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종말론 뒤집은 마야달력 발견!수학동아 l2012년 06호
- 지구 종말론자들은 그 주장의 근거로 흔히 마야 문명의 달력을 꼽는다. 마야 사람들은 지구가 5125년 주기로 운행된다고 믿었는데, 394년을 주기로 시간을 측정해 이것을 ‘박툰’이라고 불렀다. 이와 같은 원리로 만들어진 마야 달력으로 마지막 날을 계산해 보면, 그 날짜가 2012년 12월 1일로 나온다. ... ...
- Intro. 우리를 유혹하는 바다의 비밀들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움직여서가 아니다. 지구상 존재하는 모든 것들과 관계를 맺고 있어서다. 그래서 바다는 지구의 70%를 차지하는 거대한 유기체다. 하지만 바다는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수수께끼를 품고 있다. 엄청난 양의 바닷물이 어디서 왔는지, 기후와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수천m 심해에서는 어떤 일이 ... ...
- Part 4. 와편모류 어떻게 바다의 지배자가 됐나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시각이다. 와편모류는 식물성, 동물성, 혼합성, 기생성으로 분류된다. 이 중 식물성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식물 중 가장 진화한 식물이다. 특이하게도 이들은 환경이 나빠지면 자신의 몸을 껍데기 같은 형태로 코팅한다. 몸 내부에 잠자는 휴면포자(Cyst)가 발현돼 몸을 감싸는 것이다. 이 ... ...
- Intro. 우주의 괴수 거대질량 블랙홀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안드로메다은하(배경 사진)의 중심에도 태양질량의 1억 배인 블랙홀이 똬리를 틀고 있다. 지구에서 3억 2000만 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은하(NGC 3842)에는 태양질량의 무려 100억 배인 블랙홀이 있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지기도 했다. 거대질량 블랙홀은 왜 존재하는 것일까. 이들은 어떻게 이런 거대한 ... ...
-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발생하는 현상인 ‘조석파괴’가 일어난다. 별이 파괴되는 것이 블랙홀의 강한 조석력(지구에서는 달의 조석력 때문에 밀물과 썰물이 나타난다) 때문이라고 해서 조석파괴라는 이름이 붙었다.지난 40여 년 동안 이론적으로 예측됐던 조석파괴 현상이 2011년 3월 28일 드디어 관측됐다. 미국항공우주국 ... ...
- 아리랑 3호 세계와 겨룰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다네가시마우주센터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아리랑3호는 고성능 광학 카메라를 지닌 지구관측 위성으로, 가로세로 70cm 크기의 물체를 구분할 수 있다. 이는 전세계 다목적 광학 관측위성 가운데 6번째 수준이다(정찰위성 제외). 아리랑 3호보다 뛰어난 공간 구분 능력을 지닌 다목적 관측위성을 ... ...
-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자기장보다 1억 배 강하다.이름 펄스장실험동소속 미국 로스알라모스국립연구소특징 지구 자기장보다 200만 배 강한 자기장날짜 2012년 3월 22일우주 탄생의 뜨거움2010년 2월, 미국 에너지국 산하 브룩헤이븐국립연구소는 중이온가속기 ‘릭(RHIC)’이 인류가 경험해보지 못한 가장 뜨거운 온도를 ... ...
- Part 1. 바닷물은 어디서 왔는가?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사실에 가깝게 그린 상상도. 2011년에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과학자들이 하틀리2에 지구와 성분이 같은 물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바닷물의 혜성기원설을 주장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리를 유혹하는 바다의 비밀들Part 1. 바닷물은 어디서 왔는가?Part 2. 바닷속 소용돌이 에디 ... ...
- 조각 낼 때마다 분신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6호
- 그런데 오늘 아침 거울을 보니 머리가 희끗희끗, 허리도 예전 같지 않고…. 이러다가 지구를 정복하기 전에 기력을 잃어버리면 어떡하죠? 그래서 홍길동처럼 자신과 똑같이 생긴 분신들을 만들어 ‘닥터 그랜마 군단’을 만들기로 했어요. 칼로 여러 번 잘라도 죽지 않고 조각마다 새로운 모습으로 ... ...
- 누구나, 함께 쓰는 슈퍼컴 전도사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지역을 중심으로 슈퍼컴퓨터를 원하는 곳에 인적·물적 자원을 제공할 예정이다.지구 반대편에서도 함께 연구한다센터에서 하는 연구는 슈퍼컴퓨터 외에 또 하나가 있다. 바로 효과적인 협업환경을 만들기 위한 연구다. 김 교수는 추진 중인 협업환경의 이상향을 ‘텔레프레전스(Tele-presence)’라 ... ...
이전384385386387388389390391392 다음