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d라이브러리
"
존재
"(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분자도 뭉치면 강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막강해지죠.”결국 보이지 않는 나노분자 하나하나의 미약한 힘이 모여 세상에
존재
하지 않던 새로운 능력의 초분자를 만들어낸다는 것. 바로 이것이 화학의 미시세계에서 우리에게 던지는 메시지다.< 신세대 나노조립체 4가지 유형>1. 암세포 파괴하는 나노유도탄 : pH에 민감한 분자가 많이 모여 ... ...
PART 02. 알레르기 잡아먹는 기생충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인슐린 기생충 계획’을 구상하고 있다고 조심스럽게 밝혔다.기생충은 결코 필요없는
존재
가 아니다. 기생충은 생태계의 균형을 조절한다. 지금은 ‘기생’으로 불리지만 사실은 서로 이익을 주고받으며 ‘공생’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생물이 수컷과 암컷으로 성이 나눠진 것도 기생충과 병균에 ... ...
2030년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등장할 기술들 ]>>> 2021• 태양계 행성 탐사위성 실용화• 태양계 밖 지구유사 외계행성
존재
규명(2014)• 도심내 이동용 헬리콥터 실용화(2014)• 개인 단거리 이동용 제트팩(분사추진기) 보급>>> 2022• 생체 광합성기술 규명(2018)• 핵, 이온, 플라즈마 등을 이용한 우주추진 시스템 실용화(2017)• 광합성 ... ...
과학 다큐 시리즈 대명사 - 노바온라인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살해함으로써 당신이
존재
할 가능성이 사라지는데도 불구하고 할아버지를 죽인 당신이
존재
한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노바온라인의 시간여행 코너에 등록된 칼 세이건과의 인터뷰 내용이다. 칼 세이건은 퓰리처상을 수상한 천문학자다. 지금은 작고한 그의 음성을 직접 들을 수 있다.‘새로운 ... ...
양자역학은 색즉시공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원리를 이용해 만든 암호로 절대로 깨지지 않는다고 한다. 양자컴퓨터는 현재
존재
하는 모든 암호를 풀 수 있다. 미국 뿐만 아니라 빈 라덴도 양자암호와 양자컴퓨터를 쓰는 것 아니냐고 했더니 그래서 세상은 인연으로 가득찬 공진화라며 크게 웃었다.“불교의 근본적인 가르침은 극락이 아니라 ... ...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자녀의 뇌 발달을 이해하는 게 먼저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나는 기억한다, 고로
존재
한다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2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 3 배움에도 때가 있다 4 TV, 기억을 ... ...
보일의 공기탄성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것은 없다는 철학의 제 1원리를 위배할 수 없다고 믿었기 때문에 빈 공간이라는 것은
존재
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보일이 진공을 만들 때 공기를 빼내는 과정에서 미세한 공기가 그 속으로 빠르게 빨려들어간다고 설명했다. 보일이 만든 진공 속에서 촛불이 꺼지고 새가죽는 것은 그 공간이 ... ...
얼음에 수소 저장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신기술이 개발됐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흔 교수는 얼음 안에
존재
하는 나노미터(1nm=10억분의 1m) 크기의 빈 공간에 수소 분자를 가두는데 성공했다고 ‘네이처’ 4월 7일자에 발표했다.수소는 석유를 대체할 차세대 에너지로 각광받고 있지만 저장하기가 쉽지 않았다. 지금까지는 ... ...
펜타쿼크, 유령입자일까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물질의 새로운 형태로 불렸다.2003년 10여 개의 연구소가 비슷한 방법으로 펜타쿼크의
존재
에 대해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지만 2004년 고에너지 충돌실험에서는 펜타쿼크의 흔적이 발견되지 않아 한차례 논란이 일었다. 올해 토마스제퍼슨연구소 연구팀 역시 펜타쿼크를 발견했다는 독일 본의 ... ...
2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내가 기억하는 나로서의 나인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나는 기억한다, 고로
존재
한다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2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 3 배움에도 때가 있다 4 TV, 기억을 ... ...
이전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