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d라이브러리
"
존재
"(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라부아지에 산소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간단하다. 다만 라부아지에는 산소의
존재
를 증명하기 위해 실험했지만 더 이상 산소가
존재
한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없으므로 요즘에는 화학반응 전후에 질량이 보존된다는 ‘질량보존의 법칙’을 보여주는 실험으로 등장한다.라부아지에가 수은과 주석을 산화, 환원시킨 과정을 좀 ... ...
5. 디자인은 대화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내 과즙기는 레몬과즙을 짜기 위한게 아니라 사람들이 대화를 시작하게 만들기 위해서
존재
한다”고 말했다고 한다.라틴어로 ‘편지’를 뜻하는 에피스톨라는 편지봉투 개봉칼이면서도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해 편지의 무게를 잴 수 있는 저울이다. 스웨덴의 디자이너 테오 엔룬트의 작품으로 ... ...
신이 내린 선물 곰팡이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19세기 중반까지 유럽의 주요 산업인 양잠업에서 누에에 병을 일으키는 달갑지 않은
존재
였다. 그러나 프랑스 과학자 루이 파스퇴르가 곰팡이를 이용해 해충을 없앨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곰팡이를 이용한 생물 농약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이 연구는 한동안 성공하지 못했지만 20세기 후반 ... ...
우주는 여전히 출산 중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허블우주망원경으로도 별들이 개별적으로 보이지 않아 분석이 불가능하다.아기 은하의
존재
에 대한 멋진 발견이 이어졌지만 여전히 의문은 남는다. 첫 번째 별이 생성되기까지 왜 그토록 오랜 시간이 걸렸을까? 그 이유는 아직 미스터리로 남아있다. 이제 막 가까운 거리에 있는 아기 은하 연구를 ... ...
식물에도 눈동자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빛의 양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는 고도로 정교한 생화학적 조절 메커니즘이
존재
함을 증명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식물체 내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들은 빛의 양이나 세기 등의 변화에 아주 민감하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 필요한 화학반응이 적절히 일어나려면 식물이 받아들이는 빛의 ... ...
우주의 신비를 찾아나선 대서사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저자에 따르면 우주를 탐사하고 지구 생명의 본질을 알려고 노력하며 외계 생물의
존재
를 확인하려고 애쓰는 것은 ‘인간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다. 칼 세이건은 1996년 눈을 감았지만 그는 우주 탐사와 외계 문명과의 만남에 대한 기대감을 이렇게 표현한다. “탐험의 욕구는 ... ...
약물로 마음을 성형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나타내는 지리학적 지도와 다르다. 사람에 따라 무수히 많은 다양한 형태의 뇌 모양이
존재
하기 때문에 부위별 위치 정보를 확률론적으로 나타내야 하기 때문이다. 이로부터 전체 인구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뇌확률지도’라는 개념이 생겨났다. 또한 뇌에서 전기생리학적인 사건이 일어나는데는 ... ...
연세대, 선충 수명 10배 늘려주는 물질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규명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질량분석기와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선충에 극미량으로
존재
하는 다우몬을 발견하고, 이 물질이 작용하면 선충이 휴면에 들어가 수명이 연장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백 교수는 “다우몬은 인간의 노화 방지를 위한 신약 후보물질”이라며 “현재 다우몬에 반응할 수 ... ...
호모사피엔스 더 오래돼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최소한 20만년 전부터
존재
했음을 시사하는 연구결과가 나왔다.호주국립대 지질연대학자인 이언 맥도걸 교수팀은 지난 1967년 에디오피아 남부 오모강 부근 지하 80m에서 발견된 호모사피엔스 두개골 화석의 연대를 다시 측정해보기로 했다. 당시 발굴을 주도한 저명한 인류학자 리차드 리키는 이 ... ...
빛을 나노 공간에 가둔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보였다. 광결정 구조는 구멍을 3차원 공간에서 규칙적으로 배열함으로써 빛이
존재
할 수 없는 지역을 만든 것으로 빛의 절연체라고도 불린다.송 박사는 이 구조를 최적화시켜 수십나노초(1ns=10억분의 1초)동안 빛을 가둘 수 있음을 이론적으로 증명했다. 이 연구는 빛을 이용한 초소형 광장치를 ... ...
이전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