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뿐 아니라 강한 CP대칭성 깨짐 문제까지 해결되므로 표준모형에서 강력을 완전하게 기술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단 하나의 진동수를 찾아현재 전세계에서 액시온 검출 실험을 하고 있는 연구팀은 그리 많지 않다. 한국 연구팀은 1월 말에 첫 번째 액시온 검출기를 들여와 시험가동을 할 계획이다 ... ...
- [과학뉴스]음악 검색 원리로 지진 찾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미리 분석한 데이터를 통해 검색하는 방법과 비슷하지요.‘FAST’라고 이름 붙여진 이 기술은 자기상관법이 9일에 걸쳐 찾아낸 24개의 지진 중 21개를 한 시간 반 만에 찾아내는 데 성공했어요. 시간을 무려 140분의 1로 줄인 거예요. 또한 자기상관법이 찾아내지 못한 68개의 작은 지진들을 추가로 ... ...
- [소프트웨어]아직도 숫자 세니? IT기술과 만난 신개념 줄넘기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발전에 비해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산업의 발전은 미비해서 주로 외국의 소프트웨어 기술을 가져와서 사용한다.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줄넘기!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자체개발해 획기적인 운동기구를 만든 벤처기업이 있다. ‘탱그램팩토리’다. 지난 9월 탱그램팩토리는 ... ...
- [수학동아클리닉]우주를 품은 정십이면체!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은 그의 저서 ‘티마이오스‘에서 처음으로 정다면체를 기술했다. 플라톤은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이 흙, 공기, 물, 그리고 불로 이뤄져 있다고 믿었고, 정다면체를 이 4원소(흙, 공기, 물, 불)에 대응시켰다.정사면체는 불이 타오르는 모습을 형상화했고,정육면체는 가장 ... ...
- [News & Issue]골목길 튀어나올 사람 미리 본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뒤 검출기에 기록되기까지의 시간 차이를 이용해 물체와의 거리를 역으로 계산했다.이 기술은 움직이는 물체의 위치는 물론, 형태도 알아낼 수 있다. 연구팀은 “현재는 바닥으로부터의 거리가 60cm 이하인 물체만 감지할 수 있지만, 앞으로 이 거리를 10m까지 확대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이 ... ...
- [News & Issue]독성물질로 프린트 하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평가할 수 있는 체계를 2015년부터 개발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윤기권 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는 “일반 소비자가 많이 쓰는 프린터에 대한 품질 평가 기준은 7월 중에 산업용보다 먼저 완료할 예정”이라며 “인체 안정성과 환경 유해성을 포함해 의무조항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Part3.‘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즉, 전자기력과 약력은 우주 탄생 초기 온도가 높았던 얼마 동안은 하나의 수식으로 기술할 수 있는 힘이었지만, 시간이 지나 우주의 온도가 식어가면서 대칭성이 깨지는 바람에 서로 다른 힘으로 갈라져 나왔다는 뜻이다. 2013년 힉스 입자의 발견으로 이 같은 표준모형의 핵심적인 내용들은 모두 ... ...
- [Tech & Fun]추운겨울, 물 없이 씻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수 없는 안락한 장소입니다. 그래서 워터프리 제조업체들은 균의 번식을 막기 위한 방부기술을 가지고 있습니다. 방부보존제를 넣거나 수분의 활성도를 낮추는 것이지요. 방부보존제는 피부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워터프리 제품은 대부분 후자를 선택합니다.수분의 활성도를 ... ...
- [Tech & Fun]‘착한 패딩’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떨리는 마음으로 11월 30일, 서울 용두동에 위치한 한국의류시험연구원을 찾았다.“현재 기술로는 인공충전재가 천연 다운을 절대 따라갈 수 없습니다.”정성원 섬유시험본부 연구원이 잘라 말했다. 도착한 지 10분도 안돼 던진, 첫 질문에 대한 답이었다. A4 크기 용지 한 장에 빼곡히 적어 갔던 ... ...
- [Career] 공간에 이야기를 입히는 학문, 건축학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건축은 인간의 역사와 함께 합니다. 지금 보이는 저 건물들이 영원할 것 같지만, 더 좋은 기술이 생기면 아마 다른 건물로 바뀌게 될 겁니다. 건축물 자체가 아니더라도 리모델링이나 보수작업과 같은 수요가 있기도 하고요. 빠른 소비가 이뤄지는 산업은 아니지만 꾸준히 장기적으로 봐야 하는 ... ...
이전3783793803813823833843853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