안의 미세플라스틱 밀도, 세계 평균의 13배우리나라 상황은 더 심각하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이 2015년 10월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경남 거제를 포함한 32개 바다에서 1km2당 55만 개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전국 12개 해안에서 확인된 미세플라스틱의 평균 밀도는 m2당 1만1871개로 전세계 ... ...
- 세뱃돈이 사라진다?! 미래의 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디지털 금융 시대를 막을 수 없다는 점이에요. 이에 따라 발생할 문제는 금융과 정보통신 기술이 반드시 해결해야 할 숙제랍니다.현금이 사라져도 걱정하지 않아도 되겠어. 어린이 친구들이 받던 세뱃돈은 비트코인 같은 디지털 가상화폐로 전자 지갑에 담겨 전해질 테니! 나도 스마트폰 속 돼지 ... ...
- [News & Issue]4세대 방사광가속기 준공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얻을 수 있어 원자나 분자의 3차원 결합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 앞으로 친환경 에너지 기술과 신소재 개발, 세포와 단백질 구조 분석, 플라즈마 물리학 연구, 표면 및 계면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예정이다. 미국과 일본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준공된 4세대 방사광가속기이며, 1년간 ... ...
- INTRO. 광유전학 빛으로 뇌를 조종하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이용해 뉴런의 활동을 자극하는 기술인 광유전학이 나온 지 10년이 지났다. 그 사이 기술은 빠르게 발전해 이제는 쥐의 감정까지 조절할 수 있게 됐다. 음파유전학 등 응용연구도 쏟아졌다. 이제는 인간에게 적용할 방법을 고려할 정도다. 생물학계의 지난 10년을 뜨겁게 달궜던, 그리고 2016년에도 ... ...
- PART1.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행동 패턴을 보일 우려도 있었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때는 쥐를 위한 가상현실 기술을 도입하기도 했다. 우선 광케이블을 단 쥐를 조그만 공 위에 고정시키고, 움직이는 방향에 맞춰 눈앞의 화면이 바뀌는 방식이다. 쥐는 공 위에 선 채로 미로를 찾을 수 있지만 새로운 실험을 위해 매번 ... ...
이전3773783793803813823833843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